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07 20:33:53
Name 레너블
Subject [질문] 스테판커리? 라는 선수에 대한 질문입니다.
농구경기 본적도 없을만큼 아예 모르는 사람인데요.
한 1주? 2주전부터 스테판커리라는 선수가 되게 잘한다는 소식을 마구 듣고 있습니다.

그래서 궁금한게
우선 현제 농수선수들 기량중에 압도적 1위가 맞는지? 그리고
커리라는 선수가 최근들어 갑자기 기량이 늘은건지 아니면 최소 1년 전부터 최고 기량을 뽐내 왔던 선수인지 궁금합니다.

또 축구로 치면 메시라고 할만큼 엄청난거 같던데
축구 역시 잘 모르지만 호날두 말고는 메시 >>>>>> 기타 선수 요렇게 알고 있거든요.
커리라는 선수도 다른 선수들과 기량차이가 압도적으로 차이가 나는지요?

마지막으로 커리라는 선수를 이번에 알기 되기전까지 들어본 농구선수가
르블론 제임스?라는 선수라 이 선수가 가장 잘하는지 알았거든요. 농구는.
이 선수는 어떻게 된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쩌글링
16/03/07 20:40
수정 아이콘
압도적 1위 맞습니다.
최소 작년 시즌 MVP 이고 올해도 유력합니다.
이미 올해 MVP 싸움이 아니라 레전드들과 비교됩니다.
르브론은 여전히 괴물입니다만, 아무래도 커리 덕분에 작년 부터 2인자 포스입니다.
(물론 포지션도, 플레이 성향도, 전성기도, 컨퍼런스도 다르기에 직접적인 비교대상은 아닙니다.)
레너블
16/03/07 20:43
수정 아이콘
이 기회에 농구에 관심이 생겨서 좀 찾아보고 있는데
포지션중에 포인트가드가 1번인가? 아무튼 포인트가드가 가장 매력있는 포지션으로 느껴지는데
혹시 르브론이나 커리가 포인트 가드인가요? 아니라면 요새 뛰어난 포인트 가드 누가 있을까요?
쩌글링
16/03/07 20:52
수정 아이콘
올해 포인트 가드 퍼스트팀은 스테판 커리와 러셀 웨스트브룩 으로 짜여질 가능성이 높고, 크리스폴 등은 세컨드 팀에서 경쟁 구도 입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교과서적인 혹은 전통적인 포인트 가드 역할로서의 전형은 크리스폴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합니다. 커리는 아무래도 스코어러로서의 장점이 극대화 된 편이라 좀 특이한 편입니다.
레너블
16/03/07 21:09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근데 포인트가드가
다섯포지션중에 키가 가장 작은 선수들이 밀집해있나요?
16/03/07 21:18
수정 아이콘
매직 존슨처럼 장신의 PG도 있긴 한데 대체적으론 작습니다.
네이트 로빈슨이나 스피디 클렉스턴 같은 선수들은 180이 될까 말까한 신장이었구요.
국내에도 이현민 같이 작은 선수들이 PG를 보고 있죠.
16/03/07 21:05
수정 아이콘
스테판 커리는 PG가 맞고 르브론 제임스는 SF입니다. 근데 최근의 PG들은 정통 PG가 거의 없습니다.
때문에 스테판 커리, 러셀 웨스트브룩, 데미안 릴라드 같은 폭발적인 공격력을 자랑하는 PG들이 첫 손에 꼽힙니다.
꽃블린
16/03/07 20:45
수정 아이콘
커리는 포인트가드
르브론은 스몰포워드 입니다.
요새 뛰어난 포인트가드는 스테판 커리,러셀 웨스트브룩,크리스폴,데미안 릴라드,카일 라우리
마음속의빛
16/03/07 21:14
수정 아이콘
농구의 기본 포지션에 대해 아시나요?

