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05 21:04
메르세데스가 고급차로서의 인지도는 가장 높습니다.
bmw는 운전매너 안좋기로 유명하구요. 하하.. 젊은 사람들이나 터키사람들이 많이 탑니다. 아우디는 잘 모르겠네요.
16/05/05 21:17
압도적으로 아직 메르체데스를 쳐줍니다.
베엠이 많이 따라왔다고 생각하고 아우디는 좋아졌지만 아직 동급이라고 생각은 안하는듯 하더군요.
16/05/05 22:13
윗분들 다 메르세데스 원탑에 그다음 bmw, bmw에 상대도 안되는 아우디라고 말씀하시는데 저는 생각이 다릅니다.
독일 장관들 다수가 아우디 타는걸로 알고 있고요. 독일내 판매량도 삼사가 9%,8%로 비슷하긴 하지만 요 근래 몇년간은 메르세데스 1위, 2위 아우디, 메르세데스랑 1%차이나는 bmw 이런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럽판매량은 아우디가 대략 45만대 팔면 메르세데스가 4~5만대 bmw가 6~7만대 적게 팔겁니다. 메르세데스는 대형에서 넘사벽이라지만 아우디랑 bmw는 중소형 세그먼트 비슷한 사이즈로 경쟁하는데 아우디 판매량이 훨씬 높죠. 자주 가는 블로그에 있는 글인데 한번 읽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humandrama.tistory.com/1281
16/05/05 23:40
아우디는 Benz 나 BMW 급이 아니라
렉서스, 인피니티, 아큐라, 링컨, 캐딜락 등 뭐 이정도 급 아닙니까?
16/05/06 01:29
미국 기준이라면 메르세데스 > 베엠베 = 아우디 정도로 생각이 되는데요. 특히 베엠베 같은 경우는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 차종들도 있고, 중가격 대의 차종 보급 정책도 꽤 하는 편이라 인식상으로는 m라인의 고급 기종이 아닌 다음에는 전반적으로 중산층 정도라면 여유있게 굴리는 차로 여겨지는 것 같습니다. 아우디도 비슷한 것 같고요. 특히 아우디는 제가 본 바로는 거의가 A3~5 기종의 준중형~중형에 소비자들이 몰려있다는 점에서 베엠베하고 비슷한 인식을 받는 것 같습니다. 메르세데스는 일단 미국 내에서도 상당히 고급화 정책이 잘 되어있고, 기종 분포도 중형~중대형이 많아서 (그리고 가격도..) 인식상으로는 1.5 티어정도 높은 차종이라고 여겨지는 것 같습니다. 뭐, 그 이후로는 완전 고급차 계열, 마세라티, 부가티, 벤틀리 등등으로 올라가는 것 같고요.
16/05/06 05:36
미국에선 셋다 비슷비슷한데, 아우디가 좀 인식이 떨어집니다. (잔고장이 워낙 심해서...)
컴팩트 세단에선 BMW가, 중대형 세단에선 벤츠가 더 좋은 이미지입니다. 그런데 애초에 미국이 차값자체가 저렴하기도 하고, 소득도 높아서 독일 삼사라고 엄청 럭셔리하고 고급차 타고 다닌다는 그런 이미지는 아니에요. 길가다보면 엄청나게 흔하게 볼 수 있거든요. 윗 분께서는 메르세데스가 1.5티어 정도 높은 이미지라고 하시는데, 전혀 동감 못하겠습니다. 그냥 다 비슷비슷하게 생각해요. 컴팩트 시장에서 아직 BMW를 따라잡지 못했을 뿐이지, 더 고급이고 그런거 없어요. 미국 소비자들은 기본적으로 차에 소비재 이상의 큰 가치부여를 하지도 않구요. 중대형 시장에선 메르세데스가 잘 만들었고, 컴팩트 시장에선 BMW가 더 잘 만들었다고 생각해 판매량도 그에 따라갈 뿐입니다. 더불어서 렉서스도 엄청 잘 팔립니다. 인식으로 보면 독일 삼사에 뒤지지 않아요. 오히려 아우디보다는 인식이 좋을거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