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6/15 12:00:26
Name 대호도루하는소리
Subject [질문] (간단질문)최근 투자 vs 안전한 예금 동향은?
이런질문 케바케인걸 압니다..
하지만 이쪽은 도통 배운게 없으니 은행가기전
귀동냥 해보고싶습니다.ㅠㅠ

20대 중반이고 차는 부모님이 쓰시던걸 받고 집이나 결혼은 생각이..아니 망할 여자친구가 없슴니다.(..)

고로 몇년간 큰돈을 쓸일은 없을거 같고,
2년간 적금 모은 5천만원이 만기되시 어찌할지
모르겠는데, 부모님은 펀드나 특정 상품에 투자하기에는 원금손실가능성 때문에 별로고, 어디 굴리기에는 큰돈이 아니라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돈 많이 나가고 쪼달릴 30대초~중반을 대비하여 2500은 금리에서 이득을 그나마 보는 주택청약에, 1500은 일반 정기예금으로 해서 당분간은 안전하게 묶어두며 큰돈 불릴생각말고 일하다 들어오는거 차곡차곡 모으라고 하는데 왠지 귀가 얇아 최근 손실이 난적없다고 팔랑대는 여러 은행상품, 펀드가 눈에 들어오네요

혹시 특별한 동향이라던지 재태크 대세,정도가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aybreak
16/06/15 12:58
수정 아이콘
어차피 은행이나 증권사 가면 온갖 미사여구로 자기네 상품구좌개설을 추천합니다.
지금은 투자적기는 아닙니다. 몇년간 지속되고있는 미국금리인상 떡밥이나 최근 영국의 유럽연합탈퇴(브렉시트) 이슈, 석유관련이슈 등 국제정세가 많이 불안하고 시간이 가면 갈수록 국내경제는 해외동향에 의존적이 될 수 밖에없습니다(이미 매우 의존적입니다).모르고 하면 그냥 개털될 확률이 99% 라고 생각합니다. 과유불급이라 했습니다. 투자도 마찬가지로 자신의 피나는 노력없이 얻은 수익은 그냥 고스란히.. 어떤방법으로든 빠져나가게 되어있습니다. 부모님 말씀 들으시는거 추천드려요!
대호도루하는소리
16/06/16 20:1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ㅠㅠ
그냥 조용히 모아야겠군요..
메피스토
16/06/15 14:01
수정 아이콘
주택청약만한게 없더군요. 쏠쏠합니다.
우선 주택청약은 붓는다고 생각하시고 다른걸 알아보세요.
대호도루하는소리
16/06/16 20:12
수정 아이콘
천만정도가 남는더 이걸 잘 활용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동네형
16/06/15 14:47
수정 아이콘
[최근 손실이 난적없다고] 그런거 없습니다.

두가지만 기억하세요
1. 예금이든 적금이든 복리의 마술이든 이자는 기대도 하지말고 덜먹고 덜입고 덜써서 모은다
2. 공부로 리스크를 관리해서 투자를 감행한다.

2번을 안하고 1번을 안하는 이유는 공부하기 싫어서가 거의 전부입니다.
투자라는게 주식만 있는건 아니거든요.
주식하는 사람중에 대다수가 재무재표도 못읽는거 보고 어처구니가 없었습니다(주식을 하라는 얘기가 아닙니다.)

예적금은 재테크가 아니라 돼지저금통에 모아놓는거라고 생각하세요.
채권 공부해도 괜찮다고 보는 입장입니다만 쉽게 내돈 맡아 불려주는 곳인 없다고 아예 선을 긋고 방향을 잡는게
편하실겁니다.

어른들이야 돈 없을땐 예금수익이 쩔었고 돈 있을땐 부동산투자도 가능했으니
예적금 -> 집사기 루트만을 권할뿐이죠.
대호도루하는소리
16/06/16 20:14
수정 아이콘
사실 제가 덜입고 덜싸며 체계적인 돈관리를 하는 성격도 능력도 안되서 적금을 한거였는데 적금이 만기되니 오히려 난감하더라구요..

역시 제돈은 제가 노력해서 뿔릴뿐..
뭔가 대세나 정도같은 쉬운길은 요새없나보네요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4749 [질문] (간단질문)최근 투자 vs 안전한 예금 동향은? [6] 대호도루하는소리2464 16/06/15 2464
84748 [질문] PC 견적 문의 드립니다.[오버워치, 철권] [2] 캐리건을사랑2368 16/06/15 2368
84747 [질문] 대한항공은 왜 비쌀까요? [19] 녹산동조싸~!4932 16/06/15 4932
84746 [질문] 다이어트 질문 드립니다. [18] 그림속동화2840 16/06/15 2840
84744 [질문] 스팀 클라이언트가 저절로 꺼집니다. [1] 신재완5127 16/06/15 5127
84743 [질문] 야알못입니다. 두산 김재환선수 질문입니다. [24] 애기찌와5547 16/06/15 5547
84742 [질문] 컴퓨터 부팅이 안되는 증상 관련 질문입니다. [3] 그렁그렁2837 16/06/15 2837
84741 [질문] 차가 필요가 없는데 차가 사고 싶습니다. 잘하는 짓일까요? [33] 신입사원6067 16/06/15 6067
84740 [질문] 글을 잘 쓰기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19] 아재2574 16/06/15 2574
84739 [질문] 티스토리 초대장을 받고싶습니다... [3] 카스1820 16/06/15 1820
84738 [질문] 인스턴트 커피(알갱이 커피) 추천 부탁드립니다. [22] 물범11680 16/06/15 11680
84736 [질문] 린넨셔츠를 사려고 합니다. [5] Stukov3002 16/06/15 3002
84735 [질문] . [4] 삭제됨1906 16/06/14 1906
84734 [질문] 7월 12일에 입대합니다.. 뭘 하다가면 좋을까요? [23] 삭제됨3012 16/06/14 3012
84733 [질문] 마포쪽에 코스요리 잘하는 중식당 추천해주세요. [4] 아이언맨2393 16/06/14 2393
84732 [질문] 과학관련 책 추천할만 한거 있나요? [8] 굿리치[alt]2783 16/06/14 2783
84730 [질문] 단어가 생각이 안납니다 도와주세요 [2] 태평양늑대2164 16/06/14 2164
84729 [질문] 우리나라에서 공공기관 민영화를 성공한 사례가 있나요?? [7] Dow3575 16/06/14 3575
84727 [질문] 무섭습니다 도와주세요 [6] 호야v4116 16/06/14 4116
84726 [질문] 가려워 죽겠는데... [1] 빌리진낫마이러버2098 16/06/14 2098
84725 [질문] 나이들수록 잠이 주는 이유는 회복대상 피로가 줄어서일지요...? [7] nexon3998 16/06/14 3998
84724 [질문] 식당에서 매너? [21] 삭제됨4926 16/06/14 4926
84722 [질문] 택배가 저녁에 올 가능성은 없겠죠? [10] lenakim2942 16/06/14 29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