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9/12 14:38:05
Name 그린티미스트
Subject [질문] 남는 돈 굴릴만한 방법 없을까요?
6천5백만원 정도가 현금으로 놀게 될 상황입니다.
사실 아파트 대출 4천만원 가량이 남아있기는 한데 이자가 별로 쎄지 않아 대출을 갚는 것 보다는 6천5백이라는 돈으로 뭔가를 해 보고 싶습니다.

투자쪽은 완전 무지하여 도움을 요청합니다!

참고로 저는 한국에 없습니다. 한국에서만 가능한것은 제외 부탁 드리며
스포츠토토, 가상화폐도 할만큼 해봐서 제외 부탁드립니다.
키워드만 던져주시면 알아서 검색하여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9/12 14:45
수정 아이콘
미국주식이요. 덩치 큰 it 기업들도 대체적으로 계속 오르고 있고 미국 인덱스 펀드 같은 것도 실적이 좋아요.
여름보단가을
18/09/12 14:46
수정 아이콘
ETF 투자 추천드립니다. 국내시장 외에도 미국시장 ETF도 쉽게 거래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두지모
18/09/12 14:47
수정 아이콘
저라면 이자 적어도 대출 처리하고 남은돈으로 투자할것같습니다.
18/09/12 14:48
수정 아이콘
222
Maria Joaquina
18/09/12 15:16
수정 아이콘
33
18/09/12 16:08
수정 아이콘
44
18/09/12 16:24
수정 아이콘
55
재즈드러머
18/09/12 20:13
수정 아이콘
이게 맞죠. 주식투자로 연 은행 대출 이자 이상 벌려면 꽤 수완이 좋아야하죠.
비둘기야 먹쟈
18/09/12 14:55
수정 아이콘
쪽지드립니다
18/09/12 15:19
수정 아이콘
혹시 저도 쪽지 부탁드려도 될까요?
저도 상황이 비슷합니다.
대출은 훨씬더 많지만 이자가 워낙 싼 대출이라 채권형 으로 안전하게 굴려도 더 이득일거 같은데 단순 펀드 같은 것 보다는 좀더 제대로 투자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Maria Joaquina
18/09/12 15:26
수정 아이콘
무슨 내용일지 궁금하네요.
비둘기야 먹쟈
18/09/12 15:38
수정 아이콘
그냥 주식 종목 하나 추천 드렸습니다. 너무 대놓고 하긴 그래서..
그렇가고 또 제가 내부정보를 갖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흐흐
18/09/12 15:41
수정 아이콘
저도 쪽지 하나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저는 남는 돈이 있어서는 아니고 주식을 해야하는데 계기가 좀 필요해서...
Maria Joaquina
18/09/12 15:59
수정 아이콘
주식이라니 더 궁금해지는데 저도 쪽지좀 부탁드려요. 흐흐
18/09/12 16:23
수정 아이콘
혹시 제약 관련주인가요?
최강한화
18/09/12 16:26
수정 아이콘
저도 쪽지 하나 부탁드리겠습니다!
18/09/12 17:24
수정 아이콘
저도 부탁드립니다!
살려야한다
18/09/12 18:37
수정 아이콘
저도 살짝 추천해주세요 흐흐흐
18/09/12 16:36
수정 아이콘
저도 부탁드릴깨요
Gregory Polanco
18/09/12 17:46
수정 아이콘
쪽지부탁드려요
완성형폭풍저그
18/09/12 21:57
수정 아이콘
쪽지 부탁드려요!!!
18/09/12 23:37
수정 아이콘
늦었을까요~저도 부탁드려요~
라즈베리
18/09/13 12:27
수정 아이콘
저도 가능할까요??? 쪽지부탁드립니다 ㅜㅜ
문정동김씨
18/09/12 15:08
수정 아이콘
오년전 제가 그 마인드로 오천굴렸다가 천만원 까먹었습니다. 이후 전세금 모잘라서 월세로 옮겼습니다. 지금쯤이면 잊혀질때도 됐는데 아직도 와이프에게 구박받고 있습니다.
18/09/12 15:12
수정 아이콘
음.. 저도 아무것도 모르고 투자나 해볼까 하다가 2천가까이 까묵었습니다..
더군다나 남의말에 팔랑되면 훅 날라갑니다.
비둘기야 먹쟈
18/09/12 15:24
수정 아이콘
언제 뭐에 넣으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18/09/12 15:38
수정 아이콘
최고의 투자와 재테크는 일단 빚을 먼저 갚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원시제
18/09/12 15:4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저금리 대출상품은 유지하는게 맞다고 보는 입장입니다만
투자처를 몰라 일면식도 없고, 누군지도 모를 인터넷 게시판 의견을 참고해야 할 정도라면
이자가 아무리 낮더라도 대출을 해결하는게 답일수 있죠...
18/09/12 15:42
수정 아이콘
이자가 안쎄도 빚은 빚이죠. 일단 갚고 시작하는걸 추천드립니다.

