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08 18:49:51
Name 톰가죽침대
Subject [질문] [LOL] 피지컬이 안좋은 사람이 어디까지 올라갈수 있나요?
가끔 롤은 피지컬이 덜 중요한 게임이다. 피지컬이 안좋아도 높은 랭크 가능하다는 글이 있어서 물어봅니다.

여기서 피지컬이 안좋다는 말은 상대법이나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는게 아니라

머리 속으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아는데 막상 한타 상황 같은게 닥치면 머릿속이 하얗게 되서 당황해서 막하게 된다던가

분명 상대방이 이쯤에서 어떤 스킬을 쓸지 예상은 되는데 손이 안따라서 피할수가 없는경우

상대 논타겟 스킬 같은걸(블츠q같은) 점멸이 없으면 아예 피하지 못하거나 혹은 있어도 반응속도가 늦어서 못피하는경우

주문 보호막으로 상대 스킬을 막는걸 10번 시도하면 10번다 맞는경우

정도의 피지컬 상태를 말하는데 이정도 피지컬이면 어느랭크까지 가능한가요?

*본문 수정합니다. 위에서 말한 피지컬 기준은 브론즈에서도 저정도라는걸 의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슈퍼마리오
16/03/08 18:55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정도로는 골드.
피지컬이라는건 원래 상대적인겁니다.
난 피지컬 안좋고 운영으로 다이아 갔다 하는 사람들도 브론즈랑 라인전 붙으면 미친듯이 솔킬 딸 수 있습니다.
그게 피지컬이고요.
톰가죽침대
16/03/08 18:58
수정 아이콘
본문 수정했습니다.
쎌라비
16/03/08 18:5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정도가 감이 잘 안오긴하는데 말파궁 아무리 의식해도 점멸로 못피하는 제 친구가 플레1인가 까지 찍었었어요. 본문 정도면 골드정도가 되지 않을까요?
16/03/08 19:02
수정 아이콘
많이 해서 학습효과를 쌓아야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하루에 했던게임을 이긴게임만 복기하면서 많이 늘었던것 같습니다 이긴게임도 아쉬운 상황 엄청 많거든요
암튼 스타 APM 80이던 제가 플레는 쉽게 가니 플렌까진 됩니다
톰가죽침대
16/03/08 19:05
수정 아이콘
어떻게 상대해야하는지 모르는게 아니라 어떻게 상대해야하는지 아는데 실행을 못하는 경우입니다.
16/03/08 19:12
수정 아이콘
많이해서 경험을 쌓는것 밖에 없습니다 저도 스킬 보고는 절대 못 피해요. 라인전은 실버에서도 자주 지고요. 그래서 타겟후순위인 탱커를 하거나 순간 어그로 확 빼고 빠져나올수 있는 챔프 위주로 함니다
16/03/08 19:05
수정 아이콘
제가 케일로 스킬 다 맞고, 라인전 맨날 지면서 플레까지 갔습니다. 탱커같은거 했으면 좀더 올라갔을까 싶네요.
정육점쿠폰
16/03/08 19:06
수정 아이콘
저 정도면 브론즈 못 벗어나실 거 같은데..
언뜻 유재석
16/03/08 19:07
수정 아이콘
불꽃남자라고 다음팟PD가 있습니다.

원래는 뭐 컨셉잡고 하기도 했는데 최근 좀 빡겜하면서 다이아1~2정도(MMR2100수준)에 있습니다.

시청자들 재밌으라고 르블랑이나 리신 같은거 하면 100% 개그겜 만들어 내는 그야말로 손 안되는 사람입니다.

지금도 보면 점수 올릴려고 노틸탑, 워윅정글, 럼블정글, 올라프탑, 누누정글 이런것만 합니다. 원딜은 아예 손도 안대구요.

