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25 23:53:14
Name char
Subject [질문] 아는 동생이 군대에서 30만원만 보내달라는데요...
친동생은 아니고 연수받다가 알게된 동생이구요. 이제 갓 일병 달았는데 오늘 전화가 와서 급하게 30만원만 송금해달라고 하더군요. 군대에서 돈쓸일이 있나 싶어서 물어보니 자기 소대 병장한명이 자신한테 귀중품을 하나 맡겼다네요. 휴가갈때 갖고 갈테니 그때까지만 보관해놓으라고. 근데 어제 잃어버렸답니다. 누가 훔쳐갔다는데 현실적으로 찾을 방법은 거의 없고 똑같은걸 사다 주던지 현금으로 배상해야 한다더군요. 30이 부족하다고 하는걸 보니 30은 넘는 귀중품같고 정확히 얼마짜리를 도난당했는지는 모르겠네요. 제가 보기엔 이건 좀 억울한거 같은데 일단 애가 좀 급해보이기도 했고 괜히 긁어 부스럼 생기는거 같아서 애 군생활 꼬일까봐 그냥 눈감고 송금할까 생각중입니다. 이럴때는 뭔가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rya Stark
18/08/25 23:56
수정 아이콘
그냥 30 주고 잊어 버릴 수 있으면 보내주는거죠.
18/08/25 23:57
수정 아이콘
돈 버릴 가능성 97프로 이상...
18/08/25 23:57
수정 아이콘
못돌려받아도 상관없다 싶으면 보내고 아니면 그냥 놉 하세요.
아는 동생한테 싫은소리 하는게 당장은 부담돼도 앞으로 스트레스 안받는 지름길 입니다.
18/08/25 23:59
수정 아이콘
질문의도가 뭔가 잘못 전해지고 있는거 같은데 돈 받는건 걱정 안해요. 그게 문제가 아니고 그 동생이 좀 억울한 상황인거 같아서 여쭤봤습니다.
18/08/26 00:01
수정 아이콘
사실 관계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데 이것만 가지곤 뭘 하기 그렇죠.
그 동생분이 거짓없이 사실대로 얘기한건지 아닌지도 확실하지 않잖아요.
Nasty breaking B
18/08/25 23:59
수정 아이콘
토토부터 생각나긴 하네요
bemanner
18/08/26 00:07
수정 아이콘
저도 듣자마자 든 생각이 토토..
미카엘
18/08/25 23:59
수정 아이콘
보통 그런 급전 SOS는 부모님께 치겠죠. 아들이 선임한테 해코지당할까 우려해서 바로 보낼 텐데요. 애초에 병장 선임이
일병 후임한테 귀중품을 맡길 리가.. 그냥 주작(?)성 스토리 만든 후 급전 요청한 것 같습니다. 저라면 안 보냅니다.
하나래
18/08/26 00:03
수정 아이콘
병장이 왜 귀중품을 후임에게..?
귀중하면 휴가갈때같이 가져갈 텐데 말입니다..
RedDragon
18/08/26 00:05
수정 아이콘
저라면 안보냅니다 (2)
스토리 자체가 주작느낌이 솔솔 나는데요.
사실이라면 억울하겠는데 애초에 그게 "사실" 이라는 가정 자체가 의심이 많이 되는 상황이니 이런 댓글이 나오는 거 같습니다.
저, 제 지인들 포함해서 병장이 휴가 나가는데 귀중품을 일병한테 맡긴다? 한번도 못들어봤네요.
18/08/26 00:06
수정 아이콘
30만원으로 사람 한명 걸러내는거죠.
FastVulture
18/08/26 00:08
수정 아이콘
병장이 그러는거면 진짜 나쁜놈이 쟤 엿먹어야지 수준이 아니고서야.... 안그럴거같은데...
18/08/26 00:09
수정 아이콘
애초에 그걸 왜 글쓴분께 빌려달라고 하는지.... 저같으면 안빌려주고 얼굴 안볼 것 같습니다.
