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26 22:22:13
Name Repppo
Subject [질문] 스텐팬의 온도와 기름의 온도 (수정됨)
팬프라이로 삼겹살을 구우려고 팬을 달궜는데요. 적외선 온도계로 재보니 130도 정도였고 아차 너무 늦었다 싶었지만 일단 기름(카놀라유)을 둘렀거든요. 순간 기름 온도가 250도가 넘으면서 연기가 나더라고요. 이때도 기름 안 묻은 팬 쪽은 130도 정도 였고요. 이해가 안 가는 게 어떻게 130도의 팬에 실온의 기름을 넣었는데 갑자기 250도가 넘을 수가 있는 거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26 22:46
수정 아이콘
기름과 스텐팬의 열전도율이 차이나서 그렇지 않을까요?
18/07/26 22:54
수정 아이콘
그럴까요. 확실히 스텐팬만 그러네요 일반 코팅팬은 안 그렇고요. 스텐팬 많이 안 써봐서 아직 서투르네요.
고란고란
18/07/26 23: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열전도율보다 비열차이일거에요. 금속의 비열이 기름보다 높아서 130도씨의 스테인리스가 많은 열을 품고 있다가 기름을 부으니까 그 열이 기름에 전도됐는데, 기름의 비열이 작으니 기름의 온도가 확 올라간 거죠.

음.. 찾아보니까 물의 비열을 1이라고 했을 때 철의 비열이 0.1, 기름의 비열이 0.5 정도 되네요. 제 설명이 틀린 듯.
Galvatron
18/07/27 00:16
수정 아이콘
열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전달이 되기때문에 팬이 150도인데 기름이 250도로 가열이 된다는건 있을수없는 일이죠.
그냥 측정기기의 오류같습니다. 실제로 적외선온도계를 써본적이 없어서 모르겠지만 그냥 대충 예상해보자면 피측정체에 따라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하지않나 싶네요.
온도를 가지고 있는 모든 물체는 적외선을 복사한다라는게 기본 원리일텐데 얼마만한 온도에 얼마 복사한다는건 흑체라고 가정했을때이기고
실제로 현실속엔 완벽한 흑체는 존재하지않을것이니 반짝반짝 스텐리스와 검은색 코팅팬은 설정이 다를수도 있을것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니까 실제로는 스텐팬이 이미 250도가 됐을지도요.
18/07/27 00:35
수정 아이콘
아니오 그건 확실히 아닙니다
Galvatron
18/07/27 00:41
수정 아이콘
그럼 기름의 온도가 사실 250도가 안되는거겠죠.
어찌됐건 측정기기의 오류라고볼수밖에
18/07/27 00:48
수정 아이콘
아니오 기름이 기화되는 온도가 250쯤 됩니다. 적외전 온도계만이 아니라 온도 설정해서 하는 인덕션에서도 그런 현상이 일어났다고 검색해보니 나오더군요
Galvatron
18/07/27 00:58
수정 아이콘
연기가 나는건 기화딘게 아니라 발연점에 도달하면 나는거죠 검색해보니 카놀라유는 발연점이 100도 좀 넘네요
18/07/27 01:02
수정 아이콘
아 맞습니다 발연점이죠 제가 검색해보니 카놀라유 발연점 240도로 나오는데요
Galvatron
18/07/27 01:08
수정 아이콘
18/07/27 01:10
수정 아이콘
보통 식용유 발연점은 250도 정도가 맞습니다. 올리브유가 좀 낮고요.
이건 제가 업장에서 일할 때 많이 겪어본 거고 또 책에도 나오는 거라서 아마 맞을 겁니다.
18/07/27 16:14
수정 아이콘
바보
18/07/27 00:22
수정 아이콘
적외선 온도계는 방사율에 따라서 온도차가 많이 납니다.
저가 제품은 0.95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위 기종은 변경 가능합니다.
물은 0.95. 알류미늄은 0.05~0.25 입니다.
18/07/27 16:12
수정 아이콘
정답이었군요.
18/07/27 00:41
수정 아이콘
온도계의 문제는 아닙니다. 코팅팬은 안 그런데 스텐팬에서만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로 봐선 스텐팬의 어떤 성질 때문인 거 같은데 네이버 검색해보니 스텐팬 초보들이 저와 비슷한 현상들을 많이들 겪더군요. 이게 참 과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할 거 같은데 말이죠.
Galvatron
18/07/27 00:43
수정 아이콘
윗분이 설명해주셨네요. 방사율설정이 측정대상에 따라서 다르다고.
18/07/27 00:49
수정 아이콘
적외선 온도계가 아닌 온도계로 측정해도 마찬가지입니다.
