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08 20:04:11
Name DogSound-_-*
Subject [질문] 전세금 대출 문의 드려요
안녕하세요 DogSound입니다,

제가 이번에 계약직(정규직 전환 X)으로 ㅠㅠ 취업이 겨우겨우 되었는데요

직장이 지방입니다. 그래서 모아놓은 돈은 없고 학자금 대출로 약 700정도 있습니다.

이상태에서 전세금을 대출받으려고 하는데

직방이나 다방어플로 그 주변을 보니 월세의경우 100/25~30 중반정도, 전세의 경우 4천~5천정도 하더라구요..

이러면 전세금 대출을 받는게 좋을까요 아님 월세로 내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학자금 대출로 인한 전세금 대출 불이익은 없을까요??

아 그리고 기간은 약 2년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3/08 20:10
수정 아이콘
일단..전세대출을 받을수 있다면 대출받아 이자내는게 월세 내는것보단 금전적으로 이득이겠죠.
DogSound-_-*
16/03/08 20:1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역시 전세가 낫긴 하겠군요!
16/03/08 20:13
수정 아이콘
학자금 대출 있으시면 전세대출 한도 선정시에 어느정도 차감이 됩니다.
저정도 가격이면... 너무 낮은 가격이라 대출 받아도 대출한도가 별로 안나오실텐데요..
보통 임차보증금의 최대 80%라고 보시면 됩니다.
DogSound-_-*
16/03/08 20:16
수정 아이콘
임차보증금의 최대 80%라는게 무슨 뜻인지 설명부탁드려도 될까요? ㅠ
16/03/08 20:20
수정 아이콘
본문 내용이 조금 바뀌셨네요.
예를 들어 전세보증금이 5천이라고 하면 최대 80%인 4천까지가 은행에서 최대로 대출이 가능한 한도구요.
신용도라던지 소득이 작으시면 금액이 4천보다 적게 나오실 수 있습니다.
또한 은행이나 기금 전세대출은 보증서 대출인데 보증서에서 보증을 해주지만 일부는 신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학자금 대출때문에 한도가 적어질 수 있다고 말씀드린겁니다.
연 3% 금리로 계산해봐도 한달 내는 금액이 월세보다는 전세가 적습니다.
16/03/08 20:16
수정 아이콘
전세대출이랑 신용 대출이랑은 따로 가는걸로 아는데...
DogSound-_-*
16/03/08 20:17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신용과 전세는 상호 관계가 없는건가요??
베스킨라
16/03/08 20:27
수정 아이콘
전세 집을 구할수 있고 대출로 돈도 마련할 수 있으면 확실히 전세가 더 나을듯 한데요.
전세대출도 요건을 이것저것 갖춰야해서 아마 쉽지 않을거에요. 은행에 가셔서 한번 상담 받아보셔도 좋을듯 하네요.
무지니닷
16/03/09 08:28
수정 아이콘
전세 자금을 위한 대출로 세팅하기 위해 크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일반 신용대출로 돈을 대출 받아서 그걸로 전세금을 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신용도만 된다면 가장 간편한 방법이나 학자금 대출과 신용도로 인해서 원하시는 금액이 안될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율에 따라 월세보다 비쌀수 있습니다.

