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10/12 15:12:12
Name 정 주지 마!
Subject [질문] (투자관련)금을 사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수정됨)
투자를 잘 모르는 초보입니다.

여유 자금이 좀 있어 금을 투자 해 보려고 합니다.

사실 주식이나 다른 생각도 안 해본 건 아닌데 아무래도 주식은 어렵기도 하고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할지 잘 알지도 못해서 망설여지더라고요

그래서 일정 금액은 은행에서 이자를 받고 나머지 부분은 금 투자를 해 볼까 생각중인데요

질문 드릴 부분은

1. 금 거래는 어디서 어떻게 하는 걸까요?
   > KRX 금시장? 이거로 하는 걸까요? 증권사에 가서 이야기 해보면 되는건지요?

2. 안정적인 투자라는 건 없습니다만, 그래도 금에 투자하는게 맞는 방법일까요?
  > 현재 저는 부동산 제외 하고 금에 투자(25%), 은행 적금(75%) 이렇게 생각하고있습니다.


아는게 없어 많은 조언이 필요합니다.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설사왕
25/10/12 15:53
수정 아이콘
1. krx 투자는 유튜브 보면 상세히 나와 있습니다.
증권사 가실 필요없구요. 그냥 앱다운 받아서 금거래 계좌 만드시면 됩니다.
전혀 어렵지 않구요. 유튜브 따라하시면 금방 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김치프리미엄이 많이 붙어있습니다. 대략 20프로 정도?
그러니까 국제 금시세보다 한국 krx에서 거래를 하려면 20프로 비싸고 주고 사야 한다는 말이죠.
따라서 거래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물 거래도 가능합니다만 구입 시 부과세 10프로가 부과됩니다.
아니면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금 ETF에 투자하셔도 됩니다.
GLD, IAU 를 주식 사듯이 사면 됩니다.

2. 25프로 정도 투자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만, 투자는 개인의 선택입니다.

대박나세요.~
정 주지 마!
25/10/12 19:56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김프가 금에도 해당되는군요...

금은 많이 올랐다고 보시는 지요? 투자를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이네요.
25/10/12 16:08
수정 아이콘
김프 애매하면 미장에서 GLD 사는 게 제일 편합니다
정 주지 마!
25/10/12 19:57
수정 아이콘
미장 안해봤는데 찾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5/10/12 17:08
수정 아이콘
김치프리미엄 공부부터.. 크크
정 주지 마!
25/10/12 19:57
수정 아이콘
그 놈의 김프.. 흐흐..
25/10/12 17:55
수정 아이콘
1. 과세 관련해서 보면 KRX금시장에서 사는게 제일 좋아보이는데, 첫댓글 말대로 지금 김프가 껴있기도 하고 이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는 점은 고려하셔야 해용
2. 부동산이 인플레 헷지라는 면에서 주요 투자자산 중에서는 금이랑 성격이 비슷하니, 금 비중을 25%는 꽤 많은 듯하며, 예적금과 같이 원금보장되는 안정적인 투자수단 말고 주식(코스피, S&P 500, 나스닥 ETF 선에서 고려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개별주나 뭐 다른거 신경쓰지도 말고), 채권 등도 고려해보셔용
정 주지 마!
25/10/12 19:5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김프가 신경이 쓰이네요..

금 비중보다 코스피 주가 자체에 투자하라는 말씀이실까요? 돈이 많은 편도 아니고 저도 헷지에 신경을 쓰고 싶어서 위험보다는 안정성이 중요하다보니 신경이 많이 쓰이네요. 좋은 의견 있으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싱싱싱싱
25/10/12 21:31
수정 아이콘
묻어가는 질문으루요...
김프가 있다면 팔때까지 김프가 있으면 마찬가지 아닌가요?
20프로 비싸게 사고 20프로 비싸게 팔면 또이또이 아닌가요...
설사왕
25/10/12 22:10
수정 아이콘
당연한 얘기지만 김프가 그렇게 유지된다는 보장이 없으니까요.
한 열흘전에 김프 갑자기 거의 10프로 빠진적이 있었습니다.
바람돌돌이
25/10/12 22: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KRX 금시장 : 증권사별로 수수료가 많이 차이남 + 어떤 증권사는 거래는 싼데, 보관수수료를 받음 (1년 보유시 총수수료가 다른회사와 동일해 짐), 대신 매매차익이 비과세
2. 금 현물 ETF : ACE 금현물, Tiger 금현물이 있고, Kodex 금 액티브 가 있음 앞에 2개는 국내 KRX시세, 뒤에 Kodex는 국제 금 시세라서 김치 프리미엄이 없음, 대신 16.4% 매매차익 과세, 금융소득종합과세 (연 2000만원 이상이면, 근로소득과 함께 과세, 의료보험 추가)
3. 금 선물 ETF : 금은 보관비용이 비싼 상품이라서 선물가격이 현물에 비해서 늘 낮음. 개인이 투자할 필요가 있을지....
4. 미국 금 현물 ETF : GDU/IAU (금1배), SHNY (금3배) 등, 매매차익 22% 과세