가장 크게는 5가지 센터, 파워 포워드, 스몰 포워드, 슈팅 가드, 포인트 가드로 나뉘어 있으며,
이런 역할에 따른 명칭이 아닌 다른 명칭도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센터는 주로 골대 밑을 사수하며, 공격 때는 득점을 시도할 수 있고, 아군이나 적군 슛이 실패했을 때 노골된 공을 잡아
아군의 공격시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파워 포워드는 센터의 보조로, 항상 센터가 골밑에만 있을 수는 없기에 센터가 없을 때는 센터 역할을 하고,
센터가 있을 때는 센터보다 약간 넓은 범위에서 센터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센터와 파워 포워드는 대체로 체격이 크고 힘이 강한 선수들이 주를 이루지요.

스몰 포워드는 대체로 공격 때 가장 다양한 공격 스킬을 가진 선수로 어중간한 상황에서 게임의 흐름을 이끄는 플레이메이커 역할을 합니다.
골밑으로 들어가거나 파워 포워드와 함께 3점슛 안쪽에서 2점 슛을 노리거나 슈팅 가드와 함께 3점슛 바깥쪽에서 3점 슛을 노립니다.

사람의 기량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파워 포워드가 수비적인 성향이 강하다면, 스몰 포워드는 공격적인 성향이 강합니다.

마이클조던이나 르브론 같은 선수들은 대체적으로 스몰 포워드 포지션입니다.
플레이 메이커로 공격할 때 화려한 포퍼먼스를 보여줄 수 있지요. (축구로 치면 메시 같은 만능 공격수)

포인트 가드는 게임의 흐름을 유도하는 '코트 위의 감독'으로 기본 소양이 빠른 드리블과 날카로운 킬패스입니다.
(축구로 치면 볼을 운반하며 센터링과 패스를 주무기로 상대 수비를 흔드는 미드필더입니다.)
체격이 큰 사람이 유리한 농구게임에서 체격이 작은 선수들은 여러모로 다양한 기술을 익히는데 어려움이 많습니다.
그래서 보통 체격이 작은 사람들은 이 포지션에서 드리블과 패스를 마스터하여 시합의 흐름을 보는 눈을 갖습니다.

슈팅 가드는 오직 득점만을 위한 득점 머신으로 대체적으로 주무기는 3점라인 바깥 쪽에서 쏘는 3점슛입니다.
정석대로라면, 포인트 가드가 공을 가지고 게임을 시작하며, 포인트 가드가 그 때 그 때 상황을 보고
슛 득점이 가능한 상황에 있는 다른 팀원(센터, 파워포워드, 스몰포워드, 슈팅 가드)에게 공을 연결시켜 게임을 리드합니다.

말씀하신 커리는 포인트 가드처럼 빠른 드리블을 통한 속공과 패스를 통한 어시스트 능력이 뛰어나며,
슈팅 가드처럼 3점슛을 기가막히게 잘 쏩니다. (축구로 치면 과거 브라질의 호나우드처럼 최전방 공격수)
단순히 공을 받아서 던지는 것 뿐만 아니라 본인이 공을 가지고 코트 전체적으로 어디에서든 활약을 다 하기 때문에 특별합니다.

흔히 듀얼가드라고, 포인트가드와 슈팅가드 역할을 골고루 소화할 수 있는 선수들이 종종 있었지만
이 선수처럼 가드 포지션에서 다재다능한 선수가 몇이나 있었나 싶을 정도로 뛰어납니다.

3점슛 부문에서도 슛을 쏘는 위치도 다양하고, 공을 던지는 속도가 매우 빨라 블로킹 당하는 일도 별로 없으며, 슛 성공율이 기가막힙니다.
이미 NBA 기록에서 3점슛 부문에서 최고급 기록을 갱신하고 있으며, 농구 역사 이래 가드 포지션에서 이 선수와 비교할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축구로 따지면, 포지션을 따졌을 때 메시급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마이클조던이나 르블론과 비교하면 어떠냐 라는 건 축구할 때 최고의 수비수와 최고의 골키퍼 중에 누가 최고냐 하는 것처럼
전혀 성향이 다른 포지션을 비교하는 것이기에 답이 없습니다.

