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02 01:48:39
Name 꼭두서니색
File #1 Screenshot2016_03_02_01_33_42.jpg (369.7 KB), Download : 19
Subject [질문] [스타2] 테란으로 저그 어떻게 상대하시나요..


마스터가 가고픈 30대 아재입니다.

군심때까지는 전종족상대 승률이 비슷하고 저그전이 약간 더 좋은편이었는데, 첨부파일 보면 아시겠지만 공유와서는 저그전이 완전 무너졌습니다..ㅜㅜ

래더에서 만나는 저그들은 바멸충을 많이 쓰더라구요. 2부화장 or 3부화장 올인부터 감염충을 섞기도 하고 잠복바퀴 견제에 땅굴에 별별 변형이 있지만 베이스는 다 바멸충이었습니다.

이걸 이겨보겠다고 예전에도 질게에 올렸었는데, 해불의 베이스에 탱료선이나 해방선을 섞어봐도 컨이 안되서 그런지 너무 힘듭니다. 탱료선은 컨이 안되고 해방선은 자리잡으면 궤멸충에 다 죽고..ㅜㅜ 정면싸움도 힘들더라구요. 담즙 왜 이리 센가요..

의료선 견제로 흔들어야 된다는 글을 봐서 의료선 견제를 해보려 하는데 가는데마다 포촉+가촉이 2~3개씩 있어서 여의치 않기도 하고, 보내놓고 정면교전하느라 신경을 못쓰다가 한참후에 내리기도 하고 영 안되더라구요.

제가 저그전에서 쓰는 빌드는 사신더블후에 군수공장->병영에 반응로달고->우주공항 올리면서 군수공장/병영 스왑하고 병영에 기술실->밴시 or 해방선 견제 준비->4염차되면 저그 기지로 견제->2배럭추가 이후 트리플.. 입니다. 제 생각엔 저그전의 기본적인 운영이나 개념 자체를 못 잡고 있는 것 같은데, 피식인에 도움을 청합니다.

마음은 별그마인데 손이나 판단이 안 따라주네요. 도와주세요..(_ 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윌 그레이엄
16/03/02 02:44
수정 아이콘
바멸충은 운영해서 이기려면 견제밖에 없습니다.저도 테란 마스터 승률이 50프로지만
사신더블로 시작해서

처음 의료선 드랍하고 바멸충오면 태워서 안보이는곳에 둿다가
두번째 의료선견제 나간거 바멸충오면 태워서 안보이는곳에 둿다가 처음 의료선 견제 살린거 드랍하고 살리고
세번째 본대 병력 출발해서 바멸충오면 뒤로도망갓다가 처음 의료선 ,두번째 의료선 드랍시키고해서

저그병력을 분산시켜 이런식으로 세방향 네방향으로 흔들고 2/2업 되면 정면으로 가고 의료선으로 동시에 터는데요.

2베이스 올인도 추천드립니다.
http://www.playxp.com/sc2/strategy/view.php?article_id=5417714#!2
꼭두서니색
16/03/02 10:23
수정 아이콘
전 의료선 견제하면 너네는 여기까지야! 하면서 살릴 생각을 딱히 안했는데 꿀팁이네요. 견제+정면 동시 컨은 손이 안 따라가줘서 그랬었는데 말씀해주신대로 연습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름없는자
16/03/02 13:23
수정 아이콘
의료선 무조건 살리셔야 합니다 전 저그 유저인데 저그는 테란과 달리 종족 자체가 일벌레 병력 밸런스 맞추기가 좋아서 의료선 견제에 일벌레 잡혀도 그 의료선이랑 해불만 전부 잡아내면 오히려 저그에게 기회입니다 투베이스 올인 아닌 이상 테란도 의료선견제하다가 병력 잡히면 순간 병력 공백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시간을 못 끕니다. 유일한 예외가 테크건물이 깨질 때인데 (특히 둥지탑같은거) 솔직히 그건 2의료선 드랍 아니면 힘들죠

