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0/27 14:48:57
Name Mindow
Subject [질문] 대장,위내시경 경험자분에게 질문드려요
대장, 위내시경 경험자분들에게 질문드립니다

제가 금욜날 병원 방문해서 사전검사는 끝냈구요

월요일날 내시경 하기로 예약잡고 현재 이런저런 약을 받은 상태입니다.

내일부터는 흰죽 한번 먹고 난 후 금식하며 받은 약을 먹어가며 장을 다 비우는 작업을 할 예정입니다.

오늘까지가 그나마 최대한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기회긴 한데 해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몇몇가지 제약이 있는 상태죠
적색 포도색 착색음료, 참외수박포도등 씨있는 과일 등, 김치같은 야채류, 흑미, 깨, 해조류 등등은 먹지말라고 하더군요
그와중에 오늘까지라도 맛있게 좀 먹어둬야 내일 장비우는 작업할때 맛있는거 좀 잘 먹어둘걸 하는 미련이 안 남을 것 같습니다 ㅜㅜ

[질문1.] 본격적 장비우는 작업날 이전까지 먹지 말라는 음식 피하면서 맛있는 것 추천 부탁드려요

[질문2.] 부모님이 위내시경 그까이꺼 대충 수면마취도 필요없고 대충 구역질 끄억끄억 몇번좀 하면 끝난다고 돈만 더 들이고 회복시간도 괜히 들인다고 쉽게 말씀하시던데 정말 수면마취 안해도 할 만 한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절름발이이리
18/10/27 14:55
수정 아이콘
수면마취 안해도 크게 상관없다는 사람도 있고 지옥 경험하는 사람도 있고 개인차가 있습니다. 애초에 식도 크기나 통증 같은게 다 개인차가 있어서.
18/10/27 15:3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18/10/27 14:56
수정 아이콘
수면마취 강추요
18/10/27 15:33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그게 낫겠죠? -0-;;
어제내린비
18/10/27 14:57
수정 아이콘
며칠전에 위내시경 했는데..
시간은 그리 오래걸리지는 않았지만 저는 상당히 고통스러웠습니다.
대신 끝나면 금방 정상상태로 회복이 되죠.
수면마취를 하면 30분이상 걸리고 끝나고나서도 몽롱해서 운전같은건 절대 하면 안된다고 하더군요.
18/10/27 15:33
수정 아이콘
병원이 집에서 5분도 안 되는거리라 운전은 필요없습니다 흐흐
18/10/27 15:11
수정 아이콘
장내시경은 안해봐서 모르겠지만, 위내시경의 경우는 요령이 생기면 마취 필요없습니다.
처음부터 마취를 안해서 그런지 저는 위내시경의 경우, 별 느낌이 없네요.
18/10/27 15:34
수정 아이콘
첨이라 요령이..ㅠㅠ
스타카토
18/10/27 15:12
수정 아이콘
무조건 수면이요....
그리고 위랑 대장 동시에 진행하시는거죠?
수면으로 동시진행하는걸 강추합니다.
저도 2년마다 그렇게 진하고있습니다.
수면으로 하게되면 대장내시경 약먹는것이 가장 어려운 작업이에요.
되도록 대장비우는약은 포카리스웨트 스타일의 물약말고 알약을 강추합니다.
먹는 부담이 비교가 안됩니다.
18/10/27 15:34
수정 아이콘
네 두개 동시에 합니다.
약은 어제 방문당시 선택여지도 없이 그냥 물에 타먹는걸로 주더라고요;;
18/10/27 15:15
수정 아이콘
수면 안하셔도 할수는 있는데, 굳이 그 고통을 감수하는 건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과일씨, 해조류, 고춧가루(이게 제일 문제) 같은 거 빼고나면
본죽밖에 갈데가 없습니다.
저는 홍게살죽 위주로 공략했습니다.
18/10/27 15:3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본죽가야겠군요 ㅠㅠ
18/10/27 15:22
수정 아이콘
예전에 병원안에서 내시경기다리면서 있었는데 안에서 들려오는 꾸웩, 끄억 소리 듣다보니 나는 절대 쌩으로 못하겠다 생각이 들었네요
18/10/27 15:35
수정 아이콘
끄악 ㅠㅠ 상상하기도..크크;;
18/10/27 15:27
수정 아이콘
고통없는 분이 소수 일거에요....
18/10/27 15:35
수정 아이콘
역시 부모님은 그냥 쉽게 말씀하신 것 같기도;;
18/10/27 15:38
수정 아이콘
수면이 꿀이져.. 양쪽을 동시에 받을 수도 있고... 저도 처음엔 수면 할 필요 있나? 하고 했다가 낭패보고... 다음에 수면 했는데 호흡기 끼우길래 이제 시작인가... 한 후 음? 하니까 이미 깨어있더라고요. 깨고 나서 매우 상쾌했던 건 덤... 옆 아줌마는 얼마나 스무스 하셨는지 수면 내시경 받으신 직 후 본인은 아직 받지 않았다며 우기시더라고요. 저는 강추 합니다.
18/10/27 19:4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수면해야겠네요 크크
정지연
18/10/27 15: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위 내시경 비수면은 사바사입니다.. 잘하는 사람은 잘하고 못하는 사람은 다시는 하고 싶지 않을 정도로요..
