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0/16 22:02:22
Name nexon
File #1 3556341496_AmUnike8_45ec04a0983f3fe3d2603bd62d807b37b8cca819.jpg (66.6 KB), Download : 21
Subject [질문] 홈트레이닝으로 이것과 비슷하게 몸을 만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사진은 헬스로 유명한 어떤 분인데요

저 분처럼 전문적으로 수년간 헬스장에서 전업으로 할 수는 없으므로

저 수준으로 복근 등이 완성되지 않고 적당히 보기 좋을 정도로 한다면

집에서만 하는 맨몸운동으로도 몸을 만들 수 있을까요...?

혹시 가능하다면 어떻게 운동 루틴을 짜야할까요...?


그리고 운동량을 늘려도 근육이 잘 안 붙는 경우는 음식물 섭취량이 적어서 그런 것인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0/16 22:23
수정 아이콘
맨몸운동으로 저 정도 볼륨은 어려울 겁니다. 저 분 키가 무려 193..
결국 바디빌딩식으로 볼륨을 키우려면 점진적 증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맨몸의 하중만으로는 한계가 있긴 할거에요.
그 한계까지 다다르는 것조차도 사실 쉬운 문제가 아닙니다만...
18/10/16 22:26
수정 아이콘
그리고 막줄 질문에 대해 저분 말을 빌려 답변하자면
운동은 틀을 잡는 것이고, 식이는 잡은 틀에 시멘트를 붓는 것, 휴식은 시멘트를 굳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운동량이 늘었는데 근육이 안 붙는다면 운동량, 즉 근육에 입히는 데미지가 순수하게 늘었는지를 고민해보시고
그 이후에 식이나 휴식.. 뭐 루틴.. 이런 부분에 대해 접근해보실 필요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페로몬아돌
18/10/16 22:37
수정 아이콘
저 몸은 맨몸으로 100프로는 아니지만 99프로 못 만듭니다. 그냥 일반인은 안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근육이 안 붙는건 여러가지 이유죠. 고중량, 식단, 휴식 중에 뭐가 잘못 된지 알수가 없죠.
18/10/16 22:39
수정 아이콘
맨몸으로는 사실 불가능입니다. 아마 방송에서도 저형이 말할텐데요.
18/10/16 22:45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마지막 질문은 원인이 여러갭니다. 식이문제일수도있고 근회복 문제일수도있고 운동의 자극문제일수도 있고
운동법의 문제일수도있고요.
이것도 저형이 말했던것같은데 이것저것 다 해보고 본인의 몸에 맞는 운동법을 찾아야 한다고요.
물론 시행착오가 적어지게 여러가지 참고해서 실패할수있는 확률은 줄일수는있다고 사람의 몸과 체질 그리고 식습관 모든것이 동일할수가 없기떄문에 다이어트방법도 성공방법이 전부 제각각이듯이 보통 적게먹고 활동량을 많이 가져가는게 가장 정석적으로 빠지는 길이긴하지만
근육을 키우고 조각을 내는것도 사람마다 다를수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어느정도의 기본적인 베이스는 있고요.
18/10/16 22:52
수정 아이콘
불가능입니다. 키다리형 운동 구력도 후덜덜해요
태엽감는새
18/10/16 23:18
수정 아이콘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맨몸 끝판왕은 데스런님 아닌가요.
Philologist
18/10/16 23:22
수정 아이콘
거기도 사실은 빌더 출신...
동네형
18/10/16 23:22
수정 아이콘
됩니다.
Philologist
18/10/16 23:23
수정 아이콘
기호 형처럼 몸만들기는 쉽지 않을 꺼고... 마지막 질문은, 많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운동 초보는 운동량이 부족해서 근육이 안 생깁니다.
동네형
18/10/16 23:23
수정 아이콘
땀당에도 질문 주셨던거 같은데 [홈트레이닝 = 약한트레이닝] 이아닙니다.
아마 맨몸트레이닝으로 질문 주신거 같은데 체조선수들 보면 맨몸으로 미칩니다.
18/10/17 11:20
수정 아이콘
체조 선수들도 웨이트합니다 벤치들고 스퀏합니다
동네형
18/10/17 17:13
수정 아이콘
체조선수들 의 맨몸 트레이닝을 말했습니다.
알카드
18/10/16 23:40
수정 아이콘
