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4/07/23 01:27:39
Name 설아
Subject [질문] 9급 공무원 시험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완전 노베이스에 평범한 머리라고 가정할경우

하루 순수공부시간 10시간(멍때리기, 딴생각하는 시간을 뺌)으로

2년간 7000시간을 채운다고 가정할시에

10번시험보면 8번정도 합격할 실력에 도달할 수있을까요?

이역시 공부방법의 효율성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대체적으로 합격수준에 들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7/23 01:38
수정 아이콘
도달하죠.
근데 하루 순수공부시간 10시간? 거기에 딴생각하는 시간을 뺀다?
엄청 어려울겁니다. 특히 1년이상 그렇게 하기에는..
G드라군
14/07/23 01:42
수정 아이콘
디시 공갤에서는 하루에 8시간씩 1년만해도 충분하다던데요.
사실 이정도 노력하는것도 쉬운일은 아니죠.
흘레바람
14/07/23 01:53
수정 아이콘
순공부 10시간 찍으려면 세븐일레븐 해야하는데 이정도 공부 2년하면 9급이 문제가 아니죠 흐흐
14/07/23 02:00
수정 아이콘
"10시간 공부하기"라는 변수를 조작적 정의하기가 거의 불가능에 가깝죠. 그냥 앉아서 10시간 동안 무의미하게 책 읽기 따위가 그 시간에 포함될 수도 있고. 그런데 그게 실험자 옆에 조력자가 서있으면서 그 사람의 책 진도를 10시간 동안 무한히 확인하고 공부범위를 확장시키는 변수라면 일반적으로 합격할 겁니다. 이런 상황 자체가 일반적인 사람에게 일어날 수가 없으니 애초에 의미가 없긴 하지만...

그냥 개인적인 견해로는 아무리 열심히 해도 안되는 사람은 안되더라고요. 애초에 허수를 포함해도 적게는 오십 대 일 많게는 백 대 일도 넘어가는 시험을 누구나 열심히 하면 다 붙는다는 소리는 누구나 열심히 하면 SKY 갈 수 있다는 소리랑 똑같습니다. 누구나 열심히 하더라도 그 중 "1%"만 SKY를 갑니다. 이 시험도 절대평가가 아니기 때문에 누구나 열심히 해도 결국 열심히 한 누군가는 무조건 떨어지게 돼있습니다.
로이드
14/07/23 02:43
수정 아이콘
9급을 무시하는건 절대로 아닙니다만,
하루에 순수하게 10시간씩 2년을 꼬박 공부하는게 [가능한] 사람이면
9급이 아니라 7급, 5급을 쳐야죠. 왜 9급 치나요.
여기서 공부라는 것을 내용의 이해와 암기가 완벽에 가까울만큼 집중해서 하는 것이라고 가정했을 때, (즉 쌓이면 합격이 가능한 수준일 때)
학교 시험기간 벼락치기처럼 짧은 기간 집중하는거면 모를까, 장기적으로 꾸준하게 공부한다는건 절대로 쉬운 일이 아닙니다.
딴 짓 하는거 빼고 하루에 공부에 집중한 시간이 10시간이 되려면 잠자는 시간이 그만큼 줄어들 수 밖에 없고, 그러면 절대로 장기레이스 못합니다.
Made.in.Korea
14/07/23 02:57
수정 아이콘
그렇게 해도 확률상으로는 9급이 합격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9급을 공부하는 것도 있겠죠...

공부의 어려움도 부담이 있을 테고요 같은 시간이어도 공부량이나 난이도를 무시 못 한다고 생각 합니다.
Made.in.Korea
14/07/23 02:56
수정 아이콘
글쓴분께서 가정하신 조건으로 공부 하신다고 할 지라도 10번에 8번 합격할 실력은 갖출수는 있는데.

실제로 합격을 한다는 것은 그 정도로는 불가능 하다고 봅니다. 그런 실력 가지고 있는 사람중에서 종이 한장 실력차도 있고 운이나 기타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요.

그리고 노베이스(특히 영어)로 2년이면 합격선까지가서 간당간당이지 아무리 독하게 해도 노베이스면 꼴아박는 시간이 장난이 아니에요.
14/07/23 03:10
수정 아이콘
올해 필기 합격생입니다. 저거보다 적게해도 합격합니다 9급 공무원 시험에서 탈락하는게 어려워서 떨어지는게 아니라 경쟁률때문에 떨어지는 시험이라 누가 하나 덜 틀리냐 싸움이지, 몰라서 틀리는거는 합격권 수험생입장에서 거의 없습니다. 각과목당 한문제정도 될까말까? 다 그날 압박감때문에 실수가 나오는거고 그 실수를 줄일려고 그 노력을 하는거죠. 개인적으로 인터넷에서 9급 시험이랑 다른 시험이랑 비교하면서 어렵다고 하는말보면.. 좀 과장해서 말하면 어이가 없습니다.
지금까지와서 생각해보면 절대공부량도 중요하지만 주어진 시간에 핵심을 보는게 훨씬 중요합니다. 이 시험 나온게 나와요. 진짜 엉뚱한거 하나 맞출려고 당연히 나오는 세네문제를 놓치는게 장수생들의 공통점이기도 하고요.
이 시험이 어렵게 느껴지는건 딱 하나뿐입니다. '시간싸움'입니다. 100문제를 100분안에 풀고 마킹까지 완료해야하는 거. 이걸 해내느냐 마느냐 싸움이거든요. 시간길게주면 누구나 합격권을 넘는 점수를 받을수 있습니다. 공부 한 3~4달만해도요. 그걸 위해서 끊임없이 반복숙달하는것입니다.

