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4/12 09:14:51
Name 보로미어
Subject [질문] 오므라이스 소스를 만들었는데 이상하게 만들어져서 질문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wQ7VZonHXA&list=PLl_PD8Pzzohm23rwaMSajjnuTNtOWH2jb&index=3


뚠뚠 채널(유재석)에서 남창희씨가 오므라이스를 만들어주는 영상입니다.
이걸 보고 처음으로 어제 오므라이스를 만들어봤는데요. 볶음밥은 참 맛있게 잘 됐는데
영상을 봤을때 가장 쉬워보였던 소스가 의외로 실패했습니다.

영상에서는 10분부터 보면 2인분 기준으로 우유 300ml 케챱2스푼, 돈가스소스 6스푼을 넣고 걸쭉해질때까지 끓여준다.
이렇게 간단하게 나옵니다.

저는 우유는 보통 대용량으로 파는 우유가 아닌 팩에(200ml) 담긴 저지방 우유로 끓였는데.. 처음엔 강불로 끓이다가 부유물(뭐라고 표현해야될지 모르겠습니다.
건더기같은게 막 올라왔어요)이 막 올라오길래 약불로 걸쭉해질때까지 끓여본다고 막 끓엿는데

너무 오래 끓인건지(한 5~10분 정도 끓인 것 같습니다), 불의 강도가 문제인지 소스는 실패했습니다.
이게 사진을 찍어놨더라면 좋았을텐데 어제 실패하고 안 해먹어야겠다고 생각했다가 어제 볶음밥은 너무 맛있어서 다시 도전해볼
생각이 오늘 들더라구요. 그래서 혹시 제가 뭘 잘못했는지 아시는 분이 있지 않을까 싶어 질문드립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친친나트
25/04/12 09:47
수정 아이콘
우유를 졸인다 = 수분을 날리고 유지방을 남긴다 인데 저지방 우유를 사용하시면 안되겠지요. 따로 버터나 다른 기름을 넣지 않는이상은요.
그리고 우유 끓이면 몽글몽글해지는건 단백질 분리되어서 그럴텐데 열심히 저어줘야합니다. 불이 너무 세도 안되고요.
보로미어
25/04/12 09:56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역시 저지방 우유가 문제였네요. 그리고 제 딴에는 소스 먼저 끓여주고 볶음밥 열심히 만들고 나중에 확인해보니 망해있었는데 그러면 안 되고, 약한 불에 끓여주면서 수시로 저어줘야되나보네요. 오늘 저녁에 다시 도전해보겠습니다
과수원
25/04/12 11:19
수정 아이콘
케챱이나 돈가스 소스에는 식초가 함유되어 있는데
식초는 단백질 응고를 도와주기 때문에 (실제로 치즈를 만들 때 식초나 레몬즙 등의 산을 씁니다.
단백질이 응고될 정도까지 팔팔 끓이면 안됩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소스류에 마무리로 우유 넣어서 부드러운 맛을 내는 게 아니라
처음부터 우유를 베이스로 끓이는 게 맞는지는 잘 모르겠...
보로미어
25/04/12 17:05
수정 아이콘
아.. 그러면 진짜 약한 불에 잠깐 끓여야 되겠네요? 첨에 쎈불에 끓으니까 얼마 안되서 부유물이 금방 생기는 것 같았는데.. 영상을 보면 시식하는 사람들이 소스가 정말 맛있다는 얘기가 있어서.. 이대루 다시 한번 도전해볼까 하는데 소스부터 제대로 정성들여서 해봐야겠습니다.
소용락
25/04/12 17:23
수정 아이콘
어짜피 저 재료로는 팔팔 끓여도 큰 상관 없어요. 단백질 뭉친거 걍 휘휘 저어서 갈아버리세요.
만약 그래도 맛이 없다면 레시피 말고 다른걸 추가한걸거에요.
친친나트
25/04/12 18:36
수정 아이콘
그 부분을 신경쓰시려면 우유만 졸인것에 케찹과 돈까스소스를 넣어서 섞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복타르
25/04/12 17:15
수정 아이콘
위의 댓글들 보고나서 영상을 보니까, 처음 소스를 만들고 강불에 쭈욱 팔팔 끓여야 하는 것처럼 되어 있네요...
댓글대로라면 영상(편집?)에 좀 더 조리에 대한 설명이 필요했을 것 같은 아쉬움이 있네요.
25/04/12 20: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소스는 기본적으로 유화, 그러니까 물과 기름을 섞어서 적당한 농도를 갖추게 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우유에 지방(기름)이 없으니 수분이 날라가 그나마 있는 단백질만 남아 돈가스 소스와 퍼석퍼석한 상태가 될 때 까지 오버쿡 하셨거나, 아니면 반대로 농도가 물과 가까운 상태였을겁니다.

