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5/03/11 13:50:48
Name 최강한화
Subject [질문] 직장인 분들 월급의 얼마정도 소비(저축)하시나요?
지금 월급의 75%정도 적금에 넣고 있습니다. (집 값 제외)

몇달 이렇게 생활해보니 사람이 사람 사는거 같지 않아서 줄여볼라고 합니다.

직장인분들은 자기 월급의 어느 정도 저축 외 투자를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저축 외에 어느 안전한 투자처(보험 상제외)에 투자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3/11 13:56
수정 아이콘
1000만원 벌면 50%만 저축해도 500만원이죠.
나머지로 많이 쓰면서 살 수도 있고.
평균200번다고 봤을때 50%하면 많이 하는 걸거고..
절대액수가 중요하죠.

저는 6개월간 번돈 다 써봤는데 나름 행복합니다.
지금은 70%정도 모으고 있네요.
15/03/11 13:58
수정 아이콘
무엇을 위한 저축인가?를 먼저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냥 무작정 모으시는 게 아니잖아요. 뭔가 목적이 있으실 테니 거기 맞춰 나가셔야겠지요.
그런데 지금 글 쓰신 걸 보니 주택담보대출을 받으셔서 갚아나가는 과정인 것 같은데 맞나요? 그렇다면 저축보다 빚 갚는 게 우선입니다.
최강한화
15/03/11 14:29
수정 아이콘
주택담보대출은 없습니다. 그냥 무작정 모으는거예요....
어쩌다마주친그대
15/03/11 14:01
수정 아이콘
나이29에 월270정도 받습니다..
저는 적금 100넣고 나머지돈은 쓰고싶은데 씁니다..
차량유지비,개인생활비(통신,월세비,식비,개인경조사금,담배,술 등등)
그래도 남긴하는데 나머지는 그냥 묵혀둿다가 계속 이월해서 쓰거나 자율적금에 넣습니다.
전세내놓은 집도 있고,차량도 있어서 딱히 크게 돈들어갈곳은 없습니다.
저축 외에 안전한 투자처는 뭐 CMA통장하나 개설해서 두시는것도 나쁘지 않고
찾아보면 돈 굴릴수있는 방법은 많으나 깊이 알아보셔야됩니다..
패닉바이
15/03/11 14:10
수정 아이콘
앞으로 결혼하고 집도 장만해야 하기에 아껴쓰면서 월 350정도 저축하고 있습니다...
루이츠
15/03/11 14:22
수정 아이콘
허걱. 연봉이 얼마시길래 부럽습니다.
패닉바이
15/03/11 14:32
수정 아이콘
해외 주재원으로 나와있어서 그렇답니다..흑
낭만토스
15/03/11 14:25
수정 아이콘
결혼전에 집 패닉바이 하신다고 합니다...?
15/03/11 14:16
수정 아이콘
다들 많이 하시네요. 전 1/3 정도 하는듯
낭만토스
15/03/11 14:24
수정 아이콘
맞벌이 하는데 수입은 비슷하고요
한명 수입은 원금 이자 고스란히
한명 봉급의 1/3 고정비용(보험 공과금 통신비 등)
1/3 저축 1/3 생활비네요
상환도 어쨌든 저축의 개념으로 보면
66프로 정도겠네요

다쓰고 월급 전날 자잘하게 남는건 cma행
0원으로.....
15/03/11 15:55
수정 아이콘
월 평균 1000만원 정도 저축하는데 직장인은 아니고 자영업합니다. 대신 1년에 하루도 못쉰다는건 함정..
15/03/11 16:20
수정 아이콘
부럽습니다. 1년에 하루도 못쉬어도 월 평균 천만원 저축해봤으면 좋겠네요. 흐흐
우리고장해남
15/03/11 16:04
수정 아이콘
28살 세전연봉3900(야근,주말수당 미포함)입니다. 1년차 사원인데 80%이상 저축해서 3000모았네요. 80% 저축은 너무 힘들어서 70~75% 수준에서 선저축 후지출 하고있습니다.
아스날
15/03/11 16:32
수정 아이콘
실수령 250만원이고..
지출은 자취하는 관계로 월세20, 자취관련비용 15~20, 용돈및 통신비 교통비 60~80
저축은 주택청약 월20, 나머진 CMA통장에 저축100~120
대략 저축은 50%하네요~ 자취때문에 관련비용이 많이나가서 많이 저축하긴 힘듭니다.
한달살이
15/03/11 17:20
수정 아이콘
외벌이고, 마눌+딸 있고요. 부모님에게도 들어가는 돈이 꽤 있다보니..
포기했습니다.

