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03 03:23:29
Name 피아니시모
Subject [질문] [야구] 김성근감독의 투수운용중에 하나 이해가 안되는게 있습니다.

오늘 네이버 스포츠 뉴스 보다가 댓글중에 이런 내용이 있더라고요

"김성근은 선발투수는 한두번 맞기만 해도 교체하면서 권혁은 경기 역전될때까지 쓰냐?"

물론 이건 한화와 김성근감독을 비꼬려는 생각도 있었을 것이고 또 그 상황이라는 게 있기떄문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럼에도 이 말이 꽤나 크게 와닿았습니다
작년에도 그랬고 올해도 겨우 2경기지만 벌써부터 그러는 걸 보면서 궁금한게 도대체 왜 선발투수는 한두번만 맞아도 그냥 바로 내릴까요
정말로 로저스나 탈보트 아니면 선발투수가 6회이상 가게 냅두는 걸 거의 본적이 없습니다
그냥 한두번 위기가 오면 바꿔버리는 건 당연하다 싶을 정도로 자주 보였고 괜찮은데?싶은데도 그냥 갑자기 바꿔버리는 것도 봤고요

불펜투수에 비해 선발투수를 너무 과할 정도로 믿지 않는 데 이건 그냥 단순히 성향탓인건지 뭔가 이유가 있는건지-_-; 야알못인 제가 모르는 뭔가가 있는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스가 아유무
16/04/03 03:36
수정 아이콘
불펜도 믿음이 안가는 선수는 바로 바꿉니다. 권혁 박정진 정우람빼면 김성근 감독의 교체를 벗어날 선수가 없을 걸요. 여기에 좀더 추가한다면 윤규진 송창식 선수 정도인데 이들도 아니다 싶으면 바로 바꿔 버립니다. 그러니 위 선수들 빼고는 선발이든 불펜이든 교체를 피할 선수가 없을겁니다.
피아니시모
16/04/03 03:5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결국 특정 몇몇 선수를 제외하면 감독이 선수를 못믿는거네요--;
실력이야 뭐 선수마다 천차만별인데 그래도 상황에 따라 믿어주기도 해야할텐데..흠
도달자
16/04/03 03:58
수정 아이콘
김성근 감독님에게 권혁은 계산이 서는 선수고 다른선수는 계산이 안서는 선수인거죠. 작년에 7점차인가 리드하는 상황에서 푹쉬고있는 불펜투수들 다빼고 혹사중인 권혁이 나왔습니다. 말이 많았었는데 김성근 감독은 믿고맡길 투수가 없다고 말했었구요.

별개로 송은범은 잘모르겠습니다. 다른 선발투수는 첫번째로 나오는 투수인데 송은범은 정말 항상 시구만 시키더라구요. 위기상황도아니고 그냥 주자나가면 바꾸는 것같던데..
임시닉네임
16/04/03 04:09
수정 아이콘
그걸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겁니다.
모르니까 다들 비토를 하죠.
최강삼성
16/04/03 04:31
수정 아이콘
한화팬은 아닙니다만 김성근은 자기주관이 있어보여요.
얘는 된다 안된다. 선수상태나 경기상황이랑 무관하게 느껴질정도로 완전 믿거나 아예 안믿거나 죠.
OneRepublic
16/04/03 05:14
수정 아이콘
어제 오늘 직관가서 보면서 느낀건데, 일단 투수가 안좋아보이면 바로 빼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타자들이 제대로 맞추는 장면이
나오자마다 불펜연습시켰거든요. 어젠 1회 임훈한테 맞자마자 오늘은 2회에 불펜가동 했어요. 바뀐 투수가 좋으면 안빼구요.
믿을만한 선수인지 아닌지도 중요하긴 한데, 오늘 컨디션이 좋아보이면 좀 끌고 가려는 경향이 있는 것 같더라구요.