쿠엔틴
18/08/26 00:13
수정 아이콘
도난사실 자체가 의심되는게 아닌 이상
애초에 맡아준 사람한테 물어내라고 할 일이 아니지 않나요?
게다가 요즘 군부대 분위기상 도난사건 일어나면 충분히 범인색출도 가능할건데요.
18/08/26 00:13
수정 아이콘
제가 질문을 잘못한거 같아요. 만약 제가 동생 입장이 되었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쿠엔틴
18/08/26 00:17
수정 아이콘
무조건 보고해서 범인 찾아야죠.
짬 상관없어요. 특히나 요즘은
18/08/26 00:18
수정 아이콘
일단 범인 찾는쪽으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제가 너무 옛날 군대같이 딱딱하게만 생각했나봐요.
쿠엔틴
18/08/26 00:28
수정 아이콘
제가 14년도 전역했었는데 그때도 이미 짬 상관없이 자기 찾아먹을건 다 찾아먹을 때 였어요.
올해 동원예비군 갔을때는 일병이 상병한테 '야 이거 어떻게해' 하길래 물어보니 1년 동기제라고..
부대 분위기가 엄청 특이한게 아닌 이상 그런 분실사고는 오히려 주위에서 알아서 보고하고 찾으려고 할거에요
18/08/26 00:30
수정 아이콘
그게 지금 상황에서는 가장 맞을 것 같아요. 그런데 상황이 많이 이상하네요.
병장이 귀중품을 후임한테 맡기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잖아요. 사실 계급을 떠나 귀중품은 본인이 갖고 있는 게 안전하죠.
만약 정말 맡겼다고 해도 그걸 도둑맞았는데 맡아준 사람한테 배상하라고 하는 것도 이해가 안되는 일이에요.
bemanner
18/08/26 00:18
수정 아이콘
2018년 일병 월급이 33만원입니다. 30만원 상당의 귀중품? 범인을 찾는게 우선이겠지만 못 찾아도 자기 월급으로 융통하면 그만이죠;
18/08/26 00:20
수정 아이콘
그얘기도 했죠. 본문 보시면 30이 부족하다고 했고 30만원 상당이 아니라 그 이상인거 같다고 저도 생각했습니다.
불타는로마
18/08/26 00:20
수정 아이콘
병장이 일병한테 귀중품을 왜 맡기죠? 뭔가 냄새나는데
18/08/26 00:37
수정 아이콘
귀중품을 맡기는 경우는 자기 관물함 시건장치가 고장났다거나, 열쇠를 잃어버렸거나 인수가 안돼서 사용 못하는 경우 밖에 떠오르지 않습니다만, 흠..보통 동기생활관이니까 동기급에게 맡길 듯 한데 그다지 중요한 점은 아니고.
당일 바로 보고해서 cctv돌려봐야 하는데 그걸 안한 게 좀 의문스럽네요. 저는 비록 좀스러운 물건들이었지만 사건당일에 몇번 잡아봤는데 말이죠. 용량문제상 예전것 부터 삭제가 되니까 빨리 보고가 되어야 하구요.
무엇보다 30만원 이상의 소지품이라고 하면 패용이 안되는 귀금속 장신구는 제외하고, 당장 떠오르는게 pmp, 태블릿 또는 시계 정도 밖에 없는데 뭐가 됐든 찾는게 어렵지 않은 제품들이라 저 말들이 사실이라면 좀 답답하네요.
bemanner
18/08/26 00: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야기가 지어낸 거라는 가설에 무게가 실리긴 하는데 그건 제외하고 얘기가 진짜라는 가정 하에 병장이 일병에게 '휴가 갈 때 갖고 갈테니 맡고 있어라' 라고 할 물건은 반입 금지되어있는 전자기기(스마트폰 혹은 태블릿)인 거 같은데, 영창 갈 각오하더라도 그래도 보고하는게 맞습니다..반입 금지되어있는 물건을 선임들이 갖고 오는 경우가 종종 있고 그걸 간부들이 종종 검사해서 잡아낸다 그러면 병장이 일병한테 귀중품을 맡겨서 검사를 피해야겠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겠네요.