피지컬이 필요없는 챔프만 하면서도 티어유지는 합니다. 방송보면 가끔 컨셉이 튀어나올때 있지만 탑 딜교를 하다가 어 이거 정글 여기 있겠네 하면

거기 있습니다. (가서 죽어주는건 함정) 텔포쓰는거나 스킬샷 맞추는거 아쉽긴 하지만 상황판단이나 한타때 자신이 해야하는 역할은 정확히 알고

있습니다. 교육방송식으로 설명해주진 않지만 웃으면서 보다보면 탑탱커나 이니시에이터의 역할, 정글러로서 오브젝트 타이밍(특히 바론) 같은건 잘

잡아 내더라구요. 보면서..아 저렇게 손이 구리고 컨셉방송 하면서도 꾸역꾸역 여기 있는거 보면 확실히 손이 조금 부족해도 올라갈순 있구나 싶습니다.


그와 대척점에 있는건 우리 홀스형... 저번에 방송하시길래 잠깐 봤을때 탑 노틸을 하시는데 라인전 하는건 불꽃남자랑 별반 다르지 않았습니다.

대신 초반에 좀 잘 컸는데 중반부터 하는게 없더라구요. 상대랑 무의미하게 딜교하다 집가고 텔도 있으면서 한참을 교전장면 구경만하고 시청자들이나

같은편이 텔 왜 안타냐니까 어차피 늦었다고 하고..(본인은 라인복귀 하시면서 한타를 10초를 구경함) 오브젝트에 대한 감도 없고 한타 때 본인이

탱컨데 마나 없다고 뒤로 빠져서 구경... 노틸이면 평타만 쳐줘도 이득인데... 여튼 계속 보면 암걸릴것 같아서 바로 껐습니다.



말씀하신 상황의 경우엔 이기려는 생각만 가지고 한다면 골드는 간다고 생각합니다.
방민아
16/03/08 19:47
수정 아이콘
불남은 음... 간단한 챔프들만 하다보니 손가락 놀리는게 아직 덜 익숙해보이긴 하지만, 손가락보다 맵리딩이 안되는 쪽에 가까운거 같아요.
16/03/08 21:58
수정 아이콘
불남은 사실 피지컬 좋은 편입니다. 장난 치면서 해서 그렇지.. 크크 사실 방송에서의 모습만 보면 운영할 줄 모르죠. 바론만 외치는 바무새이기도 하고..
시작하기
16/03/09 00:57
수정 아이콘
불남이 피지컬이 안좋을리가요. 당장 오늘만 봐도 요즘 유행하는 반응속도 180ms에 누누 정글은 카정 다니면서 상대 스킬 피하면서 도망가는건데요.
16/03/08 19:09
수정 아이콘
해봐야 알죠.
다레니안
16/03/08 19:09
수정 아이콘
본문정도의 피지컬이면 아무리 노력해도 브론즈를 못벗어납니다
너무 극단적인 경우네요
마이어소티스
16/03/08 19:14
수정 아이콘
예상을 하는데 못피하는건 그냥 예상을 못하는겁니다. 진짜 프로게이머급 아니면 보고 피하는건 거의 없어요. 상대랑 나의 스킬 쿨,타이밍 각보면서 예측하다가 반응해서 피하는거죠. 그리고 피지컬은 상대적인건데 비교적 피지컬이 안좋은 브론즈에서 저정도면 그냥 챔프 이해도 자체가 없는 경우 같네요. 챌린저도 처음보는 캐릭터 스킬을 완벽히 대처 할 수는 없습니다. 안하는 챔피언도 최소한의 정보는 알고 계셔야해요.
말씀하신 예랑은 별개로 일반적으로 피지컬이 안좋아도 골드까지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16/03/08 19:21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b=26&n=78875
비슷한 내용의 글입니다.
그리고 예상을 하는데 못피하는 건 좀 어폐가 있다고 생각하는 게...
블리츠가 그랩할 걸 알면서도 1자 무빙으로 빼는 건 피지컬하고는 상관없는 부분이라고 봅니다.
16/03/08 19:23
수정 아이콘
진짜 반응속도가 느린거면 어쩔수없지만 대부분 저런 경우에는 별 생각없이 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봅니다.
16/03/08 19:40
수정 아이콘
본문 정도면 피지컬이 아니라 로지컬에서부터 문제를 찾아야되는 수준입니다.
미네기시 미나미
16/03/08 19:45
수정 아이콘
사실 저정도면 어떻게 상대해야되는지 안다고 착각하고 있는정도일수 있죠.
16/03/08 19:47
수정 아이콘
아는데 맞을 수가 없어요. 모르는거죠. 피지컬만 안 좋은게 아닌거라.. 브론즈 그대로겠죠.
지직지직
16/03/08 19:48
수정 아이콘
블리츠 q같은 논타겟은 보고 피하는게 아니라 이쯤 쏘겟다 싶으면 무빙 꺽는거죠. 챌린저도 최대사거리가 아닌 이상 예측무빙하다 거리좁혀져서 펀치맞는경우 많이 나오고요.
한타때 멍해지는 것도 긴장해서 그런거지 별로 피지컬하고 관계 없는 것 같네요.
제가 미드 원딜서면 무빙평타하다 평타자체를 캔슬하고 스킬평타 미니언에 때리고 손꼬여서 논타겟 엄한데다 날리고 이러는데 정글로 다이아 달았습니다.
16/03/08 20:03
수정 아이콘
본문은 진짜 말도 안되게 안좋은데요. 브론즈 절대 못 벗어납니다. 알아도 못 피하는 피지컬은 무빙이 없는 것보다 못한건데.
bemanner
16/03/08 20:28
수정 아이콘
눈 코 입 컨트롤로 골드가고 발가락으로 다이아 가는 사람도 있는데요.. 그거보다 피지컬딸려서 못하겠다 그러면 그냥 징징이죠.
신체의 반응속도 및 조작능력이 문제가 아니라, 하안참동안 "이번엔 이렇게 피해야지" 하고 생각을 마친 다음에야 피하려고 누르기 시작하니까 그동안에 스킬이 날아와서 맞는겁니다.