저도 못하는 사람인데 제 경우는 카메라가 들어오면 본능적으로 식도에 힘을 줘서 들어오는걸 막더라고요.. 그래서 진행도 더디고 식도에 근육통도 오고 그래서 한번 해본후로는 무조건 수면으로만 합니다..
장을 비우는 거면 대장 내시경을 하실건데 대장 내시경은 어차피 수면해야 합니다. 고통의 정도가 위내시경과 다르니까요.. 한번 수면 했을때 위, 아래 다합니다.. 굳이 위만 비수면으로 따로 할 필요도 없어요..
18/10/27 19:48
수정 아이콘
식도에 근육통까지 오는 경우도 있군요 덜덜
네파리안
18/10/27 16:06
수정 아이콘
수면하면 푹잔느낌으로 끝낼 수 있어서 추천드리구요. 개인적으로 미음 + 계란후라이 + 간장 조합과 카스테라 + 흰우유 조합이 가장 먹기 좋았습니다.
참고로 실비보험이 있을시면 하루 입원 하실경우 수면내시경으로 해도 80~90프로는 받을 수 있으니 보험이 있으시다면 비용때문에 고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18/10/27 19:4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카스테라+우유 먹어야겠네요
홀리데이
18/10/27 16:07
수정 아이콘
제 경우위내시경 비수면 했었는데 느낌이 차멀미보다 버틸만하다 였습니다. 호수 집어 넣는거는 그냥 편했고 누워 있으면 되가지고요. 불편한게 호수를 통해서 가스를 집어넣었는데 이게 더부룩했었습니다. 가스를 꺽꺽 뱉어 내는거만 하면 괜찮더라고요.
18/10/27 19:49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
알바트로스
18/10/27 16:44
수정 아이콘
위와 대장같이 하실거면 고민할 필요도 없습니다. 수면입니다.
18/10/27 19:49
수정 아이콘
같이하면 수면이 진리군요
18/10/27 19:56
수정 아이콘
저희 부모님께서 쓸데없는 데 돈 쓰는 거 많이 싫어하셔서 비수면으로 한 번 받으셨다가 다음부터 수면으로만 하고 계십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6338 [질문] 가끔 유게 보면 배달음식 중에서 떡볶이 가성비가 최악이라던데 [14] Cand2715 18/10/27 2715
126336 [질문] 현재 컴퓨터 구입 시기 적당할까요? 부품 문의 [3] 어둠後2893 18/10/27 2893
126335 [질문] 영화 창궐 보신 분 계신가요? [17] 시라노 번스타인2690 18/10/27 2690
126334 [삭제예정] 결혼식 참석 조언 부탁드립니다 [5] 수부왘2959 18/10/27 2959
126333 [질문] 엑셀 질문입니다. [13] 스핔스핔1603 18/10/27 1603
126332 [질문] 텃밭 가는 것 질문 [17] 당신은누구십니까2384 18/10/27 2384
126331 [질문] 컴퓨터 견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8] JL2229 18/10/27 2229
126330 [질문] 대장,위내시경 경험자분에게 질문드려요 [27] Mindow2700 18/10/27 2700
126329 [질문] 방탈출 카페 [9] 어...2497 18/10/27 2497
126327 [질문] 오늘 롤드컵4강 티켓 현장에서 구매할수있나요? [3] Honestly1704 18/10/27 1704
126326 [질문] 부모님 모시고 오사카 3박4일 관광 예정입니다. 담배상품권1753 18/10/27 1753
126325 [삭제예정] PT 면접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1] 고전파2186 18/10/27 2186
126324 [질문] 도쿄여행 숙소를 긴자로 잡아도 될까요? [6] 스프레차투라2095 18/10/27 2095
126323 [질문] 엑셀 질문 하나 드립니다 [5] 그린티미스트1576 18/10/27 1576
126322 [질문] 각종 고지서나 통지서를 메일로 받는 분 많으신지요...? [2] nexon1861 18/10/27 1861
126321 [질문] 니코동은 아이즈원 관련 영상이 막혀 있나요? [4] 10년째도피중2119 18/10/27 2119
126320 [질문] 말이 행동을 만든다 vs 나 공부 하나도 안했어 [23] 니나노나2792 18/10/27 2792
126319 [질문] 오이도 횟집 혹은 맛집 추천드립니다. [3] 야광별1806 18/10/27 1806
126318 [질문] kbs와 관련된 최근 큰 이슈같은게 있을까요? [2] 틈새시장1624 18/10/27 1624
126317 [질문] 차량 교체 질문입니다 [3] 시지프스1395 18/10/27 1395
126315 [질문] 노가다 기술 배우는 중인데 임금미지급으로 신고할려고 하는데 자세히 아시는 분 있나요? [9] 삭제됨4798 18/10/27 4798
126314 [질문] 서울에 찐~한 베트남쌀국수 추천해주세요 [6] 코돈빈1957 18/10/27 1957
126313 [질문] LOL 크래시 덤프 관련 [2] Eulbsyar4533 18/10/27 453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