1번이 제일 좋은데, 1번은 시장이 얇아서, 누가 맘먹고 밀어버리면 최근에 하루에 10%씩 밀리기도 하고, 김치 프리미엄이 높을 때는 국제금보다 5-20%씩 비싼 금을 사야 됩니다. 연평균 김치프리미엄이 3% 선입니다. 그리고, 거래하는 증권사를 잘 고르셔야 됩니다. 생각보다 거래비용이 비쌉니다. 현물로 출금이 가능합니다. (10% 수수료 지불)

1번 다음은 2번인데, 2번은 ISA나 비과세/분리과세 계좌에서 해야합니다. 잘못하면, 이자소득세 2000만원으로 큰 낭패가 생깁니다.
3번은 요즘 별로 안하는 분위기인데, 이것도 시장을 잘아는 분들은 용도가 있다고 하시더군요.
비과세/분리과세 계좌를 못쓸때는 4번도 괜찮습니다. 일단 다른 미국주식과 동일하게 취급하면 되고, 3배 상품도 있어서, 금의 느린 상승에 도파민이 부족하면 투자할 수 있습니다. 좀 더 과감한게 좋으면 gdxu 같은 금채굴 3배 etf도 있습니다. 이런건 하루에 5-10%씩도 변동이 있죠. (보통 금채굴 지수가 금 상승기에, 금값상승에 1.5-2배 변동)
정 주지 마!
25/10/12 22:35
수정 아이콘
krx가 제일 나은 건가 보군요. 좀 더 신중히 공부 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바람돌돌이
25/10/12 22:38
수정 아이콘
아예 장기보관용이고, 매매를 할 생각이 없으시면 금 거래소에서 사시는 것도 좋습니다. 투자용금이라고, 바 형태로 가공안하고, 대충 형태만 잡아놓은 것들은 KRX보다 6% 정도 비쌉니다. 금거래 플랫폼에서 사서 근처 한국금거래소에서 가져가면 됩니다.
잉차잉차
+ 25/10/13 01:57
수정 아이콘
krx 금현물 계좌가 가장 좋습니다.
1. 비과세 혜택입니다. 세금 안내요.
2. 보수도 없습니다.
금관련 ETF들은 전부 세금이 있고 운용보수가 있습니다.

'ace krx 금현물' 같은 ETF가 아닙니다. 증권계좌에 krx 금현물 계좌개설 항목 찾아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ehrV8hJoKcA
영상 참고하셔서 성투하십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3574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6605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6731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20036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2317
181889 [질문] 미국 주식 주린이가 질문 드립니다 [3] 핸드레이크576 25/10/12 576
181888 [질문] 니케 리세 필수인가요? [5] 두드리짱1088 25/10/12 1088
181887 [삭제예정] [혐?주의] 이 이불 사용해도 될까요..? [5] 까만고양이1876 25/10/12 1876
181886 [질문] (투자관련)금을 사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14] 정 주지 마!1859 25/10/12 1859
181885 [질문] 침대 좀 아시는 분 계실까요?? [15] 원스3296 25/10/11 3296
181884 [질문] 변기 뒤에 너트 풀어야하는데 무슨 공구가 필요할까요 [12] K52909 25/10/11 2909
181883 [질문] 조용필 최고의 곡은? [20] 유티엠비3129 25/10/11 3129
181882 [질문] 모니터 안에 와셔가 들어갔는데 괜찮을까요 [4] 밥과글2493 25/10/11 2493
181881 [질문] 어릴 때 116 안쓰셨나요? [20] 윌슨 블레이드3401 25/10/11 3401
181880 [질문] 아이패드 11 에어 vs 프로 고민중입니다. [13] Butternut Squash1073 25/10/11 1073
181879 [질문] 윈도우 11 업데이트가 안 되는 이유가 뭘까요? [8] 계피말고시나몬1191 25/10/11 1191
181878 [삭제예정] 밑에 질문글 초반대화입니다 [31] 삭제됨4924 25/10/10 4924
181877 [질문] 넷플릭스 포함 OTT 코메디 시리즈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cherish3219 25/10/10 3219
181876 [질문] 해외 장기출장 대비 영어공부 관련 질문입니다. [4] AW2935 25/10/10 2935
181875 [질문] 인테리어 비용 현금결제 시 부가세만큼 할인 [22] 단다니 쿨쿨3651 25/10/10 3651
181874 [삭제예정] 누가 옳은지 판단이 될까요?? [37] 삭제됨4581 25/10/10 4581
181873 [질문] 가볍게 러닝 시작하고 있는 런린이 러닝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20] 난키군1668 25/10/10 1668
181872 [질문] ETF투자에 대한 질문입니다. [12] 좋은마음3387 25/10/09 338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