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01 10:46:21
Name 카페알파
Subject [질문] 사제 CPU 쿨러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만간 컴퓨터를 조립할 예정이고 열심히 알아보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부품을 정하기는 했는데, 갑자기 CPU 쿨러에 관심이 가네요. 그동안 컴퓨터를 조립할 떄는 CPU 에 같이 나오는 쿨러를 쓰기는 했었는데요. 그리고 그 정도로도 충분하다는 이야기도 많았고. 근데, 커피 레이크인가 카피 레이크인가에서는 이전에 비해 사제 쿨러를 달았을 경우 좀 더 이득이 많다는 이야기를 본 것 같아서요.

1. 일단 저는 오버클러킹은 안 합니다. 단, 부품은 오버클러킹용으로 구할 때가 있는데, 오버 클럭시 잘 견디는 부품이면 아무래도 더 견고할 것이라고 생각해서 그렇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정용이라 컴퓨터에 그리 부하가 걸릴 일은 없는데, 간혹 3D 게임 (ENB 사용한 스카이림 등)을 돌리는 경우(혹은 돌릴 예정)가 있긴 합니다. 이 경우 사제쿨러가 기본으로 나오는 쿨러에 비해 장점이 있을까요?

2. 좀 찾아보니 사제 CPU 쿨러의 경우 무게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인텔에서도 450g 이상의 쿨러는 곤란하다는 식으로 제한을 걸었다고도 하고, 또 어디서 보니 운반시 보드가 뒤틀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운반할 때 쿨러는 분리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 글도 보았거든요(물론 방열판 부분만 분리한다는 이야기겠지만요.). 실제로 사제 쿨러가 무게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 있나요?

3. '만일 사용하게 되면 이 제품을 권하고 싶다.' 는 것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01 10:50
수정 아이콘
오버클럭안하시는데 굳이 구입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18/08/01 10: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오버안할꺼면 그닥 큰 효과가 없습니다. 같은 온도에서 저소음같은 것은 가능도 할듯 합니다만 큰 차이는 없어 보이고... 저라면 사제쿨러보다는 저렴한 수냉쿨러로 하겠습니다.
2열짜리 쿨러면 싼거 찾으면 사제쿨러 괜찮은놈이랑 가격도 큰 차이는 없고.. 특히 중고로 사면 상당히 저렴하게 꾸밀수 있어서... 추천 입니다.
공랭 쿨러 추천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gjker&logNo=220642759899&beginTime=0&jumpingVid=&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
이걸 많이들 보는데 오래된 자료지만... 지금도 그닥 많이 변화는 없을 것 입니다. (가격빼고..)

결론은 오버 안하고 그냥 쓰신다면 사제쿨러는 그닥 필요 없어 보입니다.
18/08/01 10:54
수정 아이콘
오버 클럭을 안 하실 것이라면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케이스에 투명 유리가 있어서 내부가 보이고, 사제 쿨러 LED가 번쩍거리는 것을 좋아하신다면 약간의 가치가 있을 수도 있고요.
현직백수
18/08/01 11:00
수정 아이콘
오버클럭 풀긴했는데
그것과 별개로 요즘날씨가 너무덥고 배그같이 빡센게임돌리니까 어우 열이너무나서 하나 달았는데 좀 낫네요
18/08/01 11:36
수정 아이콘
일단 메인보드에 붙어있는 캐패시터는 수명과 온도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온도가 10℃ 올라갈 때마다 수명이 반으로 줄어들죠. 그리고 105-125℃ 정도에선 수명이 충분히 많이 짧아져서, 24/7 가동하는 컴퓨터를 기준으로 하면 지루해서 바꾸기 전에 부품이 먼저 사망할 수 있을 정도까지 줄어듭니다. 저급 캐패시터(싸구려 보드라면 백발백중)를 그나마 몇개 쓰지도 않고 방열판도 없는 디자인이라면 훨씬 더 빨리 사망하고요.

OC를 안하더라도 풀로드 소비전력이 100W 근처인 CPU라면, 순정쿨러를 달고 부하를 걸었을 때 캐패시터 주변부 온도가 60-90℃까지는 쉽게 올라갑니다. 이보다 소비전력이 더 높은 CPU에서는 90-100℃까지 올라가는 것이 표준적이고요. 그런데 사제 쿨러의 경우 캐패시터 온도가 순정대비 오히려 10-20℃ 가량 높아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 중에서도 최악은 AIO 수냉이고요. 순정쿨러는 대체로 보통 보드를 향해 바람을 부는 디자인이기 때문에 캐패시터 쪽으로도 바람이 가는데, 타워형 에어쿨러는 캐패시터보다 높은 위치에서 바람을 옆으로 보내기 때문에 전원부 쿨링이 잘 안 되고, 워터쿨러들은 타워형과 마찬가지로 가망 없는 방향의 팬이 멀리 떨어져 있기 까지 하니까 그렇습니다.

