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9/05 12:59
두분다 검사는 하셨나요?
여성분 나이가 만 35세면 검사는 한번 해보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와이프가 31에 결혼하고 36까지 애기가 생기지 않아서 검사했고, 시험관으로 아이 하나를 얻었습니다. 신랑/시부모가 아니라 본인이 아이를 원하시면 가지세요. 눈치 보지 마시고요..
18/09/05 12:59
1년정도는 노력하고 가보시는게 좋지않을까요?
임신확률이 자연적으로 20프로정도밖에 안된다고 하더라구요..아직 5개월이니 노력해도 안될수도 있어요. 임신이라는게 심리적인것도 중요하다고 하는데 너무 부담가지지는 마세요..
18/09/05 13:05
어차피 병원간다고해서 특별히 문제가 없는데 인공수정이나 시험관을 하라고 하진 않습니다.
검사 받고, 양쪽다 문제 없다면 그 후에 노력을 하시면 될거에요. 실제로 남성 정자에 문제가 있을수도 있고 여성분 자궁에 문제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검사하는데 큰돈은 안드니 해보시는걸 권합니다.
18/09/05 13:10
의학적으로 난임의 기준은 1년입니다만,
임신 계획이 있으시면 바로 병원 가보세요. 특히나 나이가 있기 때문에 기본 검사해보는 게 좋습니다.
18/09/05 13:10
1년간 노력해도 생기지 않았을 때가 기준이긴 한데,
검사는 빨리 받아보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희도 1년 되기 전에 검사받았고, 저(남자) 쪽에 약간 문제가 있어 빨리 시험관을 선택했고, 지금은 다행히 아이의 아빠가 되었습니다. 나이가 어리면 모를까, 양쪽 다 35이시면 시간과의 문제에요. 1년 기다렸다가 검사하고 인공수정했다가 잘 안 되서 시험관하고.. 이런 식이면 몇 년 훅 지나갑니다. 인공수정이나 시험관이 확률이 굉장히 높은 게 아니고, 준비해야 할 과정도 많으니 아기를 꼭 갖고 싶으시다면 병원에서 일단 검사만이라도 먼저 받아보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
18/09/05 13:26
저도 비슷한 나이에 결혼 3년차인데 마느님 다른 진료차 산부인과에 갔을때 제가 궁금하여 선생님께 물어봤습니다.
천둥 : 3년차인데 생기질 않아서...검사해볼까요? 선생님 : 노력은 했나요? 천둥 : 네 꾸준히 하긴... 선생님 : 와이프 배란일이 언제예요? 천둥 : 어 그게 잘... 선생님 : (와이프에게) 배란일이 언제예요? 와이프 : 어..저 **쯤인가..해요 선생님 : 이봐요 노력이란게 날짜체크나 서로 체력적인것도 맞추고 의도적으로 하는것도 필요한데 이렇게 생기겠거니~ 하면 진짜 생길만할때 생깁니다. 여성분도 날짜 체크 정확히 하시고... 적어도 주기는 맞추고 그쯤에 짐승같....아니 두분다 컨디션 충분히 올리고 집중해서 노력해보셔요. 그러고 6개월 쯤 소식 없으면 오세요 라고 답하시더군요.(문맥은 저렇지만 웃으면서 재밌게 말씀하셨습니다 크) 5개월이시면 아직 조급하실때는 아닌것 같구 먼저 일정(?) 잘 맞춰서 노력해보심이...^^
18/09/05 13:35
난임 검사 자체도 좀 부담스러운 그런게 있나요? 방식을 전혀 몰라서...남성이야 방에들어가서 정액 뽑(..)아 온다지만 여성이 어떻게하는지 모르니 감이 안오네요
18/09/05 13:41
글 쓴게 부끄러워지네요... 저도 제 배란주기나 배란일을 몰라서...
답변감사합니다! 남편하고 상의해서 노력해보고 검사도 받아 봐야겠어요..!
18/09/05 13:55
난임 검사 및 시술에 급여가 적용되는 게 1년간 시도 후에도 임신이 되지 않을 시 입니다... 만 1년 기다리기 힘드시면 비급여로 진료 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18/09/05 14:41
1. 의학적으로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했는데도, 1년 동안 임신이 안 되면 난임이라고 합니다.
2. 최근에 여성나이 만 35세 이상에서 6개월 이상 임신이 안 되면 난임이라고 하자는 주장도 있습니다. 3. 1년 동안 임신이 되지 않았다면 난임검사, 인공수정 모두 보험이 되며 기초적인 검사는 크게 호르몬 검사, 나팔관 조영술, 정액검사 등입니다. 4. 인공수정, 체외수정은 만 44세까지 보험이 가능합니다. (인공수정 3회, 체외수정은 신선4회 + 동결 3회) 5. 참고로 나이는 모두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18/09/05 15:24
1년이요~근데 여성 생리주기가 일정하고 35세면 자궁경부암 검사하면서 자궁도 초음파로 보지않나요? 깔끔하고 별 문제 없음 배테기 해보세요. 배란일쯤 배테기 일정시간에 해서 피크뜨는 날 연속으로 달리심 확률 높아요. 그래도 안되면 정자검사를...
18/09/05 16:36
난임으로 병원 좀 다녀본 입장에서, 일단 검사를 겁내지 마세요. 난임 판정을 위해서는 이것저것 필요하지만, 보통 기본이 되는 건 그냥 피검사와 자궁 초음파 정도에요. 거기서 크게 문제가 없으면 난임병원에서도 서두르지 않아요. 그냥 배란일 잡아주고 기다려줍니다. 피검사결과 난소나이가 높게 나오면 보통 서두르지요. 시간이 제일 중요하니. 그외의 문제, 예를 들어 배란 장애 라면 주사나 약을 쓰고, 자궁에 문제가 있다면 외과적인 수술을 하고 회복을 기다릴 수도 있구요. 검사부터 받아보시고, 건강상태에 따라 천천히 준비하시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