어떤 스포츠든 주목받는 포지션이라는 게 있는 법이고, 농구는 센터 싸움이라는 말처럼 공격과 수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센터와
농구 전성기 때 가장 인상깊은 모습을 보여준 스몰 포워드 포지션은 보여주는 것이 매우 화려합니다.
그에 반해 아무리 열심히 잘 해도 패스만으로는 얼마나 잘하는 지 일반인이 알기 어려운 포인트 가드나
안전하게 패스 받아서 3점슛만 쏴대는 슈팅 가드의 이미지는 그리 대단한 평가를 받지 못합니다.

그런데, 커리 선수는 주목받기 어려운 가드라는 포지션에서 두 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하면서
특히 3점슛이라는 부분에서 NBA 농구계에 기네스북을 작성하고 있는 중이라 주목받지 않을 수가 없네요.
배고픕니다
16/03/07 21:19
수정 아이콘
잘 읽고갑니다. 감사합니다
16/03/08 07:17
수정 아이콘
조던은 대표적인 슈팅가드입니다...
마음속의빛
16/03/08 12:06
수정 아이콘
놀랍네요. 여태 스몰 포워드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16/03/08 22:20
수정 아이콘
시카고 불스의 스몰 포워드는 스카티 피펜이었습니다. 이 쪽은 포워드의 공격력도 가지고 있었지만 패싱과 시야가 가드급이었죠.
마음속의 빛님이 생각하시는 캐치&슛 역할은 론 하퍼나 스티브 커와 같은 포인트 가드가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캐치&슛의 역할은 카일 코버나 퀸튼 리차드슨 같은 포워드 성향의 스윙맨이 많이 합니다.
상호보완적이겠지만 슬래셔 유형의 SG가 있다면 캐치&슛 성향의 SF가 뛰겠고 3P슈터 SG가 있다면 페넌트레이트 위주의 SF가 뛰겠죠.

말년의 워싱턴 위저즈에서의 마이클 조던은 리차드 해밀턴에게 슈팅 가드 자리를 내주고 스몰 포워드로 뛰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전성기의 마이클 조던은 틀림없는 슈팅가드죠.
레너블
16/03/07 21:20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분들 감사합니다.
특히 마음속의빛님은 엄청난 장문을.. 대단히 감사합니다.
아 그리고 혹시 이 커리라는 선수가 가장 활약한 경기 아무거나 하나 알 수 있을까요?
느껴보고싶네요 크크
마음속의빛
16/03/07 21:23
수정 아이콘
주로 3점슛 라인 밖에서 활약 http://www.youtube.com/watch?v=C0HtFvZC5W8&feature=youtu.be
주로 3점슛 라인 안에서 활약 https://www.youtube.com/watch?v=8aCcUmImr8A#t=150 )
아케르나르
16/03/08 04:08
수정 아이콘
저번달, 그러니까 2월 29일자 오클라호마시티 전 찾아보시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하이라이트라도요. 그 경기가 상당히 재밌었던 데다가, 커리가 한 경기 최다 3점슛 타이기록을 세우기도 했고, 3포인트 성공률도 12/16. 75%였던 미친 경기였어요.
마음속의빛
16/03/08 17:51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pb/pb.php?id=humor&no=266825

오늘 새롭게 유머게시판에 올라온 글인데, 동영상이 괜찮네요.
고래상어
16/03/07 21:24
수정 아이콘
3점은 이것만 보셔도 어떤 상황인지 감이 잡히실 겁니다.
https://pgr21.com/?b=10&n=266142
화이트데이
16/03/07 22:21
수정 아이콘
포지션에 따른 역할이 달라서 어렵지만, 적어도 슈팅 가드란 포지션에 새로운 충격을 안겨준 선수란 것은 확실합니다.
쿠로다 칸베에
16/03/07 22:32
수정 아이콘
2009년 드래프트에서 뽑힌 선수니까 nba에 입성한지는 꽤 지났죠
중간에 발목부상도 있었고 이런 유형의 선수들은 한계가 명확하기에 사실 큰 기대는 없었습니다
단적으로 nba는 루키가 된 후 4년뒤에 제한적 FA신분이 되어서 계약을 갱신하게 되는데 이때 이 선수가 갱신하면서 받게 된 금액이 리그 평균수준입니다.
하지만 팀에서 꾸준히 푸쉬를 받고 고질적인 부상문제도 운동화 메이커를 바꾼 영향인지 떨쳐내게 되면서 점점 기량이 상승해서
기존에 이런 선수들이 가지는 한계라고 할까 틀을 부숴버리면서 성장하게 됩니다