의료선 견제유닛 살리는거 중요한 것같아요 테란 입장에선
꼭두서니색
16/03/02 16:34
수정 아이콘
의료선 견제가 막힌 후 역공에 많이 졌는데 왜 그랬는지 이해가 되는 조언입니다. 단순히 바멸충 너무 세네 했지 그게 견제병력의 부재라고는 생각을 못했거든요. 뭔가 막혔던게 풀리는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어느새주말
16/03/02 06:33
수정 아이콘
테크트리 자체를 바꾸는것도 도움이 많이 될겁니다. 투배럭추가 하고 트리플을 지을 이유가 딱히 없어보여요. 밴시나 해방선가면 올인같은건 막을 수 있으니까요. 일단 개념자체를 좀 편하게 생각하시면 트리플먹기전까지 테란이 공격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많으니 저그들이 많이 방어적으로 합니다. 그걸 이용해서 완전 배를 불리고 업그레이드나 병력수로 찍어누르는 수도 있고, 아니면 견제를 엄청 날카롭게해서 저그가 예상하더라도 까다로운 해방선, 밴시컨트롤 혹은 정면 기갑병푸쉬 후 살린 기갑병 드랍같은 것들도 많습니다.
꼭두서니색
16/03/02 10:24
수정 아이콘
2배럭추가하고서 병력좀 모으다가 돈 남으면 트리플..이었는데 이게 리플보니 꽤 애매한 빌드더라구요. 어떻게 바꿔야되나 고민하던차에 질문했었는데 다양한 수를 배워갑니다. 기갑병은 생각을 안했었는데 써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아름답고큽니다
16/03/02 07:17
수정 아이콘
투베이스 올인을 하실 게 아니면 좀 더 부유한 플레이를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테란이 저그에 비해 우위에 서는 점은 압도적인 물량이지, 딱히 교전비가 좋다는 느낌은 아니라서...

