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13 07:54:02
Name Hyun.
Subject [질문] 논문의 신뢰구간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보통 논문등을 보면  신뢰구간이 95%또는 99% 정해져 있는데요. 이렇게 구간이 정해진 이유라도 있나요?
예를들어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는데
9명이상이 효과가 나타야지만 유의하다 라는 것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열명중 과반수인6명이 효과가 나온 경우는 왜 안되는건가요?  물론 9명이 좀 더 정확하긴 합니다만..

저렇게 값을 정해놓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제카이
16/03/13 08:13
수정 아이콘
신뢰구간은 10명중 9명 그런게 아니라 표준분포상 신뢰구간이라고 따로 수식이 있습니다.
16/03/13 08:22
수정 아이콘
통계학적인 계산 결과이며, 이렇게 계산으로 구해지는 결과인데 굳이 %를 낮게 할 이유는 없겠죠.
이밤이저물기전에
16/03/13 08:26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두가지는 좀 다른 개념 같습니다.
신뢰구간은 일단 말그대로 구간인데 95% 신뢰구간이라하면 표본에서 아무거나 하나 골랐을때 95%의 확률로 그 구간안에 포함이 된다는 얘기하고 같습니다.
가령 대한민국 남성 키 표준은 175 cm 이고 표준편차는 5 cm 입니다.
그럼 95% 신뢰구간은 165 cm ~ 185 cm 가 되겠고 (대한민국 남자의 95%는 저 사이에 들어가거나 / 랜덤하게 대한민국 남성을 골랐을때 95% 의 확률로 저 사이에 들어간다는 의미)
68% 신뢰구간은 170 ~ 180 cm 가 됩니다 (대한민국 68% 는 이 사이에 들어가거나 / 랜덤하게 대한민국 남성을 골랐을때 68% 의 확률로 저 사이에 들어간다는 의미)
보시면 알겠지만 신뢰구간의 신뢰도를 올릴수록 구간이 늘어나고 신뢰도를 내릴수록 구간이 줄어듭니다.
68%는 평균 +/- 1*표준편차이고 95% 는 평균 +/- 2*표준편차이거든요. 그러니까 신뢰도 68%에서 95% 로 건너갈때는 구간이 두배가 되고 99%로 갈때는 구간이 세배가 됩니다.
그러니까 적정선에서 타협을 보는 거죠.
95% 신뢰구간을 선택하면 구간은 비교적 크지도 작지도 않은 반면에 95% 신뢰도는 꽤 쓸만하니까요.
단, 어떻게 결과 보고를 하냐의 차이이기때문에 사실 68%로 보고를 하나, 95%로 보고를 하나, 99%로 보고를 하나 본질적인 결과의 차이는 없습니다. 다 같은 평균과 표준분포 값을 가지고 있거든요.

10명중 9명 이상이 효과가 나타나야지만 유의미 하다는건 신뢰구간하고는 별개의 문제라고 보여집니다.
IRENE_ADLER.
16/03/13 08:46
수정 아이콘
위에 분들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그리고 말씀하신 건 신뢰구간이 아니고 신뢰도입니다.

95%라는 건 모평균이 신뢰구간 안에 있을 확률이 95%라는 말이죠. 신뢰구간이 넓으면 넓어질수록 신뢰도는 오르지만 통계적 가치는 점점 떨어지죠. 다만 표본의 수가 많아지면 상대적으로 신뢰구간이 좁아지구요.

윗분과 조금 다른 예시를 들어보면 출구조사시 40%의 득표율을 보인 A 후보의 실제 득표율 예상을 할 때 0%에서 100%일 것이라고 말하면 신뢰도는 100%인 예상이 되지만 무의미한 예측이 됩니다. 반대로 39%에서 41%로 예상하면 빗나갈 확률이 높아지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664 [질문] 일본어를 애니나 드라마로만 배우신 분 계신가요? [30] 갓지4367 16/03/13 4367
79663 [질문] 바둑 9단한명 vs 9단5명 [10] 에버그린4674 16/03/13 4674
79662 [질문] 아크로벳 프로 PDF 사용 질문 있습니다. [8] 드림1922 16/03/13 1922
79661 [질문] 갑자기 매일 꿈을 꿔서 피곤하네요 [4] 해먹이필요해3194 16/03/13 3194
79660 [질문] 탈모예방이나 치료에 두피마사지 정말 효과있는지요...? [5] nexon2420 16/03/13 2420
79659 [질문] 진료비/급여비 용어 및 의료 통계 관련 질문드립니다. [4] 무료통화5845 16/03/13 5845
79658 [질문] 강아지 키워주실 분 찾습니다. [6] 연애왕스토킹2775 16/03/13 2775
79657 [질문] 이걸 결벽증이라고 해야하나요? 저와 같으신분..?? [8] Kaga2565 16/03/13 2565
79656 [질문] 화이트데이날 초콜릿을 선물하려 합니다. [6] 토폴로지2086 16/03/13 2086
79655 [질문] [프로듀스101] 인기가 굉장한가요? [4] 얼티멧클론2207 16/03/13 2207
79654 [질문] [디아2] 캐릭터 육성방법 질문드려요 [11] 냠냠이3771 16/03/13 3771
79653 [질문] 모니터로 tv를 보고 싶습니다. [2] Dwyane1783 16/03/13 1783
79652 [질문] 요즘 한국에서의 직장문화, 취업난 관련 다큐 추천 받아요 [1] 옥옥1569 16/03/13 1569
79651 [질문] 컴퓨터에 애드웨어가 잠입한 것 같습니다. [4] 2015년10월9일1731 16/03/13 1731
79650 [질문] 스타와 바둑중에 어느게 할 줄 아는 사람이 많을까요? [20] 레너블3323 16/03/13 3323
79649 [질문] 제주도 맛집 멋집 추천부탁드립니다. [25] 이청준3893 16/03/13 3893
79648 [질문] 윈도우용 옛날게임을찾습니다 [3] 시오냥1668 16/03/13 1668
79647 [질문] 울산 사회인 야구 생초보 가입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5] 워크초짜2391 16/03/13 2391
79646 [질문] 펜타그래프 키보드 추천 부탁드려요 [1] Love.of.Tears.2744 16/03/13 2744
79645 [질문] 논문의 신뢰구간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4] Hyun.4035 16/03/13 4035
79644 [질문] [LOL] 손 많이 안타고 캐리력 좋은 챔프 뭐있을까요 [11] RealGN7374 16/03/13 7374
79643 [질문] 군대에서 ~말입니다 <- 요 말투 [33] 뀨뀨3354 16/03/13 3354
79642 [질문] 아 이번 화이트데이 망했네요 [8] 좋구먼3884 16/03/13 38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