(이러는 저도 마이너스통장 잔고가 -5천만원인데, 2천만원이 주식에 묶여있습니다만.. ㅠ)
별이지는언덕
18/09/12 16:19
수정 아이콘
올해 겨울도 춥다고 예측되기도하고 패딩만드는 의류회사 주가는 여름에 떨어지고 겨울에 오르는 경향이 있어서 저라면 어디다가 투자하는게 가장 안전할까라고 생각하면 코오롱 주식 사놓고 겨울 패딩 나올 때쯤에 팔겠습니다.
파랑파랑
18/09/12 16:31
수정 아이콘
잘 모르시면 그냥 미국 S&P500 인덱스 펀드 사세요.
voo나 spy
동네형
18/09/12 17:01
수정 아이콘
미국 국채 1/3
미국 다우지수 추종 etf 1/3
kospit 200 추종 etf 1/3

사겠네요
유늘보
18/09/12 17:44
수정 아이콘
이글에 덧붙여 미국 국채는 환오픈형으로..
장기투자시 가장 강한 전략입니다.
만년실버
18/09/12 17:33
수정 아이콘
sm 넣고 바로 다음날 싸드가 터지더군요. 와 진짜......너무 어이가 없어서 그날부로 주식 접었습니다. 한 3천 까먹었고요....
덴드로븀
18/09/12 18:36
수정 아이콘
굳이 지금 넣어야 한다면 미국쪽 넣어야겠죠.
18/09/12 18:56
수정 아이콘
빚이 있어서 세금쪽에서 혜택보는게 있지않고 쌩으로 이자 나가는거면 그냥 빚부터 갚는게..
18/09/12 19:17
수정 아이콘
베트남..
이혜리
18/09/13 00:47
수정 아이콘
확실히 마인드가 많이 다르네요.
순자산으로 접근하고 저금리의 경우 부채로 생기는 이자보다 자산으로 생기는 수익이 더 클 수 있는데.

이런건 가치판단의 문제일까요. 경제교육의 차이일까요.
그린티미스트
18/09/13 11:04
수정 아이콘
답변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18/09/13 13:49
수정 아이콘
근데 미국경기는 이제 정점찍고 하향하지 않을까 싶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4680 [질문] 좁은 골목길에서 운전시, 사람이 있을 경우 클락션 누르시나요? [33] 개미4140 18/09/13 4140
124679 [질문] 주식이나 코인에서 세력의 작전을 묘사한 애니가 있었는데요. [2] 공안9과2488 18/09/13 2488
124677 [질문] 프린터 출력 시 숫자폰트만 깨집니다.. ㅠ [3] 멍멍머멈엉멍2763 18/09/13 2763
124676 [질문] 뒷담 [7] 마제스티3386 18/09/13 3386
124675 [질문] 외산폰 액정보호필름 붙여주는곳 없나요? [3] 진인환1393 18/09/13 1393
124674 [질문] 인터넷 오픈마켓 신발 짭일까요 아닐까요. [10] 어센틱4060 18/09/13 4060
124673 [질문] 살아가야할 마땅한 이유가 없을 경우 [24] Repppo3196 18/09/13 3196
124672 [질문] 카카오톡 업데이트 후 질문입니다. 헛스윙어1822 18/09/13 1822
124671 [질문] 15만원 짜리 구두 밑창 교체에 3.5만원이면 비싼지요...? [3] nexon3473 18/09/13 3473
124670 [질문] 인텔 cpu대란(???) 이런저런 pc부품 질문드려요 [6] GregoryHouse2864 18/09/12 2864
124669 [질문] - 삭제됨1723 18/09/12 1723
124668 [질문] 휴대폰 구입 조건 좀 봐주세요 [1] 감성1394 18/09/12 1394
124667 [질문] 여명(숙취해소제)은 술 먹기 전? 먹은 후? 먹는게 효과가 좋나요? [14] 보로미어24836 18/09/12 24836
124666 [질문] 키보드 키캡(하나만) 도색 할만한곳이 있을까요? [4] 50b1740 18/09/12 1740
124665 [질문] 고민상담 [33] 삭제됨5284 18/09/12 5284
124664 [질문] PS4 3가지 게임 평가좀 해주세요 [32] 제드3926 18/09/12 3926
124663 [질문] 구글 셋탑박스 넷플리스 호환 문제 입니다. [1] 코알라로태어날걸1584 18/09/12 1584
124662 [질문] 트위치 총 시청자수가 정확히 무슨 의미일까요? [4] 로그아웃7562 18/09/12 7562
124661 [질문] 요즘 광명역에 주차하기 힘드나요? [5] Openedge2549 18/09/12 2549
124660 [질문] 컴퓨터 모니터 이상증상입니다. [3] 올래1715 18/09/12 1715
124658 [질문] 티비 위치를 높일 좋은 방법 없을까요? [7] 귀여운호랑이1882 18/09/12 1882
124657 [질문] 하스스톤 과금하려고 하는데 어떤거 하는게 좋을까요? [4] 감성2074 18/09/12 2074
124656 [질문] 유럽여행 유심칩 써보신 분 질문! [9] Mindow2592 18/09/12 259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