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1/15 15:55:22
Name 김유라
File #1 94516237e5a7fa9de16029b799c2731d.jpg (19.5 KB), Download : 20
File #2 ezgif_1_db49aebf5655.gif (1.09 MB), Download : 0
Subject [질문] 재테크 관련고민(연금저축보험) 중입니다. (수정됨)




20대 후반 미혼 사회초년생입니다. 차는 그냥 오토바이 하나 몰고 있고요.

현재 수익을 100 으로 본다면,

30 - 3년 만기 적금형태(이자 단리 3%)
40 - 주식(수익은 년마다 다르지만 0~10% 정도)
30 - 개인경비(차량유지비, 휴대폰공과금, 인터넷 비용 등 포함)
(보너스는 70주식 30개인경비 사용중)

인데요. 최근에 너무 단기적 목돈 마련에 치중된 것 같다, 장기 목돈 하나 마련해보라고해서 알아봤는데 연금성 저축보험이 있더라고요. 수익률은 적지만 했을 때 비과세에 세금공제 혜택도 있기도 하고, 출납이 어느 정도는 유연해서 급할 때는 조금씩은 사용할 수 있어서 비상금 형태 사용도 가능하더라고요.

그래서 월급의 10% 정도를 해볼까 했는데, 아직 미혼인데 너무 많다는 분도 계시고, 적당하다는 분도 계시더라고요.

그래서 이게 어떨지 지금 고민 중입니다.

1. 연금저축보험의 확실한 장단점이 무엇일까요? 찾아봐도 죄다 광고라...

2. 월급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으로 투자하는게 좋을까요?

답변 부탁드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트네르아
18/11/15 16:00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보험말고 연금저축펀드하세요. 10년 납해야하니 결혼 및 주택구입등등 고민하신후 본인이 결정하셔야해요. 구체적인 금액을 모르니 도와드리기 어렵네요.
이오니
18/11/15 16:29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보험]이지 연금[저축]보험은 아니니 잘 생각해보시고 드셔야 됩니다.
무슨일이 있어도 깨지 않을 만큼 월 납입금액을 생각하시고 드시면 될 것 같아요.
(운용 수수료 + 세액공제 받았던 금액을 뱉어내게 되면 실제 납입한 금액보다 덜받습니다.)
김유라
18/11/15 16:37
수정 아이콘
네 저도 해지의사는 거의 없는데(그것때문에 10%도 크다는 사람이 있는 것 같고요), 이걸 장기간으로 들었을때 정말 이익이 있을지가 궁금해서요.
srwmania
18/11/15 16:36
수정 아이콘
장점 : 소득공제
단점 : 만기 전에 해지하면 거의 무조건 손해
그냥 파기하면 돈 반토막으로 받는 국민연금이라고 생각하시면 속 편합니다.
가입하실 생각 있으시면 최소금액~15만원/월 정도 추천드리고, 그 이상은 다음에 딴 데다 하세요.
하드럭
18/11/15 18: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0.
연금저축보험은 출납이 안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가급적 안 드시는 것이 맞습니다.
금리 2~3%에 비과세 해봤자, 혜택이 얼마나 됩니까? 실제로 3%도 주지 않으며, 사업비 공제하면 꾸준히 납입한다는 전제하에 원금까지 가는데 7~10년 걸립니다.
굳이 가입하려면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하세요.

1.
연금저축펀드 장점 : 소득공제 & 운용될 때 비과세(과세이연)
단점 : 55세까지 못 찾고, 연금식으로 찾아야 함.

2. 얼마나 가입해야 할까요?
님의 재무상황을 모르니 답이 나올 수 없지만,

집이 있습니까(혹은 거주 안정성은 있습니까)?
최소 4% 기대수익을 올릴 수 있는 자산배분안을 운용할 자신이 있습니까?

첫번째 질문이 노라면, 납입한 돈이 필요없을 정도까지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만 납입받아 연말정산 받자.

첫번째 예스, 두번째 노. 최대 400만원까지 납입해서 연말정산을 최대로 받되, 국공채펀드에 가입.

둘 다 예스이면, 최대 1,800만원까지 납입.

참조할만한 글.

https://financialfreedom.kr/%EC%A0%80%EC%B6%95%EB%B3%B4%ED%97%98%EC%9D%98-%EC%8B%A4%EC%B2%B4/

http://blog.plain-vanilla.co.kr/221300167230
김유라
18/11/15 21:47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18/11/16 07:33
수정 아이콘
펀드쪽은 운용수수료가 쎄고 보험쪽은 선취수수료가 쎕니다.
무조건 보험이 나쁜게 아니거 장단이 있으니 판단해서 드세요.
전 보험으로 들었어요. 보험이 나쁜거라는디 어차피 해지 안할거면 보험기능이 있는게 도 좋아보이고 펀드 운용수수료가 좀 쎄서요.
하드럭
18/11/16 08: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펀드의 수수료가 비싸다, 싸다는 개인적 판단이겠지만, 님께서 드신 개인연금저축 보험의 장점이라는 것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저축보험의 해약은 생각보다 높습니다.
연금저축보험은 보험기능이 없습니다.
18/11/16 08:53
수정 아이콘
사망보험금이 잡혀있는데 보험기능이 없다는기 이해하기 어렵네요;; 제 보험약관을 보여드려야 믿으실려나요. 보험기능 있습니다.

