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19 00:52
9600에 5070이면 QHD에서 옵션 타협 좀 하면 스팀게임 상당수를 어느정도 즐길 수 있으나, 해당 견적은 CPU와 글카 외에는 매우 부실한 구성이라 추천드리기 어렵습니다. 내실있게 가려면 예산이 더 필요하고요.
25/09/19 17:00
예산은 20만원 정도 더 들겠네요. 제 견적은 이렇습니다.
CPU: [AMD] 라이젠5 그래니트 9600 (6코어/12스레드/3.8GHz/대리점정품) [멀티팩/쿨러미포함] 279,000원 9600X에서 클럭이 소폭 줄어든 정도인 9600입니다. 5070에는 이 정도, 아니면 7800X3D가 잘 어울립니다. CPU 쿨러: [DEEPCOOL] AG400 [CPU쿨러] 22,880원 9600는 사실 CPU 쿨러를 크게 가리지는 않습니다만, 조금 더 검증되고 조금 더 성능 좋은 AG400이 대세입니다. 메인보드: [GIGABYTE] B650M K 제이씨현 (AMD B650/M-ATX) [정품 벌크] 125,000원 B650M-A II는 괜찮다고 할 수 있고, 전원부도 9600 정도는 커버하기에 모자르지 않습니다. 다만 구성 및 가격상 보급형 보드 대세는 이 B650M K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M.2 슬롯에 방열판이 있냐 없냐 그 차이로, 방열판이 있어야 요즈음 구할 수 있는 SSD의 발열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이 B650M K도 SSD를 하나 기본으로 다는 거 외에 더 추가하려면 방열판을 따로 구하긴 해야 하지만요. 메모리: [Team Group] 팀그룹 DDR5 PC5-44800 CL46 Elite 아인스 [16GB] (5600) *2 126,000원 DDR5 16기가 모듈은 팀그룹 제품이 안정적이면서 싼 편입니다. 패트리어트는 싸구려로 가볼만하나 안정성 자체는 팀그룹 쪽보다는 떨어지는 편입니다. 용량은 16기가 2개가 게이밍 대세라 변경 안 했습니다. '듀얼 채널' 적용이야 이제 완본체에서도 대세가 되었으나 이야기하자면 4차선을 위한 노반을 깔았으면 4차선 도로를 깔라는 뜻입니다. 용량이 같다고 32기가 모듈 하나만 달면 2차선만 까는 꼴이 되어 속도가 떨어집니다. 그래픽카드: [MANLI] 지포스 RTX 5070 Nebula D7 12GB 인텍앤컴퍼니 779,000원 다시보니 글카도 좀 부실하네요... 라인업이 가려져있지만 5000번대 들어와서 악명 높은 MSI 벤투스입니다. 만리는 4000번대에서는 악명 높았지만, 5000번대에서는 그래도 하급으로 살만하다는 평이 주를 이루고 있고, 그 4000번대의 만리 자리를 차지한 글카 회사는 MSI입니다. MSI 글카에서 하급 라인업을 담당하고 있는 벤투스, 그리고 더 아래인 쉐도우는 5000번대 들어와서 아낌없는 원가절감으로 엄청난 비판을 듣고 있는데요, 방열판과 히트파이프를 아끼다보니 칩 온도가 올라가고 팬에 부담이 심해져서 팬 소음이 커지고 수명이 걱정될 정도입니다. 그 위 라인업들도 가성비가 좋다고 할 수는 없긴 한데... 그래도 함정급들만 피하면 5070은 하급 고르셔도 상관 없긴 한데, 만리 네뷸라는 컴퓨존 특가 가격이긴 하나 일단 가져와봤고, 혹시나 80만원 후반대로 돌아오면 컬러풀 토마호크( https://www.compuzone.co.kr/product/product_detail.htm?ProductNo=1245566 ) 정도 보시면 되겠습니다. SSD: [Western Digital] Black SN850X M.2 NVMe 2280 [1TB] 129,600원 SSD는 무엇보다도 안정성이 중요합니다. 소중한 데이터가 날아가는 것만큼 치명적인 것은 없죠. E100은 실리콘모션 컨트롤러를 쓴다고 나와있는데 이 컨트롤러가 안정성에 있어 평이 좋은 편은 아닙니다. SN850X는 모 소매점 기준 불량률 0.15퍼 내외의 통계가 나와있을 정도라 무난하다 할 수 있습니다. 속도도 용량 차면 보기 힘든 최대속도 뻥보다는 나래온 더티 테스트 등을 통한 종합적인 속도 검사가 중요한데, SN850X는 여기서도 무난하다고 평가받은 SSD입니다. 파워: [시소닉] NEW FOCUS V4 GX-750 GOLD 풀모듈러 ATX3.1 750W [블랙] 166,300원 5070은 16핀 케이블로 전원을 받는데 이 새로 도입한 16핀 케이블이 이슈가 하도 많아서... 안정적인 파워로 이슈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9600에 5070 정도면 용량 자체는 750W로도 무난한데, 여기서 안정성 1티어는 시소닉 포커스 골드 V4입니다. 조금 더 윗 용량대를 보신다면 FSP HYDRO G PRO나 슈퍼플라워 리덱스 VII도 보실 수 있습니다. 케이스: [darkFlash] DRX70 MESH RGB 강화유리 [미들타워] [블랙] 51,000원 어항형 3~4만원대... 어항형 자체가 전면 메쉬에 비해 감성값도 반영되어 가격 대비 품질도 떨어지는 편이고 측면에서 흡입한 공기를 후면으로 내보내는 방식이라 전면에서 공기를 흡입한 공기를 그대로 후면으로 내보내는 쿨링에서 불리한데, 가격대도 전면 메쉬로 봐도 싸구려에 속하는 가격대입니다. 품질 떨어지는 케이스는 강판도 얇아서 잘 찌그러지며 공진음 등 각종 잡음이 잘 생기고, 팬 성능이 시원치 않고 고장이 잘 나며, 전면 단자 품질도 그닥입니다. DRX70을 좋은 케이스라고 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5만원대 품질을 기대할 수 있는 추천할만한 케이스입니다. 돈을 굳이 더 아끼고 싶다면 T7-P( https://www.compuzone.co.kr/product/product_detail.htm?ProductNo=1116540 ) 정도는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compuzone.co.kr/form/estimate.htm?est=O-8083367&mest=2d47f62cd0b9d9395714e4cdf886dcd8 조립비까지 포함하여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만족할만한 컴퓨터 구매가 되길 빕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