솔로13년차
18/08/26 00:48
수정 아이콘
아는 동생의 말이 사실일 경우, 그건 차라리 도난사건이 나을 정도의 문제라고 봅니다. 도난당해도 그걸 말하지 못할만한 상황이라는 건데요. 어지간히 심각한 왕따같은 경우 외엔.
그나마 나은 건 돈이 필요한 이유는 거짓말로 둘러댔지만, 뭔가의 문제가 생겨서 그걸 메워야하는 거겠죠. '뭔가의 문제'가 말 못 할 문제라서 둘러대는 거라면, 그나마 낫다고 할 수야 있겠습니다.
최악은 별 거도 아닌데 거짓말로 돈 달라는 거고요.
사실 전 최악은 커녕 그나마 나은 거짓말도 돈 안보낼 겁니다. 평생 그렇게 살아왔어요. 물론 그래서 연결된 인간관계가 거의 없기는 합니다.
웨인루구니
18/08/26 00:51
수정 아이콘
병장이 일병에게 물건을 맡겨놓았다가, 물건이 분실됐을 경우,
제대로 정신머리 박힌 병장이면 위에 보고를 해서 물건을 찾으려고 하지,
일병에게 돈으로 변상하라고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정유미
18/08/26 00:52
수정 아이콘
토토에 한 표 갑니다
뽕뽕이
18/08/26 01:05
수정 아이콘
제 주변에 막장까지 간 토쟁이들한테 가끔 전화 받습니다
그들한테는 제가 확인하기 힘든, 절묘하고 기막히고 억울한 사건이 왜이리도 잘 일어 날까요?
그래서 돈이 필요하니 빌려달랍니다.
18/08/26 01:16
수정 아이콘
보통의 경우에 돈과 관련된 문제는 끝이 안좋습니다. 없어도 되는 돈이라고 쳐도 기분이 상당히 더러워질수가 있기에.. 글로만 봐서는 어떤 상황인지 잘 모르겠으나 저는 비추..
라도비드
18/08/26 01:44
수정 아이콘
보통 일반적인 가정에서 자란 사람이라면 저 정도 상황에서 30만원 융통은 부모님 등 가족에게 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만약 위에 동생이 말한 상황에 처했다손 하더라도, 다른 핑계를 대서라도 30만원 정도는 가족에게 충분히 꿀 수 있는 상황입니다. "엄마아빠, 정말 나 급한 일이 생겼는데, 나중에 말해줄 테니깐 제발 30만원만 빌려줘." 라고 말했을 때, 일반적으로 부모님이 거절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가족이 아니라 친구에게 손을 벌리고 있다?

이 경우 "이미 가족에게 돈을 자주 꿨고 그 과정에서 꾼 돈보다도 많은 거짓말을 한 탓에 그들을 설득할 수 없는 수준까지 됐다." 그리고 "가족에게 말할 수 없는 심히 창피하고 감히 고개조차 들 수 없는 일에 연루됐다" 정도의 상황에 처한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그리고 짧은 글로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지금 char님의 동생분도 저 경우가 아닐까 싶어요. 단발성으로 30만원이 필요한 상황에서 가족들을 다 팽개쳐두고 char님께 손을 벌리는 상황이 과연 진실일까요? 동생의 가족들은 30만원도 빌려주기 어려울 정도로 생계가 곤란한가요?

물론 저렇게 의심은 하지만 저라면, 그리고 친한 동생이라면 송금해줍니다. 그리고 잊어버리겠죠.
블랙핑크지수
18/08/26 01:45
수정 아이콘
아마도,,토토일껍니다
멍청이
18/08/26 01:51
수정 아이콘
제가 잘 몰라 다른 분들께 좀 여쭙겠습니다. 토토는 돈을 걸고 승패를 맞히는 일종의 경마(?) 아닌가요? 그걸 하는데 왜 돈을 빌려야 하나요...? 하다가 빚을 지나요...?? 아니면 혹 토토를 하고 싶어서 돈을 빌리는 경우인가요????