오늘(정우람 휴식)과 작년의 권혁선수는 팀의 마무리입니다. 마무리를 9회 2점차 앞서고 있는데 조금 맞았다고 빼는 감독은 없습니다.
박정진, 송창식이 안좋아도 길게 끌면 문제지만 권혁은 좀 안좋다고 뺄수가 없죠. 문제는 늘 8회부터 나오다보니 9회에
힘이 부쳐서 맞는 장면이 많이 나온 것이구요. 오승환이 8회부터 나와서 9회에 안타 좀 맞는다고 뺄까요? 절대 그렇지 않죠.
김성근 감독님 권혁 운용의 아쉬운 점은 팀의 마무리는 항상 최고의 컨디션으로 1이닝 막을 수 있는 상태로 있어야
(관리를 해줘야) 확실한 경기 승을 쌓을 수 있는데 팀 마무리를 애니콜로 써버리니 컨디션 저하로 세이브상황에 나와 맞는 장면이 많이
나왔죠. 정우람 선수는 권혁보다 내구성이 좋기는 하지만 작년에도 조금 무리한 후에는 좀 얻어 맞았는데 어떻게 쓸지 궁금하네요.
해달사랑
16/04/03 09:11
수정 아이콘
미래가 없죠.
bemanner
16/04/03 09:15
수정 아이콘
경기수가 본인이 처음 지도자 할때보다 50경기 정도 늘어난게 계산이 안서는 걸로 보입니다. 그래서 에이스를 제외하고는 팍팍 바꾸고.
정지연
16/04/03 10:02
수정 아이콘
작년에 보면 로저스는 완투하고 110개씩 던지고 하는걸 반복했습니다.. 그런걸 보면 그냥 믿는 선수 아닌 선수가 나뉘어 있는거 같습니다..
16/04/03 10:13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성향이 그랬고 SK는 그게 될 정도의 뎁스가 있었지만 한화는 없고... 경기수가 늘어나고 타고투저가 됐다는 점도 여기에 영향을 미쳤을 거구요
그래도 SK 때 이렇게까진 아니었다는 걸 생각하면 안 통하니까 더더욱 외골수로 밀고 나가는 것 같네요. 그럴수록 더 안 좋아지고
BlakeSwihart
16/04/03 11:21
수정 아이콘
제발 빨리 없어져야죠. 한국야구의 후퇴만 가져오고 있습니다
16/04/03 12:13
수정 아이콘
김성근 감독이 이야기 한적이 있는지 없는지 기억이 잘안나는데
계산이 서는 선수가 있고 안서는 선수가 있습니다.
선발중에 아마 계산이 서는 선수는 현재 로저스 정도뿐이고 불펜은 송박권정 일겁니다.
아마 선발 투수가(로저스 제외) 실점할수있는 한계치는 3점 으로 보고있는것같구요.(원찬스로 따라갈수있는 점수)
투수가 한순간에 무너질수도있다는걸 감안하면 선발투수는 그냥 첫번째로 내는 투수 정도일겁니다. 그냥 첫위기 오고 실점하면 바로 불펜으로 바꾸는..
왜이래요진짜
16/04/03 12:23
수정 아이콘
한화의 장점이자 단점이죠
단기전에서는 좋은 운용이지만 장기전에서는 결국 불펜 혹사 -> 막판 힘부족이 되는거죠
혹사가 결국 선수 생명 갉아먹는다고 볼때 노인네 고집으로 밖에 안보입니다
Biemann Integral
16/04/03 13:01
수정 아이콘
뭐 야알못인 우리들은 알 수 없고, 게임 터지기 전에 선발 교체하는거 아닐까요? 후반부에 권혁은 교체하면 나올 사람이 없으니까 그냥 맡기는거구요.
화이트데이
16/04/03 14:23
수정 아이콘
김성근 감독은 SK 시절에도 비슷했습니다.

봄에 모든 필승조를 풀가동시켜서 최대한 승수를 벌려놓고, 여름에는 필승조를 좀 설렁설렁 돌리면서 화수분처럼 나오던 SK 불펜들을 돌려써서 어찌저찌 막고 마지막 단기전에서 모든 에너지를 풀가동시키는 시스템입니다. 문제점은 '지금이 타고투저여서 필승조가 나오더라도 승리를 확신할 수 없다는 점', 'SK처럼 불펜들이 화수분처럼 나오지 않는다는(즉, 감독이 신뢰할만한 불펜이 나오지 않는다는) 점', '정우람처럼 시즌 내내 미친듯이 굴려도 퍼지지 않는 금강불괴의 부재' 세 가지 정도로 요약이 가능하겠네요.