수수료는 먼저 많이 떼냐 평소에 많이 떼냐 문제인데 이런건 개취라는 논조이지 전 비싸다 싸다라는 말은 안했습니다. 그리고 어느쪽이 수수료가 낮은것도 아니고요.

저축보험이 안좋은건 알지만 연금저축은 다른 이야기입니다. 보험사에서 들어도 이윤 안나와서 홍보도 잘 안나오는게 연금저축 보험인데요. 나라에서 하라니까 하는거지
하드럭
18/11/16 09:01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보험인지, 연금보험인지 확인해보세요. 여기서 이야기하는 것은 연말정산을 받을 수 있는 연금저축보험입니다.
아파테이아
18/11/16 09:52
수정 아이콘
20대에게 50세 이상의 노후대비가 필요한지 의문입니다.
결혼, 차량, 주택구입 등 굵직굵직한 목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3년 이상 만기 저축 기타 상품은 비추천합니다.
저는 30 초중반, 결혼했는데 5년만기도 부담스럽습니다.
당장 2년마다 집(전세) 이사, 향후 주택구입 이슈가 있어서요.
18/11/16 12:13
수정 아이콘
세액공제가 장점인데
연400 넣으면 13프로 16프로 환급이니까요

단점은
나중에 연금수령할시에 세금을 다시 떼죠.

개인연금 포함 국민연금도 수령해서 그 금액이 년 1200만 이상 세금수령시에는 종합소득세신고가 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7044 [질문] 중식에 자주 쓰이는 버섯 이름이 궁금합니다. [7] 노다메구미2792 18/11/16 2792
127043 [질문] 동작구청 주차장 쓰시는 분 계신지요 [2] 조율하는 조유리3952 18/11/16 3952
127042 [질문] 아이패드 프로 1세대 액정 수리 질문입니다 [7] 내일은해가뜬다1970 18/11/16 1970
127040 [질문] 로스트아크 평가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18] 러블세가족2409 18/11/16 2409
127039 [질문] 구글포토에 업무사진 위험한거죠? [11] 어센틱2889 18/11/16 2889
127038 [질문] 이탈리아 여행 일정 조언 부탁드립니다 [10] 지포스21873 18/11/16 1873
127037 [질문] 대학원 직무발명시 발명자 지분? [7] 차라리꽉눌러붙을2782 18/11/16 2782
127036 [질문] 아이허브 블랙프라이데이 [5] 오쇼 라즈니쉬2204 18/11/16 2204
127035 [삭제예정] 서울대 투어, 어디어디 가보면 좋나요? [16] Hisoka3136 18/11/16 3136
127034 [질문] 로아 캐릭생성불가 질문입니다. [5] 나스이즈라잌4497 18/11/16 4497
127033 [질문] 스마트폰 무선충전기중에 쓸만한것 있을까요 [17] 돼지도살자2297 18/11/16 2297
127032 [질문] 윤종신 vs 김연우 누굴더 좋아하시나요? [38] 리버풀2967 18/11/15 2967
127031 [질문] 영화 양들의침묵의 제목은 왜 양들의침묵일까요 [8] 분당선3710 18/11/15 3710
127030 [질문] 제 컴퓨터 멈추는 현상이 프리징인가요? [10] 챔쁜이2800 18/11/15 2800
127029 [질문] 갤럭시A8이나 G7 한달에 얼마 나와야 싸게 사는 걸까요? [5] wook981947 18/11/15 1947
127027 [질문] (완료)이게 뭔 케릭터인가요? [5] 아유카와마도카2144 18/11/15 2144
127025 [질문] PS4 게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4] 이호철4043 18/11/15 4043
127024 [질문] [로스트아크] 린필드750 라데온 5850 돌아갈까요? [10] 설아3319 18/11/15 3319
127023 [질문] 인터넷 속도측정 질문입니다. [4] LOBO3247 18/11/15 3247
127022 [질문] 임원면접 보고 왔습니다 [10] G5103796 18/11/15 3796
127021 [질문] 대가리 깨진분은 어떤 유행어 인가요? [9] Lord Be Goja3380 18/11/15 3380
127020 [질문] 마미손 = 매드클라운인가요? [16] Healing5108 18/11/15 5108
127019 [질문] 파마슈랑스라는 것 어떤가요? [2] 러블세가족2358 18/11/15 23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