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0/03 23:00
아 그렇군요. 이비인후과 쪽으로 알아보는게 좋을것 같네요. 제가 평소에 비염때문에 이비인후과도 좀 다녀본 편이라서요. 흐흐;;
답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__)
18/10/03 23:27
아예 수면클리닉 같은 곳도 있습니다. 광고로 보일지 모르겠지만.... 저는 서울 선릉역 근처 어딘가의 수면클리닉에서 검사를 받아봤습니다(원장 분이 수면 관련 책도 냈더라구요.... 진짜 광고 아닙니다 ㅜㅜ)
18/10/04 08:56
저는 건물 하나에 내과 이비인후과 등 모여있는...뭐라 부르는지 모르겠는데, 연합 병원? 그런데에 수면센터도 있어서 거기서 검사 받았습니다. 만족했구요.
검사 받고 양압기 사용하시게 될 경우 적정 압력 세팅용으로 한 번 더 검사 받으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더 궁금한 것 있으면 쪽지 주셔요~
18/10/04 15:09
대학병원에서 하셔도 되는데 요즘은 수면다원검사 해주는 병원이 꽤 많습니다.
저는 서울에서 검사 했고, 수면무호흡때문에 양압기 쓰고 있네요.ㅠㅠ
18/10/09 00:20
저번주 금요일에 대학병원이외의 병원에서 검사 받고 왔습니다.
수면무호흡 진단 받았는데ㅠㅠ 양압기인지 수술인지 고민 중이네요ㅠㅠ 답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__)
18/10/08 18:20
1. 우선은 양압기 사용이 목적이시라면 가장 가까운 병원으로 가는게 낫습니다.
양압기 쓰면서 결과도 병원가서 체크하면서, 처방도 조정을 해주기 때문에 굳이 먼 병원 찾아갈 필요가.. 2. 제 개인적으로는 전 부산이라 수면클리닉으로 갔었네요. 요즘 대학병원들이 워낙 검사스케줄도 밀려있는 거에다가.. 따로 적정압력검사 없이 양압기 자동으로 세팅놓고 한다는 말이 너무 많아서.. 양압기 자동보다도 압력검사를 통해 본인에게 맞는 압력으로 사용하고, 이 데이터들을 4주 정도 쓰면서 병원에 검진받으면서 압력이 높으신분들이 조금씩 내려갈 수 있다고 의사분께서 말씀하시더라구요. 이런 압력검사 없으면, 막말로 4-12 이런식으로 그냥 광범위한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다보니, 효과가 없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3. 그리고 양압기가 의료기이지만, 이건 뭐 양압기 카페를 가봐도 판매하는 업자보다 사용하는 실 사용자분이 더 지식이 많은 경우도 있습니다. 저도 나잘형 마스크 쓰자마자 코 옆에 트러블 생겨서 이야기 하니, 피부 민감하신 분은 테이프 같은거 미리 바르고 하시면 좀더 나은데.. 제가 따로 말씀을 못드렸네요 죄송합니다. 라는 말을 들으니 참 어이가 없어서....
18/10/09 00:22
상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일단은 양압기가 아니라 검사 자체가 목적이었습니다. 그런데 검사를 받고나니 수면무호흡 진단을 받아서... 어쩌면 정말로 양압기를 생각해야 할 지도 모르겠어요. 다만 양압기도 수술도 사실 결정하긴 좀 힘드네요. 둘 다 방법이 좀 무거워서요ㅠㅠ 다시 한 번 상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__)
18/10/10 10:35
우선 무호흡진단 받으셨다면 양압기 사용을 전 권해드립니다.
다른걸 떠나서 자고 일어났을때의 개운함이 아예 비교자체가 안되는 넘사벽입니다. 자는 모습이 좀 흉칙하긴 해도.. 크크. 다음날 덜피로한거 생각하면 전 무조건 쓰길 잘했다라는 생각입니다. 예전에 보험처리 되기 전만 해도 비용때문에 사실 잠시 쓰다가 안썼는데, 지금 보험적용되서 월 17,000원 정도로 쓰고 있는데, 대만족입니다. 어차피 양압기 처음 순응기간이라고 해서 첫 검사 결과로 3개월정도는 보험적용이 되기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한번 체감하시고 수술이건 양압기를 쭉 쓰시건 고민해보셔도 충분하실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