어차피 밴시면 모든 저그의 올인을 다 막을 수 있으니 화염차도 2기에서 커트하고 1병영에서 트리플 올려보세요.
꼭두서니색
16/03/02 10:27
수정 아이콘
부유하게 하면 병력이 적어서 올인에 밀리고 짜내자니 컨이 안 되서 교전이 망하고..해서 지금 쓰는 어정쩡한 빌드가 됐는데, 말씀하신 빌드도 연습해봐야겠습니다. 염차를 4기까지 찍으니 초반 저글링은 잘 막는데 이후에 잉여라는 느낌이 강했거든요. 좀더 연습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디자인
16/03/02 10:37
수정 아이콘
전 반대로 저그유저에 테란전이 안습인데... 지금 저테전 밸런스는 테란이 좀 유리한 상황이라서 개념만 좀 아셔도 승률 확 오르실겁니다.
저그가 바궤감 체제면 최대한 견제를 많이 해야합니다
의료선 견제와 해방선 견제를요...
30초에 한번씩 견제가야된다는 마인드로 해주시면 됩니다 견제 가는쪽도 손 많이 가지만 막는쪽은 더 많이 가고 더 정신없거든요
최대한 정신없게 만들어서 최적화시키는 걸 방해하고 저그가 스스로 꼬이고 말리게 해야되요
제 생각에 저그를 잘 하는 사람은 단순히 최적화 운영을 잘 하는 사람보단 견제에 휘둘리 않고 최적화 운영을 잘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거든요~
반대로 테란은 단순히 최적화 운영을 잘 하는 사람이 아닌 견제를 꾸준히 잘 하여 남은 꼬이게 하면서 자기는 할 거 다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저그가 뮤링링체제일 때도 마찬가지로 견제는 필수지만 바궤멸 상대할때보단 견제를 더 조심해야 하고 필요할 때만 가줘야 할 것 같습니다~ 견제 갈려다가 뮤탈에 따이면 안 되니까요~
vs 바궤감: 무한견제를 필두로 하여 가급적 정면 싸움은 피하고 무한견제로 저그가 정신을 못 차리고 있을때나 견제피해로 인하여 일벌레 복구 타이밍때 정면에 힘 빡 주고 진출.. 정면 진출시 같이 소수의료선 혹은 해방선 견제가도 베리 굿
vs 뮤링링: 뮤탈 뜨기전까지 최대한 견제해주면서 선취점 따내고 뮤탈 뜰 때는 뮤탈 위치 파악해가며 견제를 최대한 조심히.. 병력 소모전은 센터부근에서 최대한 점막 안 밟고..저그가 무리한 교전해서 재미봤을 때 적극적으로 밀어붙여서 멀티 한두개 뽀개면 유리
저그가 8가스 이상 먹으면 울트라나 무군 뜨면서 많이 피곤해질 수 있으니 8가스 이상은 안 주는 마인드로 병력 운영 하시면 됩니다
꼭두서니색
16/03/02 12:13
수정 아이콘
서로에게 좋은 연습 상대가 될 것 같습니다...크크
저그 입장에서 써주시니 어떻게 할지 명확해지는 느낌입니다. 8가스 이상 주기 싫은건 저도 그렇긴한데 어려워요...ㅜㅜ
윗분들 말씀도 그렇고 견제가 포인트인 것 같네요. 연습 좀 많이 해야겠습니다. 아직 감을 못잡고 있어요..흐흐 조언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8984 [질문] 소설의 아이디어. 피지알의 도움을 구하고자 합니다. [27] 산악왕트래킹3222 16/03/02 3222
78983 [질문] 심심해서 올리는 질문 - 누가 더 잘부르나요? [3] 뀨뀨1990 16/03/02 1990
78982 [질문] [LOL] 마린선수 근황이 궁금합니다 [8] 안마의자7402 16/03/02 7402
78981 [질문] 랩노쉬 아시는분? This-Plus1627 16/03/02 1627
78980 [질문] [스타2] 테란으로 저그 어떻게 상대하시나요.. [10] 꼭두서니색2151 16/03/02 2151
78979 [질문] 타미플루... 부작용때문에 불편한데 다 먹어야될까요? [6] 삭제됨2617 16/03/02 2617
78978 [질문] 다음팟방송하는데 비공개방에 타인이 들어와요; [2] 로즈마리2762 16/03/02 2762
78977 [질문] 120gb ssd 노트북의 보조저장장치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삭제됨2079 16/03/02 2079
78976 [질문] 중국 관련 다큐, 괜찮은게 있나요? [13] 누구세요2930 16/03/02 2930
78975 [질문] 컴퓨터 견적 코멘트 부탁드립니다. [7] 행복의이연1736 16/03/02 1736
78974 [질문] 올레 멤버십 포인트(+오포인트), 컬쳐랜드 문화상품권 [3] 레이나4780 16/03/02 4780
78973 [질문] 올림픽 개막식 DVD 구매하는곳 [1] Golden1405 16/03/02 1405
78972 [질문] 회사가 충무로에 있는데 어느 지역 원룸 월세가 합리적일까요? [10] 계륜미3637 16/03/02 3637
78971 [질문] 유튜브 문제로 질문드립니다. 주환1202 16/03/01 1202
78970 [질문] 집에서 커피를 마시려면 필요한 도구 관련 질문입니다. [16] Deadpool1990 16/03/01 1990
78969 [질문] [스타1] 퀸으로 탱크 잡아먹은 경기를 찾고있습니다 [7] 외쳐222442 16/03/01 2442
78968 [질문] 크롬 최근열어본탭 설정 질문드립니다. [9] 순례자2070 16/03/01 2070
78967 [질문] 여행 갔다왔는데 컴퓨터가 자꾸 꺼집니다 [3] Admiral2108 16/03/01 2108
78966 [질문] 만화책 질문이에요~ [7] 교자만두2057 16/03/01 2057
78965 [질문] PGR 모바일버전 질문 [7] EZrock1178 16/03/01 1178
78964 [질문] 양쪽 눈 시력 차이 많이 나면 어떻게 치료하는 게 좋을지요...? [8] nexon5838 16/03/01 5838
78963 [질문] 컴퓨터 견적과 구매사이트 추천 부탁 [3] lenakim2289 16/03/01 2289
78962 [질문] [히어로즈] 질문입니다. [4] 헤르져1505 16/03/01 15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