보통 nba 슈퍼스타들은 루키시즌부터 피지컬로 상대를 찍어누면서 몬스터시즌을 보내던 것과는 사뭇 다르게 대기만성형의 스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메시와 종종 비교되곤 하는데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작은 신체로 자신보다 큰 골리앗들을 압도하는 모습에서 비슷한점이 있고
무언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각기의 종목에 관한 상식이나 틀을 부숴버리고 활약하면서 새로운 메타를 창조해 내고 있다는 점이 비교가 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345 [질문] 금붕어 잘키우는법(장치없이) [7] 사도세자3606 16/03/08 3606
79344 [질문] 이세돌 알파고 싸움 예견할수 있으려면 [9] will2397 16/03/08 2397
79343 [질문] 성욕은 언제부터 줄어드나요? [21] 서연아빠3947 16/03/08 3947
79342 [질문] 여성전용주차공간.. 지키시나요? [24] 냉면과열무3088 16/03/08 3088
79341 [질문] 운전연수 관련해서 질문드리겠습니다.(1, 2종) [5] 비야레알1508 16/03/08 1508
79340 [질문] 의미없는 질문인데.. 마씨가문 마이클 잭슨 vs 마이클 조던 [24] aura6187 16/03/08 6187
79339 [질문] 애니메이션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오즈s1645 16/03/08 1645
79338 [질문] 향방작계 얼룩무늬 군복에 디지털 야상 입어도 될까요? [6] Mosby2938 16/03/08 2938
79337 [질문] 사무용 키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5만원 이내) [4] Secundo4086 16/03/08 4086
79336 [질문] [정치] 안철수 지지자분들 요새 어떤 심정이신지가 궁금합니다. [22] HesBlUe3349 16/03/08 3349
79335 [질문] 제 메인보드로 CPU 어느모델까지 업그레이드 가능한건가요? [3] 교리교리1773 16/03/08 1773
79334 [질문] 친구가 피시방 땡처리 컴을 샀습니다... [13] 주인없는사냥개3587 16/03/08 3587
79333 [질문] 노트북 고수님!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 다음1704 16/03/08 1704
79332 [질문] 2,000가지고 결혼할 수 있나요?? [15] Kaga3744 16/03/08 3744
79331 [질문] pc 부팅문제 질문드립니다. [2] 쉬군1822 16/03/08 1822
79330 [질문] 친구 모친상입니다. 오늘 내려가는데 장례예절 궁금합니다. [8] 제 어머9326 16/03/08 9326
79329 [질문] 문예 창작과에서는 무엇을 배웁니까? [2] 연환전신각1971 16/03/08 1971
79328 [질문] 29 남자 취업관련 질문입니다. [9] 마이스타일4057 16/03/08 4057
79327 [질문] 왜 농구는 개인 타이틀을 평균으로 따져서 주는건가요? [12] 에버그린4055 16/03/08 4055
79326 [질문] 콜라의 카페인 때문에 잠이 오지 않을 수도 있나요? [7] 아름답고큽니다12325 16/03/08 12325
79325 [질문] ................................................................................................................................... [12] 삭제됨3307 16/03/08 3307
79324 [질문] 면바지 질문 [4] 연필깎이1676 16/03/08 1676
79323 [질문] 혜화동이나 가까운 부근 레스토랑 추천 부탁드립니다. [2] EAYA1745 16/03/08 17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