정우람은 사오는 걸로 해결(?)하긴 했습니다만, 앞의 두 개는 해결이 거의 안된다고 봐야죠. 결국 필승조를 더 끌어쓰는 쪽으로 해결하려고 들지만 언발에 오줌 누는 꼴이죠. 사태는 더 악화되고 있고요.
16/04/03 16:04
수정 아이콘
그동안의 발언을 종합해볼 때 예를 들어 꾸준하게 5이닝 3실점 해주는 투수는 계산이 서는 선수죠. 이러면 3회에 3실점 했다고 안 뺍니다.
반대로 7이닝 무실점과 3이닝 6실점을 오가는 선수는 계산이 안 서는 선수죠. 이런 선수는 일단 초반에 2-3점 주면 뺍니다.
불펜도 비슷하게 운용합니다. 셋업맨-클로져는 믿음을 주지만 롱릴리프-숏릴리프는 아니죠.
훨씬 더 복잡한 문제긴 하지만 정말 단순하게 설명하자면 이렇게 운용을 합니다.

여기까지도 문제긴 한데 더 큰 문제는 소위 버리는 게임이 없다는거죠. 때문에 이기는 경기처럼 모든 게임을 동일하게 운용합니다.
"버리는 게임이 어디있냐. 그건 승부조작이고 프로답지 못 하다"라며 이게 맞다고 하는 분들도 계시니 어떤게 옳은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과부하가 걸리고 투수를 많이 쓸 수 밖에 없죠.
정성남자
16/04/03 16:30
수정 아이콘
선발이 제일 믿을맨이 없다는게 역설적인 팀이네요
보고있자니 혈압이...
송은범이랑 배영수 선수의 각성을 요청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0790 [질문] 노량진이랑 서울대 입구 근처..쯤 어느 곳이 살기 더 좋나요.. [21] 칸나바롱6888 16/04/03 6888
80789 [질문] 유플러스 데이터 함께쓰기용 세컨폰 뭐가 좋을까요? 덱스터모건1421 16/04/03 1421
80788 [질문] [웹툰] 제 취향에 맞는 웹툰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순수한사랑1827 16/04/03 1827
80787 [질문] 핸드폰 명의도용을 당한 것 같습니다. [4] ArcanumToss1840 16/04/03 1840
80785 [질문] 테슬라 전기차 모델3 메리트있을까요? [6] 보드타고싶다2148 16/04/03 2148
80784 [질문] 노트북 기종에 대한 조언을 구합니다. 조조1031 16/04/03 1031
80783 [질문] 작업중에 들을 노래 추천좀 해주세요. [5] lenakim1602 16/04/03 1602
80782 [질문] 스토리 좋은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9] 히스조커6493 16/04/03 6493
80781 [질문] 내성적인 남자와 외향적인여자 [14] 다음v13122 16/04/03 13122
80780 [질문] 휴대폰 요금제 질문입니다. [3] 솔로1489 16/04/03 1489
80779 [질문] [LOL] 분노한페이커 배부른류... [15] 코왕5405 16/04/03 5405
80778 [질문] [야구] 김성근감독의 투수운용중에 하나 이해가 안되는게 있습니다. [17] 피아니시모3188 16/04/03 3188
80777 [질문] 컴퓨터 견적 및 호환성 문의 드리겠습니다 [7] 부들부들2106 16/04/03 2106
80776 [질문] 컴퓨터 견적에 대한 질문입니다. (메인보드,SSD좀 봐주세요!) [3] Keynes2432 16/04/03 2432
80775 [질문] 요새는 컴퓨터 어디서 맞추나요? [5] legend3166 16/04/03 3166
80774 [질문] 고속도로 사고 과실 비율 질문 있습니다 [4] 라디에이터1801 16/04/03 1801
80772 [질문] [하스스톤] 관전 퀘스트도와주세요. [2] 진리는나의빛1229 16/04/02 1229
80771 [질문] 가성비 좋은 옷 브랜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27] endeavorhun16564 16/04/02 16564
80770 [질문] 테라 재미있나요? [4] Sgt. Hammer2999 16/04/02 2999
80769 [질문] 그래픽카드 질문 [6] 메피스토1599 16/04/02 1599
80768 [질문]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는 어떤 게 있을까요? [10] 영원한우방2135 16/04/02 2135
80767 [질문] 서산 주민 계신가요? 소개팅을 해야 하는데.. [1] 삭제됨2193 16/04/02 2193
80766 [질문] 포알못이 포켓몬스터 질문좀.. [9] RealGN1979 16/04/02 19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