그리고 브론즈에선 1자로 걸어가도 10에 10번 스킬을 맞추지도 못하는데 어떻게 그걸 다맞아줍니까. 게임에서 있을 수가 없는 가정입니다.

http://playforum.net/webzine/news/view/2948 중국에서 발로 다이아가고
트위치에서 얼굴로 컨트롤하는 aieron이 골드가는데요.
16/03/08 21:08
수정 아이콘
한타떄 머리가 멍해지는건 피지컬이 나쁜게 아니죠!
16/03/08 21:13
수정 아이콘
이게 참 미묘한데요....

일반적으로 피하지 못하도록 설계된 스킬을 속칭 프로급 피지컬이 안되서 못피하는 건 티어 상승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표적인 게 말파궁이나 알리점멸꿍, 혹은 논란이 있을 것 같지만 블리츠Q같은 경우, 그리고 본문에 언급된 스펠쉴드로 타겟팅 즉발 스킬을 막는 등의 경우는.....

피하는 쪽의 피지컬이 대단한거지, 못피하는 피지컬이라고 구린 피지컬이라 불릴만한 건 아닙니다. 물론 마챌프 급에선 남들 다하는데 그거 못하면 힘들수도 있겠죠. 그런데 일반인급에선 저정도는 못피해도 됩니다.

다만 피하기가 수월하게, 혹은 반드시 피해야하게끔 설계된 스킬 - 대표적으론 모르가나나 럭스, 멀리 봐서 니달리의 Q나, 아니면 본문에서 언급된 시비르의 스펠 쉴드로 논타겟 막기 등 - 은 못하면 티어 상승에 문제가 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대부분 투사체 속도가 느리고, 맞았을 때의 리스크가 크며, 그렇기에 던지는 쪽이 가급적 시야가 없는 곳에서 던지거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던지게 되는데 그렇지 않고 개활지에서 툭 던진 눈먼 큐에 맞고 죽거나, 시비르가 당연히 막아야 할 상황에 스펠 쉴드로 못막으면 일단 그 사람의 실력보다도 같은 팀원의 멘탈을 뿌셔서 티어 상승이 힘들 겁니다..
16/03/08 21:49
수정 아이콘
니달리 창이나 모르가나 속박을 라인전에서 피할줄아시면 다1까진 가능합니다
16/03/08 21:50
수정 아이콘
제 생각으론.. 글쎄요. 많은 분들 말씀대로 로지컬을 중점에 두셔야 한다고 봅니다.