2. 전세자금 대출은 전세금을 목적으로 진행하는 대출로 은행과 대출계약은 본인이 하지만
돈은 은행에서 집주인 계좌로 바로 넣어주는 형태 입니다. 보통 이자만 갚는형태로 진행하지만
원금과 이자를 동시에 내는 원리금 상환도 있습니다.
위에서 다미 님이 잘설명해주셨지만 보통 전세금의 80%까지 대출가능하며 이율은 2%후반 ~3%중반 내외 입니다.
단점은 조건이 까다롭습니다.
조건으로는 보통 집주인의 동의(유선 또는 서면)가 있어야 하며
해당 주택에 저당, 전세권등이 잡혀있으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부동산을 통해서 계약을 해야하며,
등기부상에 업무용이라 찍혀있는 오피스텔은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제가 이거때문에 못받은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해당 지역 부동산 가셔서 전세자금 대출을 받아야 하는데
해당요건에 맞는 집 찾아달라고 해서 진행하였습니다.
참고로 전세자금대출의 원리금 상환금의 일부는 소득공제도 해줍니다.
16/03/09 14:10
수정 아이콘
최근에 전세금 대출을 진행하고 있어서 저도 알고 있는 부분 좀 더 첨언하자면,
1금융권 전세자금 대출도 있기도 하고요, 마찬가지로 1금융권에서 신청하고 진행하긴 하지만,
국가 주도로 진행하게 되는 전세자금대출(SH, LH) 도 있으니 한번 알아보시구,(이율이 깡패에요 1프로 후반~2프로 초반도 있는 모냥이네요, 1금융권 전세대출은 요새 보통 3.0전후로나오는듯 하구요.) 이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실적이 있는 주거래 은행(급여이체, 적금상품 가입, 기대출 상환)이 낮은 이율로 대출해 줄테니까 고쪽으로 알아보심이 좋습니다.
SH나, LH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이었나) 는 무주택자일 경우+소득이 좀 낮아야 함, 전세 보증금의 70%(보증금이 5천이라면 삼천오백까지) 대출이 가능하다고 하더군요.
그리구 집주인의 동의 및 반드시 공인중개사를 통해 거래 아마 필요하던가 그랬던것 같습니다.
집주인의 동의가 있고, 본인 신용도나 대출상황 등에 따라서 대출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전세를 임대하려는 주택의 건축물대장상 사용용도가 '근린생활시설' - 보통 요새 원룸이나 오피스텔이 요걸로 되어있답니다. 따라서 건물자체가 대출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요. 대출이 문제없이 진행되려면 주거용 주택, 아파트 등으로 되어있어야 합니다. 건물용도가 요건이 안되더라도 대출을 진행하시고자 한다면 제2금융권이나 저축은행쪽으로 가야하는데 이율은 1금융권보다 상당히 비싸져서 월세나 다름없는 이자를 부담하실 수도 있어요.(보통 1금융의 두배정도의 이율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임대건물 및 방에 융자가 얼마나 있나를 따져서 대출이 안될 수도 있고요.
대출 가능여부 및 한도를 한번 은행에서 상담받아보시구(전세 하시고자 하는 곳의 등기부등본 지참하면 좋아요-융자정도가 잘 나와있으니깐요), 원하시는 한도에서 평균적으로 이율을 잡아서 3.3프로 라고 계산하여 12로 나누면 월 다달이 내야하는 금액이 정확하게 나올겁니다. 요것을 월세와 비교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대출 신청시 결정할 부분이지만, 다달이 이자만 갚다가 여유금이 생겨서 원금의 일부를 상환한다고 할때 수수료가 있으니 요것도 잘 따져보시구요. 예치기간동안 중도 원금 상환 자체를 안받거나 하는 경우도 있기도 하고, 모 은행 같은 경우는 중도 원금상환 수수료가 아예 없는곳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전세금 오천에서 가능한한 한도인 80%인 4천만을 대출진행했을시 4천만 X 3.3 / 12 하면 보통 11만이라는 계산이 나오는데 아무래도 월세보다는 훨씬 낫겠지요~ 더군다나 평균적으로 3.3퍼센트를 잡아서 계산했으니 11만이고 신용도도 좋고 여러가지 상황에 의해서 3.0퍼센트까지만 낮춰도 월 이자 10만까지 떨어지니, 가능하면 전세자금대출을 통해서 월 지출비용을 줄이는게 여러모로 도움이 되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409 [질문] 네이버윕툰 고수 그리고 유료결제 순위 [16] Faker Senpai5070 16/03/09 5070
79408 [질문] 뱃살 감춰주는 속옷 효과있나요? [3] 레너블2181 16/03/09 2181
79407 [질문] [엑셀] 모든 열에 있는 숫자를 곱하려고 할때 질문입니다. [4] 바밤바1487 16/03/09 1487
79406 [질문] 아프리카tv 회원가입 문의드립니다. [2] 삭제됨2035 16/03/09 2035
79405 [질문] DBA를 목표로 두고있습니다. [5] Rated1682 16/03/09 1682
79404 [질문] 다른 지역으로 전입신고를 하면 예비군은 어떻게 되나요? [3] 제로스7087 16/03/09 7087
79403 [질문] 여자친구 선물(립스틱) 여쭙습니다.(질문수정) [12] 삭제됨4932 16/03/09 4932
79401 [질문] 더 디비전 실행오류문제입니다. [1] 따닥6637 16/03/09 6637
79400 [질문] [프로듀스101] 3화에서 욕 나오는거 아닌가요? [3] 비둘기야 먹자2809 16/03/09 2809
79399 [질문] [LOL] 이 경기 찾을 수 있을까요? [4] 타요1554 16/03/09 1554
79397 [질문] 트위터 질문입니다. [3] 이호철1132 16/03/09 1132
79396 [질문] 렌트카 질문입니다 [4] 첸 스톰스타우트1114 16/03/09 1114
79395 [질문] 5만원 내외 위스키나 브랜디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예루리10056 16/03/09 10056
79393 [질문] 볼링 질문좀 드립니다. [6] 빛의강림1613 16/03/08 1613
79392 [질문] 진해 석동 경화동 밥집 추천부탁드립니다(심각) [6] Neo3093 16/03/08 3093
79391 [질문] 치과 믿어야할까요?.. [23] 삭제됨4740 16/03/08 4740
79390 [질문] 윈도우 10 한영 전환 질문드립니다 [2] 포도사과1531 16/03/08 1531
79389 [질문] 게시물을 찾고 있습니다. 도시의미학836 16/03/08 836
79388 [질문] 뱃살이 생긴게 맞을까요? [3] 삭제됨1802 16/03/08 1802
79387 [질문] 제게 맞는 노트북 추천 부탁드려욤 [2] 이센스1462 16/03/08 1462
79386 [질문] 이어폰을 하나 사려고 하는데요... 모델명이 궁금해서요. [16] alphamale1770 16/03/08 1770
79385 [질문] 고등부 영어 커리큘럼이 궁금합니다. 게롤트1397 16/03/08 1397
79384 [질문] 운전면허 갱신기간 질문입니다. [4] fhbtyjs1470 16/03/08 14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