Galvatron
18/07/27 00:57
수정 아이콘
어떤 온도계로 측정하셨나요? 되게 흥미롭네요
18/07/27 01:03
수정 아이콘
그 스테이크에 꽂아서 쓰는 온도계요. 제가 요리가 취미라서요. 저도 진짜 흥미롭습니다.
Galvatron
18/07/27 01:11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실제로 스텐탠이 250도라고 볼수밖에요. 스텐탠의 온도는 적외선온도계외에 확인할 방법이 있나요?
18/07/27 01:14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그 온도계로 팬에 대고 있어서 맞을 겁니다
18/07/27 01:16
수정 아이콘
일단 내일 온도계 다른 거 사서 다시 실험해보고 댓글 달게요.
Galvatron
18/07/27 01:19
수정 아이콘
꽂아넣는 온도계는 센서가 측정체와 충분하게 접촉한 상태를 전제로 셀계됐을텐데 스텐팬에 대는거로는 불충분하지않나라는 의심이 듭니다.후기 부탁드립니다 재밌네요 내일 하루종일 미팅인데 잠안자고 뭘하는건지. 큭
브라질너트
18/07/27 03:08
수정 아이콘
이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궁금한 이슈입니다. 측정을 위해 접촉하는 부위 사진이 있으면 좀 더 추측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8/07/27 10:35
수정 아이콘
접촉식 아날로그 온도계로 측정한 결과 적외선 온도계의 방사율 때문이 맞네요. 네이버에 올라온 스텐팬유저의 인덕션 온도계도 뭔가 문제가 있었나봐요. 하긴 130도의 팬에 상온의 기름을 넜는데 갑자기 250도가 넘는 그런 비상식적인 일이 일어날리가 없죠. 댓글들 고맙습니다. 많이 배우고 가네요.
18/07/27 16:01
수정 아이콘
(으쓱)
18/07/27 16:11
수정 아이콘
조제 님// 으쓱하실만 합니다. 조제님 짱짱니뮤
18/07/27 16:14
수정 아이콘
이런 바보같은 확신이라니.. 쪽팔리네요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820 [질문] 회사 퇴직전 이직이나 다른 부분들 고려해서 미리 뽑아두면 좋은 문서 있나요? [7] Mindow2459 18/07/27 2459
122819 [질문] 한국팀 펍지 1인칭 실력 [1] Bulbasaur2622 18/07/27 2622
122818 [질문] 천안 내과 추천해주세요. B형간염 정기검진 [4] 파란무테3080 18/07/27 3080
122817 [질문] [의..학?] 똥꼬털이 항문 주변 이외의 곳에 날 때? [25] bemanner4547 18/07/26 4547
122816 [질문] 에어컨 24시간 가동시 전기요금이 어느정도 나올까요? [23] 밥잘먹는남자26518 18/07/26 26518
122815 [질문] 책 추천 부탁 드립니다!! [7] 사신아리2550 18/07/26 2550
122814 [질문] 스텐팬의 온도와 기름의 온도 [28] Repppo8592 18/07/26 8592
122813 [질문] 키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블루투스+멀티페어링+키감+풀배열 [8] 시시포스2278 18/07/26 2278
122812 [질문] 평일 이천시내 진출입이 복잡한가요? [2] 안정적인오리1401 18/07/26 1401
122811 [질문] 안녕하세요. 프로듀스 장원영 짤 질문좀 다시 드립니다. [7] 등산매니아2798 18/07/26 2798
122809 [질문] 30만원대 하이브리드 자전거 좋은거 있을까요? [14] 낫아웃양PD4201 18/07/26 4201
122808 [질문]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감염됐습니다 ㅠㅠ [1] 채무부존재5101 18/07/26 5101
122807 [질문] 역류성 식도염? 담적? [27] BestOfBest5018 18/07/26 5018
122806 [질문] 데스크탑 대용 게이밍노트북 추천 [14] Syncnavy3302 18/07/26 3302
122805 [질문] Jr패스 이용해서 당일치기로 가볼만한 곳 질문드립니다 [6] 신아영1714 18/07/26 1714
122804 [질문] FIFA 올해의선수상은 누가받을까요? [10] NCS2448 18/07/26 2448
122803 [질문] 검은사막 모바일 질문입니다. [2] 교자만두2182 18/07/26 2182
122802 [질문] 숯불구이와 암발생의 관계 [32] Repppo6833 18/07/26 6833
122801 [질문] 수학 관련 압력 문제입니다. [5] 선문선답1551 18/07/26 1551
122800 [질문] 게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0] lorolor2380 18/07/26 2380
122799 [질문] 홍미노트5 어떤가요? [11] 채무부존재3710 18/07/26 3710
122798 [질문] 갤 s8 액티브는 직구로밖에 못구할까요? [3] 펩시콜라2988 18/07/26 2988
122797 [질문] 구의역 건대근처 보컬학원 질문합니다. 보아남편1875 18/07/26 18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