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12 23:53
TLT를 언급하시는걸 보니 아마 단기물이 아니라 장기물 채권을 말씀하시는거겠죠?
과거 몇 년전에 비하면 채권 금리가 너무 높은데? 좀 지나면 떨어지지 않을까? 라고 판단되시면 TLT(1배), TMF(3배 레버리지) 트럼프 관세때문에 인플레이션 오래 갈거 같음. 그럼 채권 금리 안 떨어질거 같은데?라고 판단되시면 TBF(1배), TMV(3배 레버리지) 나는 그런건 잘 모르겠고 단기물 채권에 투자할거야 라면 SGOV(현재 4.275프로 이자) 투자하시면 됩니다.
25/10/13 00:20
전체 소득 또는 자산 중에서 투자할 금액의 비율이 얼마인지 모르겠지만 소액, 월 50만원 이하로 적립식 투자를 한다면 말씀하신 2개만 꾸준히 넣어도 충분 합니다. 그렇게 1년 이상 넣어보고 투자금액이 늘어나거나 추가 투자 여력이 생기면 채권이나 다른 개별 주식 또는 다른 ETF 를 찾아보면 됩니다.
25/10/13 01:53
채권을 넣는 이유는 보통 주식이 떨어지는 경우 채권(보통 TLT같은 장기채)의 가격은 오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헷지 자산 중 다른 대표적인 상품이 '금'이구요. 주식이 떨어질 때 가격이 오른 채권을 일부 팔아서 가격이 떨어진 주식을 사면서 처음 정했던 비중(ex 6:4)으로 리밸런싱을 하는거죠. 이렇게 하면 가격이 오른 것은 익절, 가격이 떨어진 것은 평단가를 낮추는 추가 매수가 가능하게 됩니다. 보통은 따는 것보다는 잃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한 포트폴리오를 짤 때 이렇게 하는 경우가 많은데 (채권,금,리츠 등 최대한 헷지 자산에 분산투자) 야수의 심장을 가진 우리 민족은 떨어지면 레버리지 물타기 하는 경우가 많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