매달 적금 20, 보험비 30 .. 정도 빼고는 그냥 소모성이네요.

다달 월급날 전에는 0원에 수렴하고 삽니다. 긴장중입니다. ㅠㅠ
15/03/11 17:33
수정 아이콘
이건 일단 가장 중요한게 집세를 유/무입니다.
저는 서울에서 태어나서 자취를 하지 않고 부모님집에서 쭉 생활을 했는데,
200정도 받을때 100만원 저축/100만원 소비
300정도 받을때 200만원 저축/100만원 소비 이런식으로 했습니다.
15/03/12 22:55
수정 아이콘
현직 FC입니다.
상담해보면, 직장생활 3년차이상은 저축이나 투자 비율이 50% 이상이신 분들은 거의 없으신 것 같습니다.

재무 관련한 내용은 개인의 니즈에 따라 달라지고,
직업의 특성이나 수입 등에 따라서 천차만별이기에 온라인에서의 의견은 말 그대로 참고만 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2471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5489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5403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8510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0618
181565 [질문] 주차된 차를 긁었을 때 보험 처리 방법 [1] 허느202 25/09/01 202
181564 [질문] 얼굴의 노화는 무엇 때문에 느끼게 되는 것일까요...? [5] nexon621 25/09/01 621
181563 [질문] 화장실 변기 막힘 공사 눈탱이 맞은건지 속상하네요 [10] RickBarry920 25/09/01 920
181562 [질문] 맥세이프 충전 잘 쓰시나요? (16프로 문제) [1] 월터화이트615 25/09/01 615
181561 [질문] 부모님 스마트폰 원격제어 관련해서 [4] 헤후654 25/09/01 654
181560 [삭제예정] 유럽 항공편 문의드립니다. [5] 포커페쑤1238 25/09/01 1238
181559 [질문] PC 견적 확인 부탁드립니다 [4] 어둠後998 25/09/01 998
181556 [질문] 완전 컴맹의 사무용 컴퓨터 견적 및 수정사항 부탁드립니다 [2] 기다리다1016 25/09/01 1016
181555 [질문] 야알못 질문 K가 무슨 뜻이죠? [11] 無欲則剛2090 25/09/01 2090
181554 [질문] 무슨 연대 같은 비영리단체에서의 경력 인정 [6] 안녕!곤1347 25/09/01 1347
181553 [질문] AI 에게 그림을 그려달라고 했는데, 누군가와 많이 닮은 인물을 그렸을 때...... [1] 카페알파1080 25/09/01 1080
181552 [질문]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공항철도)를 이용하려는데 탑승시간 관련해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8] 욱쓰696 25/09/01 696
181551 [질문] 내년 여름 3대 여행 어디로 가면 좋을까요? [13] 부처890 25/09/01 890
181550 [질문] 직장내에서 다른 업체 직원한테 수차례 욕설 및 죽여버린다고 협박 당했습니다. [7] 그때가언제라도1279 25/09/01 1279
181549 [질문] 가맹사업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아이디어? [8] VictoryFood1207 25/09/01 1207
181548 [질문] 판교역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Grundia1654 25/08/31 1654
181547 [질문] 런던 관광 도움 부탁 드립니다. [15] Scour1720 25/08/31 1720
181546 [질문] 하와이 여행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14] Be quiet1757 25/08/31 17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