Bluelight
18/08/26 02:13
수정 아이콘
좋은 기회(?) 라고 생각될 때 빌려서 토토를 하고, 잃은 후에 그걸 메우기 위해서 다시 돈을 빌린 후 빚을 갚는게 아니라 다시 토토를 하고, 구멍은 더 커지고 계속 반복...
及時雨
18/08/26 03:13
수정 아이콘
국가에서 판매하는 정식 복권이면 구매 상한선이 있지만 사설 불법이면 끝도 한도 없죠.
도박에 미치면 뭐...
18/08/26 06:53
수정 아이콘
정상적인 가정에서 별다른 굴곡 없이 성장한 사람들은 원래 빚지는 토토충의 사고방식을 성공적으로 상상해내기가 어렵습니다. 일생 동안 주변에서 그런 행동양식/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을 한 명도 못 보는 경우가 많아서, 본인 상상의 범주를 아예 벗어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일반인이라면 토토빚은 커녕 카드빚이 누적되어 터지는 상황도 이해하기가 어렵죠. 처음부터 갚을 수 있을만큼만 썼으면 그렇게 될 리가 없으니까요. 결국 상상을 해봤자 예상치 못한 소득감소로 인하여 생활비 성격의 카드대금이 어쩔 수 없이 누적되어버린 케이스 같은 것만 떠오를 뿐입니다. 일반적인 채무 상환불능자는 위와 같은 형태로 생겨나는 것이 맞습니다만, 빚지는 토토충은 보통 이런 식으로 채무를 누적시키는 집단이 아닙니다.

월급 200인 무산자가 천만원짜리 Rolex 같이 쓸모 없는 물건을 '뭐 어떻게 되겠지' 정도의 마인드로 일단 카드로 산 뒤, 돌려막기를 좀 하다가 견적이 안 나온다 싶으면 '에라 모르겠다' 하면서 재차 IWC를 구입하여 자폭하는 것이 대략 빚지는 토토충 스타일의 행동패턴입니다. 중간관리록 토네가와 21화를 보시는게 이해가 빠를겁니다.
멍청이
18/08/26 08:31
수정 아이콘
아뇨... 토토 말고 노름은 가장 가까이에 하나 있습니다. 토토로도 그게 가능하다는 게 조금 낮설어서, 제가 토토는 잘 몰랐거든요.

빚내서 노름하는 발상과 같은 거였군요.
사악군
18/08/26 10:58
수정 아이콘
조지아캔커피
18/08/26 01:52
수정 아이콘
돈을 빌려주는거야 작성자님의 선택이지만 객관적으로 봤을때
요즘 군대면 동기생활관 쓰는걸로 알고있는데 일단 왜 병장이 자기 귀중품을 일병에게 보관시키는지부터가 이해가 안됩니다.
또 절도사건에 대해서는 부대내에서 해결해야하구요;;;
개인적으로는 병장물건을 보관했다는거에서 이미 말도안된다고 생각해서 걍 안줄렵니다. 돈을 빌리고 싶으면 논리적인 말을 해야죠
이건 제 3자 입장에서 말씀드리는 거구요

상상의 나래를 써보자면 병장의 고가 타블릿이나 핸드폰을 가지고 있었는데(혹은 진짜 친해서 빌렸던가)
근데 생활관 불시검문하다 걸려서 일단은 자기꺼라고 뻥쳤지만 압수당했고(전역할때 줄게~ 일병이니 1년좀 넘음 되겠다~)
그래서 그 물건값을 지불해야하는 경우가 그나마 논리적인 이유같네요
그리고 병장은 말출나가기 전이라 조만간 전역이라 일병분이 자기 월급을 다 갖다줘도 돈이 모자라서 빌리는거같구요
(여기서 자기꺼라고 하고 돌려달라고 하면 영창가서 전역이 늦겠죠)

개인적으로 아시는분이니 더 깊은 속사정이나 여기 글로 못쓴 다른이유가 있다면야 빌려주세요
18/08/26 02:56
수정 아이콘
저도 토토 예상합니다.. 병사가 부대 안에서 귀중품을 갖고 있는 경우는 본 적이 없어서.. (군대에서 쓸만한 귀중품도 없고, 부대사람들을 어떻게 믿고 가져옵니까, 군대 안에 정말 별별 사람이 다있는데)
18/08/26 03:13
수정 아이콘
옛날 같으면 삥뜯겼다라고 생각하겠는데
요즘 군대는 그정도는 아니니
다른 이유일거 같아요

정당한 일이면 부모님 놔두고 왜 남한테
30만원을 찾을까요...