저도 블리츠 q는 못 피합니다. 럭스 q도 보고 못 피하고.. 모르가나 q도 좀 힘들어요. 말파 궁은 최대 사거리 정도에서 시전할 경우에는 플래쉬로 피하지만 중간 사거리면 쓰는 거 보고 눌러도 늦습니다. 피오라처럼 응수가 중요한 챔프는 사용하지도 못합니다. ㅜㅜ 그래도 플래1까지 올라갔습니다.

올라가려면 핵심을 잡으셔야 합니다. 사실 cs가 중요한 게임이긴 한데, 그건 어느 수준에서의 문제고 핵심은 딜교입니다. 아이템이 앞설 경우에서의 딜교, 혹은 상대 스킬이 빠졌을 경우의 빠른 데미지 계산을 통한 딜교, 내가 상대를 원콤을 낼 수 있느냐의 플래쉬 원콤 딜교. 그런 것들을 기르는게 더 중점적이라고 봅니다. 부수적으로 라인 컨트롤 부분도 익히셔야 하구요. 어떻게 하면 홀딩이 가능하고, 언제 밀어야 하는지. 어떤 상황에서는 빠르게 밀어서 레벨 업을 빠르게 갖춰 딜을 교환해야 하고, 어떤 상황에서는 당겨서 갱을 피해야 하는지.

그런 것들을 기르셔야 합니다. 즉, 잘하는 플레이어 개인 영상을 많이 보시고 왜 저런 플레이를 하는지 머릿 속에 때려 박으셔야 합니다. 상위권 bj, pd, 스트리머들이 본능으로, 피지컬로만 게임하는 것 같지만 행동 하나하나가 계산적입니다. 특히 미드라이너나 탑 라이너들이 언제 라인을 미는지, 언제 홀딩하는지, 언제 딜교하는지. 그리고 그걸 어떻게 이득으로 취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보셔야 합니다. 이 부분은 자신이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주캐를 플레이하는 스트리머들을 보시면서 공부하시면 되겠네요.

머릿 속이 멍해진다는 건, 이 타이밍에 뭘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것 때문에 생기는 겁니다. 따라서, 보세요. 많이 보세요. 그리고 최대한 따라해 보세요. 그럼 가능합니다. 마냥 게임하는 것보다는 이게 훨씬 좋습니다.
karlee88
16/03/08 22:36
수정 아이콘
듣기로 모 방송국 BJ로 인해 기계의 시대가 도래한다더라구요. 그러면 내 스킬은 하나도 안맞고 자기 스킬은 다 맞출테니 피지컬적인 부분에서 인간은 동일한 입장에 처하게 되지 않을까요...
콰트로치즈와퍼
16/03/09 00:40
수정 아이콘
스킬을 의식한다는게 "말파궁막자 말파궁막자" 수준이 아니고, 정말로 본문에서 말씀하신대로 스킬을 언제 어떻게 어느방향으로 쏠지 다 알고 있고, 부가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조작에도 능숙하고, 롤도 많이 해서 롤조작에도 능숙한데 그냥 반응속도 자체가 블리츠Q를 못피할/못막을 정도면 브론즈 탈출 못한다고 봐요.