유화는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일어나지 않으니 초보자일수록 저온에서 계속 만져주는게 좋고 (저어주면서) 강불은 확실히 아는 것 외에는 안쓰는게 좋습니다. 이 조리법에서는 밥의 수분을 빠르게 날려야 할 때 정도가 있겠네요. 면을 익히거나 하는 게 강불을 쓸 수 있고..

다시말하면 저지방우유를 사용하셧다면 버터나 올리브유를 듬뿍 넣어주었다면 유화가 일어났을겁니다. 만약 저였다면 중불에서 우유가 끓을랑말랑 할 때 약불로 낮추고 케찹 돈가스소스 올리브유 버터등을 넣어 팬의 온도를 낮추며 살살 저어주면서 상태에 따라 불조절(끄는 것 까지) 했을 거 같네요.

정리하면 유화는 애초에 재료 비율이 틀리면 일어나지않으니 온도와 물 기름의 비율을 생각하면서 만들어보세요.
그렇다고 기름을 너무 많이 넣으면 안되는게, 대부분의 경우 물이 기름보다 많아야 유화가 잘 일어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447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1373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0642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3578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5355
180323 [질문] PC 견적 문의 드립니다 Gemstone62 25/04/13 62
180322 [질문] 제주도 렌트카 질문입니다. [1] 완성형폭풍저그275 25/04/13 275
180321 [질문] 5월 황금연휴 때 서울 근처 갈만한 캠핑장 추천바랍니다 [3] WarJoy493 25/04/12 493
180320 [질문] 이정후가 광고하는 람대쉬 면도기 어떤가요? [1] 선플러701 25/04/12 701
180319 [질문] 진격의 거인 애니 역대 GOAT 정도 급인가요? [38] 아롬1498 25/04/12 1498
180318 [삭제예정] 호텔에서 실수로 인한 피해보상 가능할까요? [9] 삭제됨1873 25/04/12 1873
180317 [질문] 남자 필라테스 이것저것 질문입니다. [7] 로각좁1506 25/04/12 1506
180316 [질문] 5월 황금연휴 강원도 - 경북 당일 치기 여행지 추천 부탁해요 [3] 시은1082 25/04/12 1082
180315 [질문] 오므라이스 소스를 만들었는데 이상하게 만들어져서 질문드립니다. [8] 보로미어1508 25/04/12 1508
180314 [질문] 운동 어플 추천부탁드립니다. [8] 유니꽃2004 25/04/11 2004
180313 [질문] 새벽6시에 아파트 전체 방송 이게 맞는건가요? [36] 제발한번만3268 25/04/11 3268
180312 [질문] 엑셀에서 이 초록색 선을 굵게 할수 없을까요? [1] 회전목마1789 25/04/11 1789
180311 [질문] 망해가는 일본여행 구제좀 부탁드립니다.. [9] 한지민짱2695 25/04/11 2695
180310 [질문] 리모델링 타일 하자? [3] Mrs. GREEN APPLE1587 25/04/11 1587
180309 [질문] 레데리2/라오어2 이후에 나온 게임들 중에 그래픽 디테일이 뛰어난 게임 어떤 것들이 있나요? [7] Venture919 25/04/11 919
180308 [질문] 사는게 참 재미가 없습니다. [78] 사계2748 25/04/11 2748
180307 [질문] 건강검진 후 상급병원 가봐야 한다고 전화가 왔네요 [11] nomark1809 25/04/11 1809
180306 [질문] 친척분 재혼이라 결혼식 한다는데 정장 입어야 되나요? [38] 삭제됨1999 25/04/11 19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