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0/26 16:11
(수정됨) 아주 거칠게 이해하기쉽게 요약하면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은행들에게 돈을 빌려주는 금리..같은 개념입니다. 그래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가지고 하는 거래가 있기 때문에 그것이 시장 ㅡ 시중은행들에게 바로 영향력이 있는 셈이죠. (정확한 요약은 아님..)
18/10/26 16:44
1.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일이 시중은행의 수익에 막대한 영향을 끼쳐 여타 금리들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으로 작용할 정도로 규모도 크고 자주 있나요?
2. 시장 내 각종 금리를 결정하는 주체는 비단 시중은행뿐만이 아니라 증권사, 보험사, 심지어 각 기업들 등 금융시장 내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또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18/10/26 17:21
http://www.bok.or.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289
http://www.bok.or.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294 참조하시고, RP금리는 시중은행이랑 한국은행이랑 환매조건부로 채권을 사고 팔때 적용되는 금리고 통상 7일짜리입니다. 초단기금리 상승이 장기적으로 장기금리 상승을 일으킬수밖에 없는 이유는 아실거같으니 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