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26 10:46
용도에 따라 다릅니다.
게임이 144hz를 지원안하면 144hz모니터 쓴다고해도 60hz로 나올겁니다. 보통 격겜(철권) 은 60hz지원입니다. 마티즈로 아우토반 달리는 상태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fps게임은 주사율을 선택하고 일반적인 게임들은 해상도를 선택하는게 보통입니다. 저는 32인치 qhd에 주사율과 gsync를 선택했습니다.
18/07/26 11:05
지싱크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에서 지원하는 기술인데 게임 플레이시 나타날 수 있는 화면 틀어짐을 억제해준다네요.지싱크 지원 모니터가 조금 비싸요.
18/07/26 10:59
용도에 따라 다르긴 한데 32인치 uhd 쓰는 입장에선 QHD 144헤르쯔 추천 드립니다. 4k는 동영상 감상용이에요. 인터넷하기에도 글씨가 넘 작아서 불편하죠. 4k컨텐츠도 아직은 많지 않고요. 4k로 가시려면 아예 40인치를 사세요.
18/07/26 11:29
크... 이제 나이를 먹으니 컨텐츠 참가자보다 컨텐츠 관람자가 되어 가는 것 같더라구요 크크크
동영상 용으로 용도를 변경해야 하나 고민중입니다.
18/07/26 11:02
4k 144는 현재 나와있는 단일 그래픽카드로 완전한 구동이 힘듭니다. 모니터 자체도 올해 처음 나오기 시작했는데 가격이 300만원쯤 할 거에요. 새 세대의 그래픽이 곧 나온다니까 그걸 보고 가거나 아니면 요즘은 보통 32인치 qhd에 144, 그리고 g-sync 요렇게 넣어서 많이들 하십니다.
18/07/26 11:09
2160/144p 비디오는 8bit 4:4:4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대역폭이 31.35Gbps인데,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이걸 받아줄 수 있을만한 대역폭을 가진 인터페이스가 없었습니다. HDMI의 경우 2017년말 출시된 HDMI 2.1부터 2160/144p를 감당할 수 있는 대역폭을 갖게 되었고, DP는 가장 최신 규격인 1.4도 살짝 모자라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2160/144p는 싱글케이블로 못 받아 줍니다(Thunderbolt는 3부터 가능하긴 함).
즉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2160/144p 모니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케이블 2개에서 신호를 받아와서 합치도록 디자인하거나(초기 5K+ 모니터들이 대체로 이런 형태), high fps에서 4:2:2로 전환되도록 디자인 하는 수밖에 없었고(e.g. PG27UQ), 이런 식으로 디자인한 물건은 기본 $2-3k는 받아야 하는 특수물건이니까 당연히 대중화가 될 수 없습니다. 이제는 HDMI 2.1이 나왔으니 조금 더 기다리면 이보다는 비교적 대중적인 2160/144p 모니터가 나올겁니다. 그리고 120-240Hz 모니터는 기본적으로 게임용인데, 32"라는 크기는 경쟁적인 게이밍 용으로는 약간 큰 감이 있습니다(화면 구석이 한눈에 잘 안들어와서). 이런 이유로 32"는 원래 작업용으로 많이 쓰이는 크기이고, 게임용으로 많이 쓰이는건 27"(그 중에서 경쟁적인 게임용으로 많이 쓰이는건 주로 23-25")입니다. 즉 4K/144Hz 같은 게이밍 모니터는 32"에서는 약간 후순위로 밀려날 수밖에 없습니다.
18/07/26 11:28
선배님들 말씀 잘 들었습니다!!! 덕분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32인치는 게이밍용으로는 힘들 것 같고... 32UHD - 동영상 감상용 / 24 or 27 게이밍용으로 구성해볼까 싶은데... 24나 27에는 g-sync 가 적용된 모델이 없는 것 같네요... 24나 27은 보통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대세일까요? 144Hz 는 고르고 간다고 치면..
18/07/26 11: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