다만 사제 쿨러는 타입이 여러가지니까, 순정타입보다 전원부 온도도 10-20℃ 낮게 나오면서 CPU 쿨링 성능도 훨씬 뛰어난 것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9900 DF 같은 쿨러들이 그렇죠. 아무튼 OC를 안한다면 순수 CPU 온도 자체는 별 의미가 없고(애초에 순정쿨러 자체가 스로틀링이 걸리거나 고장나지 않을만한 수준에서 CPU 온도를 관리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것이므로), 사제쿨러를 쓰면 그 근처에 위치하는 다른 부품(e.g. VRM, RAM, M2 SSD)의 수명이나 성능에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헤헤헤헤
18/08/01 13:07
수정 아이콘
인터넷만 할때야 필요없을 수 있는데
배그정도 게임할땐 오버클럭안해도 무조건 있는게 좋아요
나중에 그런 게임 같은거 하실수도 있잖아요?
5만원 정도밖에 안하는데 그냥 사세요
말같지도않은소리
18/08/01 16:53
수정 아이콘
보통 가성비가 좋은 제품으로 사람들이 많이 구입하는게

써모랩 TRINITY WHITE LED
DEEPCOOL GAMMAXX 400

요 제품을 많이 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041 [질문] 컴퓨터 견적 부탁드립니다 [3] 엔트로피2493 18/08/02 2493
123040 [질문] 저탄고지 3일차 질문드립니다 [12] 배고픕니다2521 18/08/02 2521
123039 [질문] 유투브 트래픽이 서버 비용에 미치는 영향 질문드립니다. [3] 미나연1985 18/08/02 1985
123038 [질문] 여기 pgr에서 글을 작성시 글이 흔들립니다 틀림과 다름1454 18/08/02 1454
123037 [질문] PC? 구입에 도움 부탁드립니다. [2] 세종머앟괴꺼솟1854 18/08/02 1854
123036 [질문] (헬스) 헬스관련 질문 [2] 치느1676 18/08/02 1676
123035 [질문] 태블릿 업무용 활용가능성 질문 및 기기 추천부탁드립니다. 숱한 밤들1565 18/08/02 1565
123034 [질문] 기변 시 삼성헬스 걸음 데이터 연동여부 PublicStatic1860 18/08/02 1860
123032 [질문] 종교 관련 전단지 출처가 궁금합니다 [1] 텔레토비1531 18/08/02 1531
123031 [질문] 전북사시는분들 변산-전주 2박3일 일정좀짜주세요ㅠㅠ [2] 푸들은푸들푸들해2741 18/08/02 2741
123030 [질문] lchf 저탄고지 다이어트 질문입니다. [5] 미나연2407 18/08/02 2407
123029 [질문] 컴퓨터 부품 선택 질문드립니다. [6] 카페알파2583 18/08/02 2583
123028 [질문] 딸국질 2시간째인데, 도와주세요.(수정 5시간째) [64] 파란무테4531 18/08/02 4531
123027 [질문] [폰] 아이폰8+ 갤럭시S9+ 교환조건 [2] 노바1663 18/08/02 1663
123026 [질문] 주택청약에 관련한 질문 [4] OnlyJustForYou2130 18/08/02 2130
123024 [질문] 오피스는 365 1년씩 쓰는 거랑, 영구소장 쓰는 거랑 뭐가 낫나요? [7] LG의심장박용택3124 18/08/02 3124
123023 [질문] 음악파일에 유통기한 주는법 [3] 따루라라랑2095 18/08/02 2095
123022 [질문] 용과 같이 제로 스팀 한글화 질문입니다. [6] 찬양자7299 18/08/02 7299
123021 [질문] 건강검진 Cpk가 너무 높은데...어디서 상담받아야할까요? [3] Randy Johnson3747 18/08/01 3747
123020 [질문] 크로스핏 아메리칸 스윙 안전하게 하는 법? [4] 카롱카롱2878 18/08/01 2878
123019 [질문] 무선랜카드 질문입니다. [2] mcu1563 18/08/01 1563
123018 [질문] 정전인 동네 있으신가요? [19] Dwyane3355 18/08/01 3355
123017 [질문] 노트북 구매직전인데... [3] FeeLinG2050 18/08/01 20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