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6/21 22:02
너무적구요 기초대사량은 모르겟지만.. 탄+단+지 챙겨먹는게 기본입니다.
아짐 저녁에 탄수화물 추가하시고,점심은 너무 양껏 먹지 마세요 ,칼로리 제한해서 드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운동은 저보다 훨 많이 드시는거같은데 영양챙기면 좋을듯 합니다.;;
21/06/22 11:55
눈바디 믿으세요. 인바디는 돌아서서 재도 결과가 널뛰기합니다. 믿지는 마시고 참고만 하세요.
식사는 단탄지 비율 한번 맞춰 보세요. 그러기 위해서는 점심, 저녁 모두 일반식보다는 식단을 해야 할겁니다. 운동 끝나고 단백질 먹을 때 탄수화물 같이 넣어주세요. 한동안 고중량 위주로하면 근신경계가 피로를 느껴서 중량이 떨어질수도 있습니다. 한 일주일 정도 가볍게 해보시죠. 또 운동 얼마나 하셨는지 모르겠으나 유튜브, 인스타에 멋진 몸 자랑하는 사람들 구력 보면 5년 이상도 잘 없고 8년, 10년, 그 이상 구력들입니다. 설렁 설렁 안하고 뒤지게 한 사람들이죠. 그러니 한달 정도로는 큰 변화를 보이기가 어렵죠. 충분히 잘하고 계십니다.
21/06/22 12:39
(수정됨) 정답 아닙니다. 단순 가정 일례일 뿐이니 맹신하시지 마시고 꼭 알아보시고 몸에 알맞는 식단 구성하시기 바랍니다.
기초대사량+활동대사량 칼로리 계산은 그냥 저기로 갑니다. 몸을 키우신다는 믿음으로. 다이어트 아니시죠? 대충 호아킨님 대사량을 2,700 칼로리로 잡고 먼저 단백질 칼로리부터 구합니다. 단백질은 몸무게*2g을 먹고 단백질 칼로리는 4칼로리입니다. 70*2=140*4= 560칼로리 다음은 지방 칼로리 구합니다. 지방은 총 칼로리의 20% 정도 먹고 지방 칼로리는 9칼로리입니다. 2700*0.2=540칼로리, 60g 다음은 탄수화물인데 탄수화물은 총 칼로리에서 단백질과 지방 칼로리 빼면 됩니다. 탄수화물 칼로리는 4칼로리입니다. 2700-560-540=1600칼로리, 400g 그럼 저대로 이제 식단 구성하면 됩니다. 단백질 : 140g 탄수화물 : 400g 지방 : 60g 생각보다 탄수화물이 많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운동 수행과 근육 합성 연료니까 근육을 만들고 싶으면 탄수화물 많이 먹어줘야 됩니다. 탄수화물 안 먹어주면 귀신보다 무서운 근손실 옵니다. 단백질은 원자재 개념이라 많이 먹어도 비싼 똥오줌 밖에 안되니 저거보다 조금은 몰라도 많이 더 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지방도 꼭 먹어줘야 됩니다. 사실 지방은 따로 안먹어도 단탄에 포함된 걸로 충당되기도 하는데 모자르면 견과류 적당히 드시거나 뭐 계란 후라이 해드시거나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혹시나 해서 말씀드리는데 단탄지 음식 그람수 계산 하실때 음식 무게 직접 재시는거 아닙니다. 닭가슴살 100g에 단백질 25g들어 있고, 쌀밥 한공기에 탄수화물 65g 들어 있고 이런식으로 계산해야 됩니다. 그리고 단백질 음식에도 지방 들어있고, 탄수화물에도 단백질 들어 있고 그러니 그것도 감안해서 구성해야 합니다. 식사는 아침, 점심, 운동 전, 운동 후로 드시고 상관은 없는데요, 가급적 운동 후 식사를 제외하고는 식품으로 단백질 드시고 (왜냐하면 쉐이크로 다 때우면 속이 비어서 배가 고픕니다.) 운동 후에는 빠른 흡수를 위해 단백질 쉐이크를 드셔보세요. 탄수화물 꼭 같이 드시구요. 근데 솔직히 운동 끝나고도 닭가슴살, 소고기, 돼지고기, 생선, 계란 등을 먹어도 됩니다. 밤이라 소화가 문제라 그렇지요.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건 그냥 예시입니다. 2700칼로리도 마음대로 설정한거고(모자른다 싶으면 좀 더 먹거나, 살이 과하게 찐다 싶으면 좀 덜 먹거나 해서 본인에게 맞는 칼로리를 찾아야 됩니다.) 단탄지 비율 계산도 수많은 의견 중 하나일 뿐입니다. 그러니, 요새 정보야 차고 넘치잖아요, 꼭 찾아보시고 계획 잡으셨으면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