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1/20 09:23:23
Name 내용이론
Subject [질문] 전력공학(?) 기초 관련 도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요즘들어 발전소나 송,배전 시스템 등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전공이 상경계다 보니 어쩌다 에너지 PF에 관심이 생겼고 그쪽 관련 자료를 찾다보니

기본적인 발전과 송배전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 더 깊숙이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더라구요.

이런 분야를 전력공학이라고 하는 것 같은데 구글 검색을 해봐도 전공서나 수험서가 많이 뜨는 것 같아서

적합한 책을 찾기 조금 어려운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문과다 보니 전기 쪽에 대해서 아는 것이 거의 없는터라

학부생 입문이나 그 이하 정도의 내용을 다루는 책이 더 접근하기 편할 것 같습니다.

목표는 전공지식을 쌓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발전원리와 발전소, 변압소 등의 역할과

입지 선정시 고려해야할 요인처럼 전력 인프라 건설 위주의 교양을 쌓는 것입니다.

혹시 괜찮은 책이나 보고서, 자료 등을 추천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차아령
18/11/20 10:04
수정 아이콘
음.. 전력공학이라는게 전자전기 전공과목중에서도 심화에 속하는 분야라...
먼저 회로이론, 전자회로, 자동제어, 전자기학 등등을 공부해야지 이해할수 있을거에요......
전력공학만 바로 공부하긴 힘들겁니다. 더구나 문과출신이시면...
내용이론
18/11/20 10:13
수정 아이콘
전력공학이 고급과목이었군요... 일단 서점가서 실물을 봐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메로마나
18/11/20 10:22
수정 아이콘
전기쪽 전공자로써 오랫만에 접하는 단어네요.
원하시는데로... 학부생 정도의 수준과 대략적인 이해를 필요로 한다면 딱 맞지는 않지만
우선 전기에 관련된 깊이가 가벼운 책을 먼저 보시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서점이나 도서관에 있을 것 같네요.
그냥 "전기 이야기" 라고 검색했더니 나오는 던데 목차를 보니 그래도 이해를 하는데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9414024
메로마나
18/11/20 10:33
수정 아이콘
발전 원리는 간략하게 설명하는게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자석이 있으면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주변에 자기장과 전계라는게 형성이 됩니다.
이 자기장과 전계가 있는 곳에 전선을 가져다 놓고 자기장과 전계에 변화를 주면 전선에 왠지 모르게 전기가 흐르게 됩니다!!!
발전기는 전선이 감겨 있는 원통 가운데 자석을 가운데 놓고 돌리는 거죠. 반대로 하면 전기 모터가 되기도 합니다.
화력발전이나 원자력이나 결국 물을 끓여서 그 증기의 힘으로 저 엄청 크고 아름다운 자석을 돌려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됩니다.
자동차에 달린 발전기는 직접적으로 엔진의 동력을 발전기에 연결하여 자동차의 전기 장치에 사용할 전기를 생산하죠.
메로마나
18/11/20 10:47
수정 아이콘
저렇게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는 자석이 돌아가는 횟수라던가 자석이 얼마나 자성이 센지... 또는 감겨있는 전선의 횟수 등에 따라서 발전량이나 주파수 전압등이 결정 됩니다. 더 설명하자면 끝도 없고.... 여기서 생산한 전기를 실제로 사용자까지 안전하고 품질 좋게 전달하기 위해 송,배전이라는 것이 사용되게 됩니다.