솔직히 말해보라고 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18/08/26 03:30
수정 아이콘
어릴때부터 친하던 동생도 아니고 어쩌다 알게 된 동생이면 귀중품이 뭔지 물어보고 빌려주고 잊을 것 같네요. 숨겨야하고 비밀스러운 30만원이 넘어가는 귀중품은 별로 없을테니까요. 대신 어떠한 이유에서든 두번 빌려달라는건 절대 안되고요.
샤르미에티미
18/08/26 03:51
수정 아이콘
이런 건 다른 것보다 그 동생분의 가까운 사람들을 많이 알고 있을 수록 무슨 일인지 알아보긴 쉬운데...개인적으로 이렇게 생각합니다. 친하다의 개념이 가족은 0, 남남은 5라면 2까지는 30만원 그까짓거 없는 셈 치고 주자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30만원 갚고 안 갚고 중요한 거 아닌데 왜 말씀드리냐면, 본문 같은 문제는 2까지도 안 가고 1정도로 생각하는 관계가 아니라면 돈을 빌려달라는 부탁을 잘 안 하거든요. 저런 문제는 웬만하면 가족이나 진짜 친한 친구에게나 부탁하죠. 자기 잘못인데 좀 억울한 잘못이다 이런 건 가족이나 친한 친구는 이해해주고 걱정도 해주고 돈도 흔쾌히 빌려줍니다. 30이 아니라 100도 빌려주죠. 무슨 몇 백만원 짜리라 부모님이 어느 정도 해주고 친구들이 또 어느 정도 해주고 글쓴 분까지 넘어와서 30을 보태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요.
이렇게 제 생각은 썼지만 사람들 부대끼는 곳에는 별 일이 다 일어나서 정말 힘들고 간절한 이유일 수도 있을 거라고 봅니다. 그렇지만 또한 거짓말도 상황에 따라 힘들고 간절한척 할 수도 있어서 글쓴분이 판단하시는 수밖엔 없죠.
이재인
18/08/26 04: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실적으로 병장이 30만원이나되는 귀중품을 일병나부랭이한테 맡겼을일이 없고 없어졌다고 가정을칩시다 이런말도 안되는 얘기를 글쓴분에게 했다는거는
이거정말 친동생이라도 솔직하게 말해보라고 할정도인데 이건 글쓴분입장에선 정말둘도없는 동생일수도있는데 이런 정말 말도안되는...얘기로 30만원이라는 거금을 연수받다가 알게된형에게 빌려달라고한다라....그냥 다떠나서 30만원 동생한테 준다는셈치고 주는거면 줘도되겠네요 세상에는 말도안되는 일들이 넘처나긴하지만 높은확률로 동생분이 급하게 돈이 필요한데 이리저리 말해보다가 글쓴분까지한테 온거같기도하네요 와근데 30만원이나 되는 돈을 현실도 아닌 군대에가있는 사람이 저런 간소한 이유만으로 빌려볼수있는것도 대단하네요 그만큼 말할수없는 이유가있을수도있고 빌려주거나 줄땐 주더라고 정확한 이유라도 알려달라고 해보세요 그래야 글쓴분도 안찜찜할거같은데 그리고 군대에서 30만원이나 호가하는 물건이 도대체 무엇이...