되냐 안되냐라고 했을때 가능은 하지만 그 시간과 노력은 헬스장에서 하는 웨이트트레이닝 대비 2,3배는 힘들고 오래 걸립니다. 그리고 요샌 탑급 체조선수들도 중량 운동 많이하고요. 그리고.. 맨몸은 부하를 주기위해서 근본적으로 모멘트암을 길게가져가는 방법을 거의 이용하는데 이게 점진적과부하하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게다가 관절 이슈도있어서 다치기 쉽상이에요. 중량딥 중량풀업 중량 푸시업을 계속해서 무게를 늘려나가며 한다면 그래도 생각보다 쉽게 가능한데 집에 그런 중량을 구비할 바엔 헬스장 가는게 낫겠죠.
18/10/16 23:53
수정 아이콘
가능하다고 해도 30년은 걸릴걸요.
바디빌딩은 효율이죠.괜히 한 부위 근육을 조지는게 아니에요.그게 가장 효율적이니깐 조지는거에요.
적당히 해도 근육은 커요.오래걸려서 그렇지.
헬스할때마다 중량치고 조져서 1년동안 만든 몸을 적당히 힘들때까지 중량운동해서 만들려면 2년 걸릴겁니다.
스트라스부르
18/10/17 04:52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저 분은 운동을 10년 넘게 하신 몸입니다.
(맨몸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맨몸운동으로 저 경지에 다다르려면 최소 5년은 해줘야 할겁니다...
18/10/17 21:06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6020 [질문] 자유의지가 없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sdqwea1364 18/10/19 1364
126019 [질문] 두 개의 블루투스 이어폰 비교 부탁드립니다. [4] 플래쉬2061 18/10/19 2061
126018 [질문] 영어회화의 왕도는 무엇일까요? [8] 블루레인코트2639 18/10/19 2639
126017 [질문] 여친 생일 기념 특별한 장소가 있으신지요? [16] 클레멘티아3513 18/10/19 3513
126016 [질문] 유아 카시트 위치 (하나인 경우) [13] 서쪽으로가자3949 18/10/19 3949
126015 [질문] 야구? 물리? 관련 타구와 투구 속도와 홈런 [20] 삭제됨2409 18/10/19 2409
126014 [질문] 유튜브 재생위치 기억 관련 질문 에프케이3459 18/10/19 3459
126013 [질문] 이사 업체 및 청소 업체 관련 질문 [2] 어빈1900 18/10/19 1900
126012 [질문] 안녕하세요! 옷을 좀 사려고 하는데 아울렛 가야겠죠?? [5] 살다보니별일이1906 18/10/19 1906
126011 [질문] 벡스코 직관갔다오신 분들께 몇가지 질문드립니다. [4] LiXiangfei1277 18/10/19 1277
126010 [질문] 요즘 중고생들은 수능,내신접고 9급준비가 낫지 않을까요? [35] 매일푸쉬업3826 18/10/19 3826
126009 [삭제예정] 혹시 결혼정보업체 가입해보신 분 계신가요? [37] 삭제됨11925 18/10/19 11925
126008 [질문] 암표를 막아야 하는 이유? [76] 키류6112 18/10/18 6112
126006 [질문] 독일어 고수님의 도움이 절실합니다. [6] 호연2263 18/10/18 2263
126005 [질문] 실비보험 질문 하나 드려도 될까요? [6] 초록2301 18/10/18 2301
126003 [질문] 제2외국어로 일본어 도전 질문입니다. [5] 삭제됨2273 18/10/18 2273
126002 [질문] 롤드컵 4강 kt가 올라갈시 토요일경기맞나요?? [8] 삭제됨1808 18/10/18 1808
126001 [질문] 김포공항에서 제주행 비행기 탈려면 최소 1시간전엔 가야 하나요? [9] 회전목마3562 18/10/18 3562
126000 [질문] 북한 사학계에서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내놓은 적이 있나요? [3] 개념적 문제2229 18/10/18 2229
125999 [질문] 다이어트랑 감기랑 연관이 있나요? [7] 명군1913 18/10/18 1913
125998 [질문] 이름에 쓰는 '서'의 영문식 표기법은? [10] 맛있는사이다6519 18/10/18 6519
125997 [질문] [신혼집 TV] 65인치QLED vs 75인치UHD [25] 부폰5424 18/10/18 5424
125996 [질문] 왜 비제조업 기반 학문에서도 학문적 수준이 자본을 따라가나요? [20] retrieval2615 18/10/18 26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