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26 15:16:06
Name Repppo
Subject [질문] 숯불구이와 암발생의 관계
숯불이나 연탄에 직화를 해서 고기를 구우면 맛과 향이 되게 좋습니다. 근데 몇몇 뉴스를 보면 직화, 특히 숯과 연탄 열탄에 직화하게 되면 벤조피렌인가 발암물질이 나와서 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과연 이게 어느 정도나 신뢰성이 있는 걸까요. 논문 같은 게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써니는순규순규해
18/07/26 15:23
수정 아이콘
발암물질이 나오는것도 맞고, 암걸릴 확률이 높아지는것도 맞습니다.
그런데
https://namu.wiki/w/탄%20음식을%20먹으면%20암에%20걸린다
18/07/26 15:41
수정 아이콘
나무위키 믿을 수 있을까요
타카이
18/07/26 15:23
수정 아이콘
http://www.nifds.go.kr/toxinfo/SearchUtil_getDetailChemTcd.action?hddnToxicCode=T5000000152#DivTitle1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벤조피렌
http://hqcenter.snu.ac.kr/archives/3124
국민건강지식센터-벤조피렌
안전평가원링크엔 참고문헌 붙어있고
지식센터쪽은 생성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18/07/26 15:44
수정 아이콘
흠...마이야르 반응이 170도 정도에서 일어나는 것 같은데 160도 이상에서 프라잉을 하지 말라고 하면 마이야르 반응 자체가 맛은 있지만 건강에 해롭다는 거네요
여왕의심복
18/07/26 15:24
수정 아이콘
개연성은 충분합니다만, 아시다시피 저걸 실제 연구로 증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저도 관심이 많은 주제라 자주 보는데, 개연성은 정말 충분히 차고 넘치구요. 증명은 아주 일부분만 되어있다. 그정도로 보시면될 것 같습니다.
18/07/26 15:40
수정 아이콘
증명이 안 된다는 건 실험이 불가능하기 때문인가요? 몰모트 같은 거로 실험한 건 없나요?
몽키매직
18/07/26 15:43
수정 아이콘
역학조사는 대규모로 장기간 관찰해야하기 때문에 연관성이 매우 강하지 않은 이상 증명하기가 어렵습니다.
필요한 몰모트 갯수가 상상초월이고 다른 변인 통제가 어렵기 때문에 임상시험으로 증명하는 건 엄청난 자원 낭비고요...
덴드로븀
18/07/26 15:33
수정 아이콘
굳이 확률로 따지자면 탄고기 1주일에 몇번 먹는것보다
초미세먼지 심할때 하루종일 들이마시는게 최종적인 암발생률이 더 높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봅니다.
18/07/26 15:40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숯불갈비 먹고 싶어요ㅜㅜ
18/07/26 15:34
수정 아이콘
실제로 비흡연자
가정주부가 요리시에 나오는 물질로
폐암 걸리는 경우가 있으니
자주먹는 사람이 걸릴 확률이 안먹는 사람보다는
올라가는게 맞겠죠...
18/07/26 15:37
수정 아이콘
근데 이거는 고기 먹는 거랑은 다르지 않나요? 조리시에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흡입하는 것과 조리된 고기를 먹는 차이가 있잖아요.
사악군
18/07/26 15:43
수정 아이콘
보통 숯불구이는 굽는데 앞에서 먹으니까..
아무튼 숯불 이용하는 요리사의 발병 사례는 있는데 아직 직업상 상병으로는 인정을 잘 안해주더라고요-_-;
18/07/26 15:45
수정 아이콘
그 고깃집 고기 구울 때 연기 같은 건 연통이 거의 다 빨아먹지 않을까요
18/07/26 15:49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주방에서 굽는 게 아니라 테이블에서 구울 때(물론 주방에도 후항이 있지만)는 연통이 있어서 냄새는 몰라도 연기는 거의 제거되는 거 아닌가요
18/07/26 15:49
수정 아이콘
직접 구워먹으면 연기(발암물질)+탄고기(발암물질)
구워서 나온걸 먹으면 탄고기(발암물질) 이겠죠.

타면 발암물질이 더많은건 사실인거고
많이 먹으면 확률이 올라가는건 당연한건데
그럼 내가 걸릴까? 고민해보면 그냥 유전이죠...
가족력이 있으신게 아니면 그냥 적당히 드세요
18/07/26 15:47
수정 아이콘
다른 변인을 통제하고 탄고기 섭취 여부만 변수로 삼아서 시험해야 하니 애초에 전향적 임상연구는 불가능하고.. 윤리 문제도 걸리겠군요.

코호트 연구를 하든지, 동물실험을 하면 확증적 자료는 아니라도 힌트 정도는 나올 것 같은데.. 아예 자료가 없나봐요?
18/07/26 18:03
수정 아이콘
네 고맙습니다
99유리
18/07/26 15:52
수정 아이콘
충분히 개연성이 있는 얘기라고 봅니다만, 그 외에도 많은 요인들도 영향을 받겠죠.

구운 고기를 좋아하는 저로서는 하루하루 살수록 죽음과 가까워진다 정도로 생각합니다.
18/07/26 17:20
수정 아이콘
뭐 고기 안 먹으면 안 죽나요..그냥 숯불고기 좋아하는 사람으로서는 먹고 싶은데 참고 안 먹어서 생기는 스트레스가 암발생률을 더 높일 거 같아요.
srwmania
18/07/26 16:06
수정 아이콘
개연성이야 충분합니다만, 솔직히 저거보다 훨씬 강력한 발암요인이 많아서 (...)
18/07/26 18:03
수정 아이콘
네 고맙습니다
Philologist
18/07/26 16:07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2Y4wPkGqd2I (편식방_노중섭 박사, 탄고기 먹으면 암에걸리나!? 아크릴아마이드 국내최초 완벽해부!!)