매일 10시간을 2년이요? 떨어진다면...진짜 공무원과 인연이 없는사람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이 시험은 머리로 치는게 아니고 근성으로 치는 시험이거든요.
Made.in.Korea
14/07/23 03:28
수정 아이콘
가정이 좀 잘못되신거 같네요. 제로베이스에서 3~4달이면 그 사람은 진짜 천재죠. 너무 낙관적으로만 적으신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_-;;

영어를 기준으로 완전히 품사 구분부터 시작하는 제로베이스라면 어떻게 3~4달에 9급이 되겠습니까.

물론 9급시험이 어느정도 공부하면 반복반복의 근성 시험이긴 합니다만. 너무 좀 낙관적인 견해시네요.
14/07/23 03:37
수정 아이콘
지금 9급시험이 영어를 제외한 모든 과목이 암기과목된게 사실입니다. 유일하게 이해과목으로 남은게 영어고요. 다른과목과 접근방식이 달라서 수험생들이 영어에서 참 고생을 많이한다는건 잘 알고있습니다.
제로베이스라는게 정말 알파벳도 모르고, 동사가 뭔지도 파악안되는거라면 당연히 무리겠지요. 너무 극단적으로 말했다는건 제가 잘못했네요.
제 생각은 저위의 조건으로 공부를 한다면 제로베이스고 나발이고 그냥 다 외워서 칠수있는 단계가 될수 있으므로 충분히 합격할수있다는걸 강조하고 싶었는데 표현의 방식이 너무나도 낙관적이어서 오해받을 수 있었네요.
그리고 저말의 본질은 시간을 무한대로 줘놓고 어떻게든 푼다면 결코 어려운 시험이 아니라는걸 더 강조하고 싶어서 쓴 표현입니다.

너무 9급을 낙천적으로 평가한게 마음에 걸리셨다면 정말로 죄송합니다. 너무 개인적인 느낌이 많이 들어갔네요.
14/07/23 04:52
수정 아이콘
순수공부시간 하루에 10시간 채우는거 극도로 어렵습니다. 보통 학생이라면 중고등학교때 시험때나 아니면 한달이나 이주에 1번정도 경험하는(사실 몇달해도 잘안될때가 많음) 정도인데요.
가장 큰 오류가 이걸 자기의 원래 기본적인 공부량으로 착각한다는 겁니다. 마치 대학교학점 제일 잘나올때를 gpa로 착각하는 것과 마찬가지죠
그리고 보통 성인들 시험은 중고등학교때나 대학때처럼 언제까지 얼마만큼 본다 뭐이런거 알려면 보통 1~2년 걸립니다. 왜냐하면 아무도 안가르쳐주거든요.

그정도로 공부할수있다면 제가 정말 장담컨데 바로 하버드나 스탠퍼드가도 됩니다. 굳이 9급을 할이유가 하나도 없습니다. 사실 어느분야든 엄청난 집중력으로 2년정도면 학부에서 대학원 코스웍까지는 극복가능합니다. 순수 10시간할려면 14~5시간정도 앉아있어야만 합니다. 그것도 극도록 집중해서요.

사시나 행시에서 보통 2년에 순수8시간정도 공부하면 합격하는 공부량에 도달하는거같습니다.(합격은 또 운이 필요하거든요)
이것도 사람이 버티기 매우 어렵습니다. 9급은 사실 공부습관이 얼마나 되어있냐에 따라 다른거같습니다. 정말 많이 놀거든요
14/07/23 06:00
수정 아이콘
저거면 행시 합격률도 90% 이상 나올듯요;;;;;
기본적으로 하루 순 공부시간이 7시간만 꾸준히 슬럼프 없이 2년을 한다면 못 붙을 시험 없다고 봅니다. 이 말은 돌려 말하면 그정도 하는 사람 자체가 거의 없다는 이야기도 되죠. 아니 애초에 순 공부시간 10시간 나오는 자체가 이미 평범한 인간의 영역이 아닙니다. 그걸 2년 내내 한다? 이쯤되면 사람이라고 볼 수가 없죠.