송전을 위해서는 1차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승압 또는 감압해서 송전에 맞는 전압으로 맞추어 줘야 합니다. 우리나라는154,000V 또는 384,000V 로 송전을 합니다. 높은 전압으로 송전 하는 이유는 그냥 송전하면서 손실되는 전기를 최소화 하고 송전에 필요한 전선의 굵기등을 줄일수 있어 경제적인 요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산위에 송전탑이 위의 전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배전은 보통 흔히 보는 전신주를 통해 공급 됩니다. 요즘 신도시에선 지중화 해서 찾아보기 힘들기도 하죠. 송전을 통해 온 전기는 다시 변전소를 통해 22,900V 의 전압으로 변환됩니다. 그리고 각 전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전설비 앞까지 도달합니다. 주택가를 보면 전신주 위에 큰 원통을 보실수 있으실텐데요. 이게 변압기로 22,900V 온 전기를 220V 또는 110V로 변환해 줍니다. 커다란 아파트단지나 상가건물은 따로 큰 변압기를 설치합니다.
메로마나
18/11/20 11:02
수정 아이콘
발전소의 입지 조건
발전소는 물을 많이 필요로 합니다. 그래서 보통 바닷가나 강옆 등에 많이 지어졌습니다.
예전에는 송전설비라던가 송전에서의 손실이 커서 실제 전기를 사용하는 공장지대나 도시 옆에 지어졌었습니다. 지금도 인천이나 한강 근처가면 옛날 발전소 건물이 남아있어 다른 시설소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화력은 석탄과 가스발전 두가지로 나뉘는데 둘다 원료를 수입해서 사용 중입니다. 그래서 바닷가 옆에 지어진 석탄 발전소는 큰 석탄하적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스 발전은 가스관으로 연결이 되는 곳이면 건설이 가능해서 종종 복합화력의 경우 도시 안에도 지어지기도 합니다. 가스는 연소시켜도 찌꺼기나 중금속등이 덜 배출되니 가능하겠지요. 러시아의 가스관이 직접 연결되면 아마 다른 풍경이 연출되지 않을 까 합니다.

원자력은 아시다시피 지반의 안정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냉각수로 사용할 물이 필요해서 언제나 바다옆에 짓지요. 원료에 대한 문제가 해결된 편이지만, 폐기물에 대한 보관 방사능 유출 등의 안전 문제 때문에 폐기물 보관시설과의 근접성도 중요한 입지 요건인듯 합니다.
내용이론
18/11/20 11:29
수정 아이콘
친절한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답변해 주신 내용과 같은 정보들을 찾고 있었어요. 추천주신 책 꼭 보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7203 [질문] M자탈모인데 탈모약 어떻게하죠... [13] 카롱카롱3159 18/11/20 3159
127202 [질문] 국제정치, 국제경제 관련 국내외 사이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pnqkxlzks1128 18/11/20 1128
127201 [질문] 다큐멘터리 하나를 찾고 있습니다. (해외) [4] 분당선1542 18/11/20 1542
127200 [질문] 전력공학(?) 기초 관련 도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내용이론2468 18/11/20 2468
127199 [질문] [육아]뒤집기시작한 애기 침대...육아선배님들 도움부탁드립니다 [33] 테크닉션풍3265 18/11/20 3265
127198 [질문] 아이폰 케이스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3] 회색사과1677 18/11/20 1677
127197 [질문] 보헤미안 렙소디 싱어롱 관에서 볼만한가요? [8] ...And justice3077 18/11/20 3077
127196 [질문] 벽? 벽지?에 곰팡이 피었을 때 해결 방법 질문 [14] 사나다 유키무5237 18/11/20 5237
127195 [질문] 깨진 이 치료 얼마나 바로 해야 하나요? [8] 코왕1900 18/11/20 1900
127194 [질문] 바지보관 어떻게하시나요? [3] 바둑아위험해4668 18/11/19 4668
127193 [질문] 류현진 메이저리그 데뷔전 [2] 민머리요정1727 18/11/19 1727
127192 [질문] 제주 여행추천부탁드립니다. [12] 하마아저씨2558 18/11/19 2558
127191 [질문] 스마트워치는 개별적으로는 작동 안하나요? 김철(34세,무좀)1128 18/11/19 1128
127190 [질문] 이상한 문자가 왔는데 제가 괜히 이상하게 생각하는건가요? [24] 두점3243 18/11/19 3243
127189 [질문] 가성비 좋은 프린터 추천부탁드립니다. [2] kogang20011747 18/11/19 1747
127187 [질문] 축구선수 유니폼안에 입는 검정 브라탑?) [5] 퍼시픽뉴캐슬7326 18/11/19 7326
127186 [질문] 현대카드 M포인트 마일리지 변환 혹은 사용처 [10] BestOfBest3481 18/11/19 3481
127185 [질문] 휴대하기 좋은 작은 타블렛 어떤 제품이 좋을지요...? [5] nexon3087 18/11/19 3087
127183 [질문] 광어초밥 25,000원 [8] Wade3575 18/11/19 3575
127182 [질문] 일본 만화책 이름 질문 [5] 이혜리1916 18/11/19 1916
127181 [질문] 컴퓨터 견적 재확인 올립니다. [5] 흥멤2654 18/11/19 2654
127179 [질문] 커뮤니티 질문입니다. [10] 교자만두1674 18/11/19 1674
127178 [질문] 보금자리론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ㅜㅜ [9] 10년째학부생3711 18/11/19 37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