이거 보시면 도움이 되실 거 같아요.
18/07/26 17:18
수정 아이콘
고맙습니다
18/07/26 16:11
수정 아이콘
벤조피렌 자체는 IARC에서 공인한 발암 물질이긴 합니다
탄 음식을 먹으면 벤조피렌을 섭취하는 것은 맞는데
그게 대체 어느 정도까지 굽는 것은 괜찮은지, 어느 정도까지 섭취하는 것은 괜찮은지 이런 건 아직 잘 모르지요
동물에겐 실험을 했지만 사람들에게는 실험이나 명확한 역학조사가 된 적이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자세한 건 직업환경의학과 선생님께...)
18/07/26 17:17
수정 아이콘
혹시 동물 실험 논문 아시나요
18/07/26 17:25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찾아봤는데 젤 빨리 뜨는 것 보자면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304415
3. Cancer in Experimental Animals
밑에 3.3. Oral administration 보시면 몇 가지 연구 논문들이 있습니다

이거 말고도 자료가 더 있을 것 같습니다만 전공자가 아니라서 이 정도로...
18/07/26 17:45
수정 아이콘
아이고 고맙습니다
레몬커피
18/07/26 16:16
수정 아이콘
전형적으로 그런거같은데....
확률이 0.0000001%라도 높아지면 높아진건 맞으니까 높아졌다고 할수는 있는데 그게 수학적으로 유의미할까라고 물으면 아니오라고하죠
이건 좀 사람마다 완전히 마인드가 틀려서...수학적으로는 의미없는수준의 확률도 있다는건 있다는거니까 싫은 사람이 있을거고 그런거 무의
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거고
18/07/26 17:21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그렇겠죠. 저는 그냥 과학적 데이터가 있나 궁금해서요.
18/07/26 17:21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 분들 모두 고맙습니다.
도라귀염
18/07/27 12:18
수정 아이콘
전 깜짝 놀랐는데 오늘 아침 부엌에서 뭐 구워먹는 요리를 하고 집에 공기청정+ 에어컨 되는 걸 튼적이 있는데 평소에 40/20정도 나오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수치가 돈까스 굽는요리하고 난뒤에 300/100 가까이 나오더라고요 기겁했습니다 그것도 부엌쪽 창문으로 환기까지 시킨상태인데도요 태운 요리는 폐암 유발자 겠더라고요
18/07/27 16:18
수정 아이콘
고등어 구이와 미세먼지 농도의 상관관계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806 [질문] 데스크탑 대용 게이밍노트북 추천 [14] Syncnavy3299 18/07/26 3299
122805 [질문] Jr패스 이용해서 당일치기로 가볼만한 곳 질문드립니다 [6] 신아영1711 18/07/26 1711
122804 [질문] FIFA 올해의선수상은 누가받을까요? [10] NCS2444 18/07/26 2444
122803 [질문] 검은사막 모바일 질문입니다. [2] 교자만두2180 18/07/26 2180
122802 [질문] 숯불구이와 암발생의 관계 [32] Repppo6823 18/07/26 6823
122801 [질문] 수학 관련 압력 문제입니다. [5] 선문선답1549 18/07/26 1549
122800 [질문] 게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0] lorolor2376 18/07/26 2376
122799 [질문] 홍미노트5 어떤가요? [11] 채무부존재3708 18/07/26 3708
122798 [질문] 갤 s8 액티브는 직구로밖에 못구할까요? [3] 펩시콜라2984 18/07/26 2984
122797 [질문] 구의역 건대근처 보컬학원 질문합니다. 보아남편1874 18/07/26 1874
122796 [질문] 회의에 참석할 단정한 복장 질문입니다! [11] 로제타2141 18/07/26 2141
122794 [질문] 수도권에서 멀지 않은 수영장(워터파크)가 있는 리조트 어디가 있을까요? [9] Secundo2409 18/07/26 2409
122793 [질문] 스마트워치 질문입니다. [2] 멜론하몬살라미1625 18/07/26 1625
122792 [질문] 삼성tv의 스팀링크 사용시 게임이 미세하게 끊깁니다. 귀여운호랑이2698 18/07/26 2698
122791 [질문] 32인치 모니터 대세는 주사율인가요 해상도 인가요? [15] 회색사과5933 18/07/26 5933
122790 [질문] 헬스장 들고다닐 가방 추천해주세요 [4] 꿀잼 티모4002 18/07/26 4002
122789 [질문] RAM 16G 2개, 8G 4개 중 어떤게 좋나요? [16] beloved24734 18/07/26 24734
122788 [질문] 버피 하루 하고 근육통이 아직까지 있는데 운동 계속 해야하나요? [10] Lighthouse4895 18/07/26 4895
122787 [질문] 키보드 설정 질문입니다(사진 有) [1] 김치찌개1621 18/07/26 1621
122785 [질문] 해외구매로 폰 사도 쓸만 한가요? [9] will3044 18/07/25 3044
122784 [질문] 방콕 여행 마사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과일3112 18/07/25 3112
122783 [질문] 다음주 월요일에 켄드릭 라마 내한 콘서트를 가게되었습니다. [6] BloodDarkFire1779 18/07/25 1779
122782 [질문] 중국어 공부해야되는데 인강 어디가 좋나요? Rebirth1516 18/07/25 15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