사실 이런말씀 드리긴 죄송하지만 질문글 읽고 느낀점은 공부를 전혀 안해보신분 같습니다. 그리고 잘 할 수 있는 상태 또한 만들어져 있지 않구요. 중고등학생들이 시험 전에 일주일 내내 밤새서 공부해야지 라고 다짐하고 정작 시험기간까지 책 몇번 펴지도 않는 딱 그정도인 것 같아요. 만약에 지금까지 공부와는 거리가 완전 멀었지만 이제부터 나는 오로지 정신력으로 하루 10시간동안 2년 공부해서 9급 붙겠다는 생각이시면 아마 합격이 어려우실 겁니다. 애초에 불가능한 목표를 세운 것이거든요. 언제나 목표에 미달할 것이고, 목표에 미달하면 슬럼프에 빠지고 그러면 몇달 내내 통째로 쉬는 패턴이 반복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시고, 꾸준히 한다는 마음으로 하세요. 목표는 정말 최소한을 잡는겁니다. 적어도 매일 빠지지 않고 이정도는 공부를 하겠다. 이게 목표가 되어야 해요. 이게 5시간을 넘는 사람은 이미 공부에 도가 튼 사람이라고 전 봐도 된다고 봅니다.
진세연
14/07/23 10:33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하던 것과 아주 똑같아서 소름 돋네요
크로우
14/07/23 09:05
수정 아이콘
작년 사법고시 합격자들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하루평균 공부시간이 8시간 조금 넘었습니다.
막상 공부시작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이걸 꾸준히 한다는게 상당히 힘듭니다
진세연
14/07/23 10:32
수정 아이콘
위에 몇 분이 말씀하셨듯 공부를 안 해본 사람의 착각이 마음먹으면 하루에 10시간씩 할 수 있을 줄 알죠
전국민이 서울대가나요 택도 없는소리죠
사시빼고 하루5시간만해도 앵간한 시험은 다 통과합니다
미뉴잇
14/07/23 10:45
수정 아이콘
하루 10시간을 집중해서 공부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뭘 해도 성공하죠
14/07/23 11:33
수정 아이콘
집중해서 공부하는 행위자체가 머리에겐 중노동인데 이걸 순수 하루 10시간 몇년을 꾸준히 한다는건 대단한 겁니다. 하루24시간에 8시간자고 밥먹고 똥싸고 뭐하고 뭐하고 시간 쪼개보면 10시간 공부한다는게 쉬운일이 아니라는건 금방 알수 있어요..
눈바람
14/07/23 14:44
수정 아이콘
적으신 가정을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이미 비범한 경지에 다다른 것 같은데요.
라라 안티포바
14/07/23 18:49
수정 아이콘
순공 10시간이면 반년 좀 더 공부하면 9급 붙습니다.
10시간 책상에 앉아있어도 순공 7시간 이상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2482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5496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5413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8518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0623
181565 [질문] 주차된 차를 긁었을 때 보험 처리 방법 [1] 허느1007 25/09/01 1007
181564 [질문] 얼굴의 노화는 무엇 때문에 느끼게 되는 것일까요...? [6] nexon1465 25/09/01 1465
181563 [질문] 화장실 변기 막힘 공사 눈탱이 맞은건지 속상하네요 [10] RickBarry1719 25/09/01 1719
181562 [질문] 맥세이프 충전 잘 쓰시나요? (16프로 문제) [2] 월터화이트1307 25/09/01 1307
181561 [질문] 부모님 스마트폰 원격제어 관련해서 [4] 헤후1357 25/09/01 1357
181560 [삭제예정] 유럽 항공편 문의드립니다. [5] 포커페쑤1294 25/09/01 1294
181559 [질문] PC 견적 확인 부탁드립니다 [4] 어둠後1030 25/09/01 1030
181556 [질문] 완전 컴맹의 사무용 컴퓨터 견적 및 수정사항 부탁드립니다 [2] 기다리다1044 25/09/01 1044
181555 [질문] 야알못 질문 K가 무슨 뜻이죠? [11] 無欲則剛2151 25/09/01 2151
181554 [질문] 무슨 연대 같은 비영리단체에서의 경력 인정 [6] 안녕!곤1399 25/09/01 1399
181553 [질문] AI 에게 그림을 그려달라고 했는데, 누군가와 많이 닮은 인물을 그렸을 때...... [1] 카페알파1119 25/09/01 1119
181552 [질문]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공항철도)를 이용하려는데 탑승시간 관련해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8] 욱쓰730 25/09/01 730
181551 [질문] 내년 여름 3대 여행 어디로 가면 좋을까요? [13] 부처932 25/09/01 932
181550 [질문] 직장내에서 다른 업체 직원한테 수차례 욕설 및 죽여버린다고 협박 당했습니다. [7] 그때가언제라도1380 25/09/01 1380
181549 [질문] 가맹사업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아이디어? [8] VictoryFood1238 25/09/01 1238
181548 [질문] 판교역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Grundia1677 25/08/31 1677
181547 [질문] 런던 관광 도움 부탁 드립니다. [15] Scour1743 25/08/31 1743
181546 [질문] 하와이 여행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14] Be quiet1786 25/08/31 178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