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3 20:34:18
Name 깃털달린뱀
Subject [질문] 일반인이 투자에서 능력범위를 가져갈 수 있을까요?
https://pgr21.com/freedom/101154

약 1년 전에 이런 글을 써서 [답은 지수추종 ETF다]라고 결론내려놓고는 또 스멀스멀 개별주 뽐뿌가 오고 있습니다... 환율도 에센피도 너무 높아요...

수많은 가치투자의 구루가 말하기를 결국 자기 능력범위 안의 종목을 투자해야한다고 합니다. 저도 동감합니다. 증권가나 대중에게 알려지기 전에 우량함을 알려면, 혹은 업계 미래를 예측하려면 그쪽 업계 지식과 보는 눈이 있어야하니까요.

투자, 산업에 관심을 가질수록 뼈저리게 느껴집니다. 테크, 제조 쪽은 뭔 짓을 해도 선제적으로 트렌드를 파악할 수가 없고 정보는 기사 나올 때 쯤에야 뒤늦게 알 수 있으며 미래는 제 능력으로 전혀 예측할 수 없다고요.

그래서 보통 능력범위를 직업적 전문성이나 취미 쪽에서 찾으시던데... 이쪽도 영 마땅찮네요. 직업은 투자 기회랑 영 거리가 먼 편이고, 패션이나 소비재에 관심 있는 것도 아니고... 관심있는 건 저가 전자제품 쪽인데 이쪽은 너무 마이너한데다 중국산 공급과잉이고... AI는 핵심은 기술적인데다가 죄다 비상장이고. 여러모로 답답합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역시 대부분은 직업적 전문성이려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슈퍼마린&노멀
25/02/03 20: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으로는 주도주를 보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고 봅니다.
보통 한번만 시세주면 많이 올랐네 내것이 아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그때부터 회사의 실적 성장이 시작되는 경우 상승의 초입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주식들에 대해 공부하고 회사분석력을 키워가는거죠
깃털달린뱀
25/02/03 21:02
수정 아이콘
그 보는 안목이 일반인 수준에선 키울 수 있는가 싶어서요. 이게 단순히 상승장의 초입일지 2차전지 꼴이 날지를 알려면 결국 그 업계를 잘 알아야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주도주쯤 되면 슬슬 시장 참여자들도 관심 갖고 주시하기 시작하니 그 사람들을 이기고 알파를 먹을 수 있을까싶어요.
슈퍼마린&노멀
25/02/03 21:12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경제에 관심가지고 공부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을 많이 쓰긴 해야합니다). 다만 대부분 뉴스보고 차트보면서 공부한다고 생각하는데 재무제표 공부부터 시작해서 기업들의 사업보고서 읽어보면서 어떤 사업을 하면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돈을 버는지 보시고, 유명한 주식 관련 서적들도 많이 읽어보셔야 하구요.
25/02/03 23: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인이 비슷한 거 물어봤을 때 저는 증권사 리포트 매일 읽으라고 권했습니다. (맨날 매수의견 주는 개별종목 말고 시황분석, 산업분석 부분 위주 + 각 증권사별 Top picks, 자사 운용 액티브펀드 구성종목 등)

약간 보수적이면서 관대한?! 미묘한 bias가 있는 걸 감안하더라도 시장에서 어디로 돈 냄새가 도는지 + 일반인 입장에서 산업과 그 수익구조 파악하기에는 충분히 길잡이가 되어주는 것 같습니다. 많이 읽다 보면 나름의 행간도 보이고요.
25/02/03 23:13
수정 아이콘
쓰신 글을 보니 증권가 리포트에 나올 정도면 이미 단물 다 빠진 거 아니냐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주식이란게 항상 선반영+불확실성의 조합이라서
쏟아지는 정보를 조합해서 알파를 만드는 건 본인의 직관과 감각(그리고 대부분 운)이 작용하는 영역 같습니다.
그걸 위한 기초 체력으로는 충분히 도움되지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6778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29305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77862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1088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2111
179568 [질문] 군대나 학교처럼 다양한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곳 없을까요? (20대) [7] 티타늄787 25/02/04 787
179567 [질문] 체중 감량 시 아침에 미숫가루 대신 프로틴도 괜찮을까요? [6] 쉬군1418 25/02/03 1418
179566 [질문] 일반인이 투자에서 능력범위를 가져갈 수 있을까요? [5] 깃털달린뱀1315 25/02/03 1315
179565 [질문] 마트에 있는 카드나오는 게임기 아시는분 계실까요? [2] EnzZ1149 25/02/03 1149
179564 [질문] 비알레띠 모카포트 뭐를 사면 될까요? [15] 장마의이름1452 25/02/03 1452
179563 [질문] 이명증과 커널형 이어폰의 상관 관계? [10] 호비브라운1294 25/02/03 1294
179562 [질문] 손톱 관련 질문 드립니다. [5] 집에보내줘763 25/02/03 763
179561 [질문] 방송 나는 솔로 질문입니다 [6] 종이컵1079 25/02/03 1079
179560 [질문] 갤25 케이스 질문입니다. [4] 서낙도849 25/02/03 849
179559 [질문] 아이패드 구매 질문입니다. [8] FallingInLuV658 25/02/03 658
179558 [질문] 아이폰 문자 필터링 관련 잉차잉차318 25/02/03 318
179557 [질문] 데스크탑에 와이파이 연결을 하고싶습니다 [4] 드문605 25/02/03 605
179556 [질문] 음쓰처리기 잘 쓸까요? [13] Alfine812 25/02/03 812
179555 [질문] AI 활용 측면에서 - i7 & 4060 겜트북 vs 루나 레이크 [3] 서울359 25/02/03 359
179554 [질문] 시동걸면 자동차오토홀드가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7] 피해망상809 25/02/03 809
179553 [질문] 아파트에서 다른곳으로 이사갈시 사다리차 이용안하면 고액 승강비 사용료 의무인가요? [12] Succession870 25/02/03 870
179552 [질문] 디아블로2 레저렉션 저항관련 질문입니다. [10] 더히트426 25/02/03 426
179551 [질문] 롤 올챔 만들고 싶은데 정수로 만들려면 패스사면 되나요? [2] 원장1676 25/02/02 16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