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19 22:24:11
Name 비내린초원
Subject [질문] 운전 연습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에 운전을 해야하는 직종에 취업을 했습니다.
그래서 운전 연습을 해야할 것 같은데,
알아보니 운전교습은 6시간에 35만원정도는 줘야하더라구요.
금액이 너무 부담스러워서, 제 명의로 렌트를 하고 형이 옆에서 지도 조언 해주는 방식으로 해보려고 하는데
이렇게 진행해도 문제 없을까요?
혹시 이런 부분에대해 잘 알고 계신분이 있을까요?

예전에 얼핏 듣기로 무슨 렌트할 때 보험 좀 강하게 걸면 사고나도 문제없다고 들었던 것 같은데..
운전 고수님들 지도조언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19 23:30
수정 아이콘
100% 형이랑 싸운다에 제가 지금 먹고있는 빼빼로를 걸겠습니다.
돈 주고 교습 받으시는 게 나아요.
비내린초원
18/07/19 23:39
수정 아이콘
정말 걱정되는 부분이긴 합니다.
100프로 싸우겠지만 제가 잘해야 겠죠..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체리과즙상나연찡
18/07/20 04:29
수정 아이콘
얼마 전 제주도에서 여자친구까지 보험 들어놓고 (+슈퍼자차) 운전 알려주는데도 불안해서 죽을뻔했어요. 큰소리 한번 냈다가 왜 화내냐고 이제 운전 안한답니다 크크 하물며 형이면 큰소리 뿐 아니라 욕도 할듯...

샨티님 말씀대로 돈주고 운전교습 추천드립니다. 저도 느꼈지만 본인이 운전 잘한다고 해도 체계적으로 알려주기는 어렵더라구요. 운전실력 자체는 강사나 형이나 별반 차이 없어도 가르치는 능력은 엄청 차이날겁니다. 보조석 브레이크도 있는 차라면 안전상으로도 더 나을테고..
투숙하니
18/07/19 23:31
수정 아이콘
렌트도 자차보험이 가능합니다 계약 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면허 있으시면 혼자 운전해도 상관 없으니 형님이랑 동승하시면 되겠네요
비내린초원
18/07/19 23:40
수정 아이콘
제가 면허는 2017년에 취득을 했는데, 보험 같은건 따로 든적이 없습니다.
그러면 그냥 렌트할 때 잠깐 자차보험을 걸면 사고나도 상관없는 거 겠죠?
기승전정
18/07/20 01:01
수정 아이콘
제주도가 아닌 타지역에서 자차 부담을 걸어도 사고가 나면 면책금이 있습니다.

사고나면 20~30 정도는 부담하셔야 할 겁니다.
18/07/20 00:08
수정 아이콘
지금 방학기간이니 조용한 대학교같은곳 가셔서 몇바퀴 돌고 도로 나가시는거 추천드려요
18/07/20 04:51
수정 아이콘
보통 주행 중 사고보다는 주차하면서 긁는게 대부분이니 신호체계 파악한 다음 주차 연습 위주로 하세요. 공식 알려달라고 하시면 될 것 같네요.
완성형폭풍저그
18/07/20 08:29
수정 아이콘
절대로 안됩니다. 그냥 교육 받으세요.
교육차량엔 조수석에서 브레이크를 컨트롤 할 수 있기 때문에, 위급상황에 차량을 멈출수가 있지만 렌트카에선 불가능하죠.
제 아내가 몇달 전에 교육받고 현재 운전 중인데, 교육 안받고 그냥 제가 알려줬다면 수십번 사고 났을 꺼에요.
특히나 운전에 대해 경험이 부족한 분이라면 교육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넷으로 알아보면 10시간에 30만원정도 했던 것 같은데, 꼭 교육받으세요.
운전하다 보행자와 부딫히면 최소 중상에 최악엔 사망에 이르기 까지 합니다.
운전은 할 줄 알지만 능숙하지 못하다면 렌트하시되, 운전 자체를 하지 못하신다면 그냥 교육을 받으시길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
18/07/20 11:12
수정 아이콘
운동신경이 얼마나 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돈주고 받는 교육은 딱히 필요 없습니다 .. 그냥 운전 잘 하는 사람한테 일당이나 비싼 밥 대접하면서 몇시간씩 타면 충분합니다 도심을 위주로 다니실테니 차선변경이나 방향전환할떄 지시등은 무조건 꼭 키시고 급하게 하지마시고 양보많이 하시고 그렇게 좀 며칠 타다보면 주행하는건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도로위 주행에서는 당황할게 거의 없는데 문제는 좁은 골목길을 지나갈때나 주차할떄 초보시절에는 좀 당황스러우실겁니다 골목같은 곳 지나갈때 위험하니 지금 타고 있는 차 크기나 폭에 대한 감각을 좀 익히셔야하고 주차연습을 많이하세요 후방카메라가 달린 차가 있더라고 그거에 의존해서 주차하지 말고 백미러를 통해서 하는걸 익히셔야 나중에도 편합니다
srwmania
18/07/20 12:27
수정 아이콘
운전에 대한 기본기가 있는데 좀 더 잘하고 싶으시다면 지인들에게 받으셔도 상관없습니다.
그런데 운전 자체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 하시면 그냥 돈 주고 배우시는게 낫습니다.
적어도 90% 확률로 싸움이 나든 사고가 나든 해서 그걸로 스트레스 받습니다 (...)

