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12 17:24:00
Name Kobe
Subject [질문] 바둑 입문시 실력한계 질문
현직 바알못입니다. 나중에 여유가 되면 배워보려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긴 한데요.. 언제가 될지는 아직 모르겠네요.

궁금한게 늦게 바둑을 시작했을때 어느정도까지 올라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보통 아마5단이면 바둑 해설이 가능하고 어느정도 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이정도는 힘들겠죠?

그냥 늦게 한 3-40대에 바둑을 시작했을때 보통 어느정도까지 실력 향상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왕삼구
16/03/12 18:09
수정 아이콘
아마 5단이면 타이젬 바둑으로 7단, 8단 실력정도인데 요즘은 좋은 책도 많고 인터넷으로도 쉽게 많은 정보도 얻을 수 있고 교습도 할 수 있으니 노력만 한다면 어렵지는 않습니다. 물론 아마추어로는 꽤 잘두는 것이라 빨리 되기는 어렵습니다. 바둑 자체가 어렵기도 하고요. 단지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모든 일이 그렇지만 시간+노력에 비례합니다.
레모네이드
16/03/12 21:24
수정 아이콘
이런 신문칼럼이 있었습니다.

'나이가 들면 왜 바둑이 늘지 않을까. 누구나 갖게 되는 의문이다.
중학교나 고등학교 시절에 바둑을 배운 사람이라면, 그래서 바둑 에 정진하는 시간을 가진 사람이라면 거의 예외 없이 1급(아마5단 정도)까지는 간다.그러나 나이가 들어 군대 가서 바둑을 배운 사람 은 실력이 좀 더 낮아지고 서른이 넘어 바둑을 배웠거나 어려서 바둑을 익혔더라도 계속 덮어두었다가 훗날 어른이 되어 다시 시작한 사람들은 3 - 5급 언저리에서 멈춰 더 이상 진보하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다. ~중략~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은 1년이면 아마1급이 되고 2, 3년이면 아마 강자가 되는데 대학 때 바둑을 배우면 두 배가 걸리고 30대에 바둑을 배우면 강1급이 되는 게 거의 불가능해진다. ~후략~ '

개인차가 크긴 하지만 나이가 들면 확실히 더디긴 합니다.
16/03/13 05:29
수정 아이콘
두분 모두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634 [질문] 신용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 류시프1631 16/03/12 1631
79633 [질문] 환갑아버지 생신선물... [1] coolasice4256 16/03/12 4256
79632 [질문] 한국과 일본 아이돌의 세계적 인기 [19] wannabein4323 16/03/12 4323
79631 [질문] 친노패권주의가 뭔가요 ? [13] 삭제됨2160 16/03/12 2160
79630 [질문] 초인공지능이 있다면 타임머신도 있어야하는 것 아닌가요? [31] 유노윤하4437 16/03/12 4437
79629 [질문] 옛날 게임 질문입니다 [5] sen vastaan1681 16/03/12 1681
79628 [질문] 그래픽카드 수명이 다한걸까요?+ 노트북 추천 부탁. 아재2323 16/03/12 2323
79625 [질문] 공학 공식(?) 하나만 질문드립니다. [1] LastCarnival1130 16/03/12 1130
79624 [질문] 예전 박지성 선수가 맨유에서 뛸 때 [3] adgredi2001 16/03/12 2001
79623 [질문] tvn 실시간 티비 하루만 이용할방법이 있을까요? [1] Kainn2825 16/03/12 2825
79622 [질문] [도로] 여기는 동탄입니다 바다가고싶어요 [2] 시미군2278 16/03/12 2278
79621 [질문] 좌식 컴퓨터 책상 추천 부탁드립니다. 아름답고큽니다1864 16/03/12 1864
79620 [질문] 바둑 입문서 질문입니다. [11] Nasty breaking B5293 16/03/12 5293
79619 [질문] [LOL] 다인랭하실분~ lenakim1291 16/03/12 1291
79618 [질문] 아는 형 부부에게 아기가 생겼습니다 어떤 선물이 좋을까요? [8] 스웨트2339 16/03/12 2339
79617 [질문] 바둑 입문시 실력한계 질문 [3] Kobe2267 16/03/12 2267
79616 [질문] 해외직구 배송비용에 대한 질문입니다. 단수1882 16/03/12 1882
79615 [질문] 남포동에 횟집 괜찮은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4] RuleTheGame1900 16/03/12 1900
79614 [질문] 친노 말살 정책(?)에 대해 이해가 안갑니다. [6] 캐리건을사랑1779 16/03/12 1779
79613 [질문] [스타1] 설치시, 질문사항 [1] 니이모를찾아서1399 16/03/12 1399
79612 [질문] 스팀 환불 받아보신 분 계신가요? [9] 유노윤하3598 16/03/12 3598
79611 [질문] 혹시 오리온 초코파이 바나나맛 구하신분 있나요? [2] 뀨뀨2912 16/03/12 2912
79610 [질문] 애플티비 사용질문이요 사랑총1697 16/03/12 16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