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5/24 14:18
저도 배우면서 전세 얻는 처지라 큰 조언은 어렵지만..
'보증보험' 꼭 드시길 바랍니다. 현재 저도 깡통전세 상황이라 보험만 믿고 가려합니다. 등기부 등본상 아무 문제 없더라도 전세계약 후 임대인 변경 시 깡통이 되어버리면...답이 없습니다.
21/05/24 14:24
처음에 요구를 전세대출 필요 없지만 반환보증보험은 들어야겠다고 하니
부동산이 반환보증보험이 되는 곳들은 엄청 비싸다고 예산 2억은 택도 없다는 식으로 나오던데 실제로 시세차이가 유의한가요?
21/05/24 14:26
해당 부동산은 거르시죠?
제 공인중개사는 애초 물건 찾을때부터 전세보증보험을 포함한 '안심전세대출' 상품 가능한 물건만 찾아다녔습니다. 전세계약 후 임대인 변경으로 깡통된걸 오히려 미안해하고 있고요.
21/05/24 14:33
전세보증보험이 가능한 곳들이 그런 위험이 적은 곳이죠. 보험사도 전세금 안떼일것같은 집에만 보증보험을 들어줄테니까요.
깡통 전세 피하는 방법은 혹여 집주인이 망해서 이 집을 내가 전세금으로 인수해도 나쁘지 않겠다 싶은 곳으로 가시면 됩니다만 그런 곳은 비싸죠. 대출 없이 구하신다고 하셨는데 대출을 끼시고 인기있는 오피스텔로 급을 높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21/05/24 14:38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제가 퇴사 후 공백기를 가지고 이제 이직을 하는거라 대출을 끼기 힘들 것 같았습니다ㅠㅠ..
당분간 월세로 산다고 생각하고 전세를 후에 알아봐야하나 생각이 드네요..
21/05/24 15:41
다시 취업하실거면 이자가 부담되진 않으실 것 같고,
지금 무직이라 대출이 안될 것 같아서 알아보지 않으신거라면, 무직이어도 전년도 카드사용액 기준으로 대출 받을 수 있는걸로 압니다. 저도 직장 퇴사 후 무직상태에서 주택담보대출을 전년도 카드사용액 기준으로 소득 인정 받아서 대출 받았습니다! 전년도 카드 사용액에 따라 최고 2,500만원 이상 사용했을 경우 5천만원 소득 인정해주니 알아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21/05/25 10:19
제가 카드 사용액이 1년에 300만원을 넘기지 않을 정도로 정말 보험료 통신비 제외하곤 숨만 쉬고 사는 사람이라..
아마 카드 사용액으로 인정받기 힘들 것 같습니다..ㅠㅠ.. 그래도 이렇게 친절이 알려주시는 댓글 감사합니다!
21/05/24 14:40
원룸건물이면 해당건물이 다가구인지 다세대인지 보시고, 다가구이면 등기 하나 뽑아서 대출 얼마 있는지, 다세대이면 등기 전부 뽑아서 각 세대별 주인이 어떻게 되고 대출 얼마인지 체크해보세요. 그리고 대출금 + 전세금 합쳤을 때 건물 가격 넘어설 것인가를 보면 됩니다
21/05/24 15:20
일단 근저당 없는데만 골라서 가도 기본은 합니다.
이상한 집도 많지만 멀쩡한 집이 더 많아요 말 많은 집 말고 깔끔한데 골라달라고 하면 됩니다
21/05/25 10:42
근저당 없으면 본인 전세 대출이 최우선 변제로 올라갑니다. 집이 경매에 나왔을 때 내 전세값보다야 낮지만 않으면야 전세금 떼일일은 없을 겁니다. 다만 해당 주인이 현금 융통력이 많지가 않다면 빨리는 못 뺄 수 있는 위험은 있을 수 있습니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증보험이 있는 것이구요
21/05/25 10:20
월세도 50까지는 괜찮은데 50이상은 너무 부담되어서요..ㅜㅜ... 관리비에 수도 전기 이런거 포함하면 액수가 너무 커져서..
독립은 집 구하는것부터 맛이 쓰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