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12 01:28:50
Name stromae
Subject [질문] 9급공무원시험공부질문입니다
올해 1월부터 9급을 시작한 공시생입니다.
저번주 주말 시험이후에 채점을 하면 멘탈이 깨질것같아서
지금에서야 채점을 하였습니다. 시험을 보고나서도 아슬아슬하게 붙거나 떨어지겠다 생각했는데
채점해보니 공단기 4차 합격컷 기준 359점 커트라인에 제점수는 345점으로 아슬아슬하게 떨어진것같습니다
제 원점수는 국어 75점 영어 80점 한국사75점 사회85점 행정학70점입니다
국가직은 검찰직렬에 지원을하여서 커트라인이 낮은데 지방직은 일행지원이라 커트라인이랑 점수가 많이 차이나서
어떻게 남은 2개월을 준비해야할지 막막합니다
우선 국어같은경우 한문 2문제와 문법에서 3문제를 틀렸구요
영어는 어휘1문제 어법2문제 문장 위치1문제 틀렸습니다
그리고 한국사는 5문제중에 2문제를 실수했더라구요
지방직에서 고득점을 받기위해서는 어떤방식으로 공부하는방법이 좋을까요?
그리고 지금컷이랑 14점 차이가 나면 포기하고 지방직 준비하는게 맞는거겠죠?
멘탈이 나간상태라서 두서없이 질문한것같아서 죄송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도깽이
16/04/12 01:53
수정 아이콘
14점 차이가 아슬아슬한건가요? 저역시 공무원준비생이지만 서도;;
16/04/12 01:59
수정 아이콘
제가 표현을 잘못했네요 3문제차이면 큰건데 안타까운마음에ㅜㅜ
5픽미드갑니다
16/04/12 02:58
수정 아이콘
멘탈챙기시고 아슬아슬하게 떨어쟜다는 생각 버리시고 남은기간 여태처럼 공부하세요.
4개월 공부해서 시험에 붙을꺼라 생각 안했을텐데 지나간 과거에 연연해하지마세요.
멘탈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남은 시험마저 망치면 내년바라봐야 된다는 생각으로 이악물고 공부하시길....
무무무무무무
16/04/12 06:34
수정 아이콘
일단 이번 국가직 국어가 좀 이상했던거고 지방직엔 한자가 거의 안나올거라고 생각합니다. 한자숙어 정도는 가능하겠지만요.
그걸 떠나 점수가 전반적으로 낮은 상황이라 지금으로선 그저 국가직 잊어버리고 꾸준히 하시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원래 그 점수까지 올리는 건 쉽지만 거기서 합격권 가는 게 제일 힘든거라.... 아무쪼록 좋은 결과 있으셨으면 하네요.
맥아담스
16/04/12 07:26
수정 아이콘
일단 아슬아슬하게 떨어졌다는 생각부터 버려야할 것 같네요.
16/04/12 08:26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드립니다 어제밤에는 미련도 많이남고 머리도 복잡했는데 자고 일어나니깐 제 공부가 부족했음을 알겠습니다
우리형
16/04/12 08:33
수정 아이콘
국어 한자는 어쩔수 없는거고 문법에서만 틀리신거면 두달동안 충분히 점수 올릴 수 있을거같고 국어,국사,행정학을 주력으로 하시면 가능성이 없진 않을 거 같네요.. 그리고 운도 중요하기때문에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몰라요. 포기하지마세요
다비치
16/04/12 09:06
수정 아이콘
저정도 점수면 2달간 열심히 하시면 충분히 올릴 수 있습니다. 특히 국어 문법, 한국사, 행정학같은 암기분량이 많은 과목들은 단기간에 생각보다 점수가 잘 오르기 때문에 마음잡고 열심히하시면 지방직 합격하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16/04/12 09:15
수정 아이콘
행정학이라는 과목이 참 거지같죠. 애초에 선택과목이라 많은 시간 들이기 정말 아까운데 많은 시간을 안 들이면 점수가 안 나오는 과목입니다.

저도 반년 정도 준비해서 첫시험에 비슷한 점수대였는데(총점 360점 정도) 지금부터는 그냥 공통에 올인하세요. 행정학 20점 올려봐야 총점 10점도 안 오릅니다.

공통을 240까지 올리면 커트라인, 250까지 올리면 웬만한 직렬은 합격이시니까요.
기네스북
16/04/12 09:53
수정 아이콘
현직 7급입니다.

지금 비중을 두셔야 할 과목은 한국사입니다.
국사가 이번에 어렵게 나와서 나름 좋은 점수를 얻으신 것 같긴하지만,
국사는 필히 90점 이상은 받으셔야 합니다.

앞으로의 공부 방법은 기출문제 + 모의고사의 무한궤도입니다.(제 공부 방법)
시간을 정하고 매년도 기출문제를 푼 이후 틀린 부분에 대해서만 빠른 속도로 기본서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하면 대략 30~40분 정도 소요됩니다.
하루 2회씩 계속 푸시고 욕심이 난다면 3회씩 하시기 바랍니다.