뭐 말파궁 같은건 좀 빠른데 그런거 10번해서 10번 못막는/못피하는건 큰 상관 없습니다. (제 주위에 말파궁 거의못피하는데 시즌4 다야찍은 "뚜벅이 원딜챔"위주로 하는 사람 있습니다.) 니달리Q 모르가나Q같이 느려터진 스킬을 스펠실드 10번 써서 10번 다 못막을 정도면 그냥 롤 전반적인 플레이 자체에 말도안되는 지장이 있어서 안되요.
송주희
16/03/09 03:40
수정 아이콘
다들 브론즈를 너무 무시하시는군요! 모르가나q 맞는건 패시브고 존야사면 존야쓰는걸 매번 까먹는 저도 실버입니다!
16/03/09 09:11
수정 아이콘
가능한 티어는.. 시즌 3 시절까지는 챌린저(ex 조이럭님)라고 생각합니다만 요새는 마스터(BJ흔한)까지라고 생각합니다.
아프리카 BJ흔한은 뇌지컬이라고.. 유명하지요.
랜슬롯
16/03/09 10:29
수정 아이콘
저는 물론 피지컬도 어느정도를 피지컬로 봐야하는지 모르겠지만 정말 말그대로 똥손이 아니라면 충분히 마스터까지도 올라갈 수 있다고 봅니다만. 한국챌린저야 단순히 잘해서 올라갈 수 있는 곳이 아니니..
YORDLE ONE
16/03/09 11:06
수정 아이콘
이즈리얼이랑 6렙에 원딜 1:1을 하면서, 이즈의 QWR 셋 중 하나를 점멸로 예측해서 피해야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그걸 피할 수 있다면 플레까진 가능하셔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386 [질문] 이어폰을 하나 사려고 하는데요... 모델명이 궁금해서요. [16] alphamale1771 16/03/08 1771
79385 [질문] 고등부 영어 커리큘럼이 궁금합니다. 게롤트1397 16/03/08 1397
79384 [질문] 운전면허 갱신기간 질문입니다. [4] fhbtyjs1470 16/03/08 1470
79383 [질문] 어댑터/충전기 구매 문의 드립니다. 豚6921038 16/03/08 1038
79382 [질문] 전세금 대출 문의 드려요 [10] DogSound-_-*4775 16/03/08 4775
79381 [질문] 게임대회 초청가수 공연 순서 질문.. [5] 솔마1347 16/03/08 1347
79380 [질문] 폴란드를 여행할 때 독일어가 도움될까요? [4] 소야테3209 16/03/08 3209
79379 [질문] 영어 면접 관련 동영상 강의 및 사이트 문댄서1233 16/03/08 1233
79378 [질문] [TOS] 위저드직업트리 뭐가좋을까요? [6] 민최강1185 16/03/08 1185
79377 [질문] [LOL] 피지컬이 안좋은 사람이 어디까지 올라갈수 있나요? [33] 톰가죽침대4690 16/03/08 4690
79376 [질문] 둘이서 같이 할만한 온라인 게임 추천해주세요~ [7] CrucialStar9497 16/03/08 9497
79375 [질문] 라디오스타 초창기, 음담패설 같은 개판(?) 예능 없을까요? [9] 후메참2188 16/03/08 2188
79374 [질문] 커리의 오픈 3점 성공확률은 몇% 정도 되나요? [5] 마르키아르2722 16/03/08 2722
79373 [질문] [WOW] 던전 혈투의 전장 보스몹이 얼어있습니다. [4] 주전자5021 16/03/08 5021
79371 [질문] [LOL] 락스타이거즈 선수들 나이가 어떻게 되나요? [5] RENTON6780 16/03/08 6780
79370 [질문] 평균과 표준편차 관련 질문 [10] Je ne sais quoi1479 16/03/08 1479
79369 [질문] 체지방 감소를 위한 식단 바꾸기 질문 [5] 스위든1921 16/03/08 1921
79368 [질문] [하스스톤] 어떻게 즐겨야 하나요?? [17] Bruce Wayne 2198 16/03/08 2198
79366 [질문] [여행] 오사카로 가게 되었습니다. [26] 류지나3026 16/03/08 3026
79365 [질문] (실내) 제자리 멀리뛰기 팁 같은게 있을까요... [7] Dow2650 16/03/08 2650
79364 [질문] 혜화역 근처에 공공 운동기구 놓인 곳이 있을까요? [5] 아름답고큽니다3587 16/03/08 3587
79363 [질문] [디아2] 아직도 많이 하나요? [8] Manchester United2874 16/03/08 2874
79362 [질문] 안드로이드 앱의 언어 질문입니다. [2] 4872 16/03/08 8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