운전으로 싸우는건 그냥 싸우는게 아니라, 목숨을 건 실수가 왔다갔다 하는 거라서 고성이 오가는건 기본입니다.
비내린초원
18/07/23 15:52
수정 아이콘
사설 업체에서 운전 연수 받기로 결정했습니다!!!!
댓글 달아주신 모든 분 정말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545 [질문] 드래곤볼 시리즈가 어떻게 되나요?? [5] 삭제됨2310 18/07/19 2310
122544 [질문] 항공편 환불 질문드립니다. [2] 홀리데이1703 18/07/19 1703
122543 [질문] 운전 연습 질문입니다. [12] 비내린초원2029 18/07/19 2029
122542 [질문] 무더운날 여자친구 부모님과 첫인사 복장 조언부탁드려요. [27] 부폰12183 18/07/19 12183
122541 [질문] 영한 번역 질문 [1] G5101513 18/07/19 1513
122540 [질문] 혹시 이게 무엇인지 아시는분 계시나요? [3] 삭제됨1667 18/07/19 1667
122539 [질문] 올해 연말정산 얼마나 뱉어낼지 예측해주실분 계신가요? [6] 삭제됨2035 18/07/19 2035
122538 [질문] 아스날 이적시장... [20] FeeLinG2457 18/07/19 2457
122537 [질문] 유치원은 cctv 설치의무가 없나요? [3] 방청객2285 18/07/19 2285
122536 [질문] g7 VS 갤9 ! [20] 삭제됨3037 18/07/19 3037
122535 [질문] 일주일간 입원을 하게 생겨서 만화책 추천 바랍니다. [31] 창천4192 18/07/19 4192
122534 [질문] 올해 뭐 때문에 이렇게 더운건가요 ?? [11] 황제의마린3924 18/07/19 3924
122533 [질문] 록맨 X 시리즈 추천 질문 (애니버서리 출시 기념) [6] 은하관제3214 18/07/19 3214
122532 [질문] 내구성 괜찮은 + 백라이트 있는 전자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4] jjohny=쿠마3160 18/07/19 3160
122531 [질문] 휴대폰 잠금화면에서 카카오톡이 안 뜨는 현상 [2] swear1963 18/07/19 1963
122530 [질문] 개 짖는 소리에 놀라 피하다 추락했으면 누구 책임? [2] 홍승식2571 18/07/19 2571
122529 [질문] 보충제 추천해주세요 [13] 태엽감는새2742 18/07/19 2742
122528 [질문] 요즘 날씨에 출근시 창문 어찌 하시나요? [8] 총알인생3655 18/07/19 3655
122527 [질문] 이번 발롱도르 누가받을까요? (회사 동기와 내기) [35] 여의3865 18/07/19 3865
122526 [질문] 이 밈? 유행어?의 어원이 궁금해요 [18] RookieKid5106 18/07/19 5106
122525 [질문] 배 근육에도 쥐가 나나요? [16] 벌써1년5638 18/07/19 5638
122524 [질문] NBA를 보려고 하는데 어떻게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38] 원샷2425 18/07/19 2425
122523 [질문] 2019년 근로장려금 질문입니다. [5] 하이킹베어2922 18/07/19 29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