스케줄은 본시험을 치르듯이 합니다.
08:00 독서실도착
08:30 시험장에서 볼 필수 노트 속독
08:59 명상(보통 시험장가면 30분전에 모든 필기도구를 앞으로 내고 30분간 시험 안내를 받습니다)
09:00 전과목 시작(마킹까지 실전처럼 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종료 후 틀린 문제는 반드시 짚어보시고 기본서를 빠르게 보시기 바랍니다.(오랜 시간 보시면 안됩니다.)

위 방법으로 하루 2회씩 모의고사를 풀다보면
문제의 출제패턴, 형식에 익숙해져서 빠른 시간에 실수없이 문제를 푸실 수 있고,
고득점을 위한 탄탄한 기초가 될 것입니다.

합격하세요
16/04/12 11:00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제가 공부를 시작한지얼마 안되서 국어는 기본강좌듣고 혼자서 회독 최근 5개년 국가직 풀고 파이널 교재풀고 한국사는 기본강좌듣고 혼자서 회독 최근 5개년 국가직 풀고 들어갔는데 파이널이나 기출풀때는 85~95점수가 나와서 걱정을 믿었던과목인데 점수가 안나오니 공부법에 대해서 고민이 좀 생깁니다 두과목다 심화 문풀강의를 듣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혼자 회독위주로 더파고 지방직 파이널 열리면 그강의를 듣는게 좋을까요?
기네스북
16/04/12 11:05
수정 아이콘
심화문풀 강의도 좋지만 이미 그정도의 점수가 나오는 실력이라면 혼자 하시는 게 낫습니다.
문제의 양을 늘려보세요.
문제를 많이 풀면 점수가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16/04/12 13:27
수정 아이콘
합격가능성이 높으시네요.
국어/영어는 점수 올리기가 어려운데 점수를 잘 받으셨고
상대적으로 점수 올리기 쉬운 한국사/사회/행정이기때문에
국어/영어는 기존실력 유지하시고 나머지 3개 암기과목 집중하시면 합격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1268 [질문] 혹시 시원한 베개 있나요..??? [6] 춥다춥스4246 16/04/12 4246
81267 [질문] 팟플레이어로 음악 재생시 다음 곡으로 넘어가지 않는 문제 [3] 1일3똥6377 16/04/12 6377
81266 [질문] 핸드폰 구입시 판매자의 계약서 대리서명에 관한 질문입니다. [3] 뽐뽀미4253 16/04/12 4253
81265 [질문] 9급공무원시험공부질문입니다 [13] stromae5596 16/04/12 5596
81264 [질문] 이게 선게용인지 질게용인지 몰라서 일단 질게에 적습니다. [6] EZrock1711 16/04/12 1711
81263 [질문] 모 선수 강간혐의 항소 결과 아시는분 계신가요? [4] 삭제됨3340 16/04/11 3340
81262 [질문] 인터넷이 기가콤팩트 상품인데 와이파이 다운로드 속도가 20M/s면 괜찮은 수준인가요? [2] Red Key4022 16/04/11 4022
81261 [질문] USB 부팅이 안됩니다. [3] 불꽃이대세1471 16/04/11 1471
81260 [질문] 더뉴k3 구매하셨던 분 계신가요? [1] resgestae1479 16/04/11 1479
81259 [질문] 허리디스크 질문입니다 [1] 해피바스1499 16/04/11 1499
81258 [질문] PGR21에서만 유독 '나이브' 이 표현 쓰시는 분이 많지 않나요? [47] 쿤데라5209 16/04/11 5209
81257 [질문] 투표할때 지역구에 무효표 던지고 온게 욕먹을 일인가요? [30] 커피는레쓰비3482 16/04/11 3482
81256 [질문] 수원역 근처에 피부과 추천해주실만한곳 있나요? [4] 사신군3553 16/04/11 3553
81255 [질문] 가정용 프린터기 추천부탁드립니다 ㅠ.ㅠ [2] Ahri2592 16/04/11 2592
81254 [질문] 여자친구로부터 슬픈소식을 들었습니다. [8] 빅픽쳐5528 16/04/11 5528
81253 [질문] [LOL] 챔피언 벨런스조절의 지향점은 무엇일까요? [3] vorhandensein1610 16/04/11 1610
81252 [질문] 고속도로 1차선 주행 [20] 주빗2597 16/04/11 2597
81251 [질문] (컴퓨터 견적) 메인보드/cpu의 호환 문제,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7] sen vastaan2077 16/04/11 2077
81250 [질문] 은행 ATM기에 반환된 남의돈 가져오면 안되죠? [7] 자전거도둑2746 16/04/11 2746
81249 [질문] 과제 레퍼런스 질문입니다. [3] 테네브리움2065 16/04/11 2065
81248 [질문] 유투브 영상을 찾고있습니다 V.serum1647 16/04/11 1647
81247 [질문] 엘리베이터 고장 시 배달 음식.. [41] 계란9023 16/04/11 9023
81246 [질문] 지인으로 부탁으로 하나 여쭙습니다 [3] Jace Beleren2513 16/04/11 25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