18/08/26 05:40
수정 아이콘
그냥 지금 빌려줄 돈 없다고 해요
삼겹살살녹아
18/08/26 08:18
수정 아이콘
일단 군대에서 그정도 귀중품이 있을리가 없죠
가장 가능성 높은게 그나마 시계인데 시계를 왜 맡겨놓는지 이해도 안가고..
18/08/26 08:30
수정 아이콘
윗분들 말씀대로 휴대폰이나 기타 전자기기같은 가능성은 있습니다. 걸리면 안되는 물건이기도 하구요..
꿀잼 티모
18/08/26 09:08
수정 아이콘
귀중품이래봤자 명품시계밖에 안떠오르는데,
윗분들말대로 반입금지인 전자기기인것같네요.
근데 이러한 고가는 영창각오하더라도 차라리 신고하는게 훨씬 낫습니다.
18/08/26 22:05
수정 아이콘
구라 스멜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4002 [질문] 플스4 파이널판타지7 리마스터판 질문 [3] 감성이 용규어깨3702 18/08/26 3702
124000 [질문] CPU 내장그래픽 어떻게 사용하나요? [5] 대구머짱이2216 18/08/26 2216
123999 [질문] 주위에 공무원 준비하는 친구들 많나요? [16] 메티스3434 18/08/26 3434
123998 [질문] 주52시간 이슈로 일퇴 하시는분들 잇으신가요 [10] 재지팩트3666 18/08/26 3666
123997 [질문] 베트남 커피를 구매하고 싶은데 국내에 파는 곳이 있을까요? [2] 살다보면2565 18/08/26 2565
123996 [질문] 책 벌어진거 고치는거 타카로 찝으면 되나요? [4] 삭제됨2011 18/08/26 2011
123995 [질문]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늘지금처럼2938 18/08/26 2938
123994 [질문] 27인치 모니터 FHD, QHD 선택장애가 왔습니다. [8] poibos4563 18/08/26 4563
123993 [질문] PS4 게임추천 부탁드립니다.(용과같이3vs섬의궤적) [10] 방랑자크로우3581 18/08/26 3581
123992 [질문] [연애상담] 제 문제 어떻게 고쳐야하나요 [4] 이명헌2845 18/08/26 2845
123991 [질문] 컴퓨터 바보가 노트북을 사려 합니다. [8] 소고기국밥3413 18/08/26 3413
123990 [질문] 고전 게임(슈퍼페미콤) 타이틀 질문입니다. [3] 영웅의신화1753 18/08/26 1753
123989 [질문] 가족 친지 모시고 일본여행 [6] 고고1975 18/08/26 1975
123988 [질문] 차량 점검 어떻게 하시나요? [9] The HUSE1823 18/08/26 1823
123987 [질문] 배그 낙하산 버그 질문입니다 [2] 첸 스톰스타우트4368 18/08/26 4368
123986 [질문] [LOL] 피지컬이 하락한걸 느끼시는 분들 계신가요 [30] 파핀폐인5344 18/08/26 5344
123985 [질문] [육아] 변비 [20] phoe菲2310 18/08/26 2310
123984 [질문] 조립PC 견적 메인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라울2485 18/08/26 2485
123983 [질문] 스포 안당하고 롤 아시안 게임 볼 방법이 있을까요? [2] 펠릭스-30세 무직2293 18/08/26 2293
123982 [질문] 꾸준히 검진받을 안과 추천 부탁드립니다 [4] lilyofthevalley1636 18/08/26 1636
123981 [질문] 아는 동생이 군대에서 30만원만 보내달라는데요... [48] char6109 18/08/25 6109
123979 [질문] 팬싸인회 가는 법이 궁금합니다. [7] 프로취미러8554 18/08/25 8554
123978 [질문] 정장구두는 원래 바닥이 딱딱한 것인지요...? [7] nexon4239 18/08/25 42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