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19 20:31:59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올해 연말정산 얼마나 뱉어낼지 예측해주실분 계신가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19 20:56
수정 아이콘
사실 현금영수증, 체크카드 등에 대한 연말정산은 큰 차이가 없지요.... 인적 공제라던지... 그런 공제 항목이 적으면...
겜돌이
18/07/19 21:15
수정 아이콘
원천징수는 120퍼로 하고 계신가요?
정지연
18/07/19 21:16
수정 아이콘
총소득 증가에 따라 세액은 작년보다 늘어날겁니다.. 다만 교육비가 공제되는 금액이 커서 늘어난거 이상이 될수도 있습니다..
결론은 정산할때 가봐야 안다입니다..
18/07/19 21:56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 때 세금을 환급받지 않고 토해내는 원인 중 하나는 직전 연도에 근무한 회사의 담당자가 근로소득에 대한 소득세 원천징수를 너무 적게 했기 때문입니다. 작년에 기본급보다 수당이 많다고 했는데 아마 인사담당자가 원천징수할 때 수당은 고려하지 않고 고정급을 기준으로 원천징수를 해서 너무 적게 징수했기 때문에 연말정산 때 납부해야 할 세액이 커진게 아닌가 싶네요.

그런데 사실 원천징수 때 환급받으면 기분은 좋지만 실제로는 환급받는 경우가 손해입니다. 그만큼 작년 소득에서 원천징수 세액을 미리 많이 떼어갔기 때문에 나중에 돌려받는 것이기 때문이죠. 만약 연말정산 때 너무 많이 내는 것이 부담이라면, 회사의 원천징수 담당자에게 원천징수를 좀 더 많이 해달라고 요청하시면 되기는 합니다.

그리고 위에 다른분들이 답변하기도 했지만, 연말정산 때 결정세액이 얼마가 될지는 여러 가지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지금 당장 완벽하게 예상하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어느 정도 구체적으로 예상할 수는 있지만 그러려면 개인의 민감한정보(부양가족, 의료비, 신용카드이용금액 등)가 많이 필요합니다.
18/07/19 22:59
수정 아이콘
납세자연맹 싸이트 가입하셔서 시뮬레이션 해보세요
내용 저장되니 달마다 업데이트하시면 더 정확하고요.
모나크모나크
18/07/19 23:41
수정 아이콘
결국 연말정산은 조삼모사라 일희일비하실 것 없습니다. 올해는 교육비 500 때문에 꽤 돌려받지 않으실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545 [질문] 드래곤볼 시리즈가 어떻게 되나요?? [5] 삭제됨2310 18/07/19 2310
122544 [질문] 항공편 환불 질문드립니다. [2] 홀리데이1703 18/07/19 1703
122543 [질문] 운전 연습 질문입니다. [12] 비내린초원2029 18/07/19 2029
122542 [질문] 무더운날 여자친구 부모님과 첫인사 복장 조언부탁드려요. [27] 부폰12184 18/07/19 12184
122541 [질문] 영한 번역 질문 [1] G5101513 18/07/19 1513
122540 [질문] 혹시 이게 무엇인지 아시는분 계시나요? [3] 삭제됨1667 18/07/19 1667
122539 [질문] 올해 연말정산 얼마나 뱉어낼지 예측해주실분 계신가요? [6] 삭제됨2036 18/07/19 2036
122538 [질문] 아스날 이적시장... [20] FeeLinG2457 18/07/19 2457
122537 [질문] 유치원은 cctv 설치의무가 없나요? [3] 방청객2285 18/07/19 2285
122536 [질문] g7 VS 갤9 ! [20] 삭제됨3037 18/07/19 3037
122535 [질문] 일주일간 입원을 하게 생겨서 만화책 추천 바랍니다. [31] 창천4192 18/07/19 4192
122534 [질문] 올해 뭐 때문에 이렇게 더운건가요 ?? [11] 황제의마린3925 18/07/19 3925
122533 [질문] 록맨 X 시리즈 추천 질문 (애니버서리 출시 기념) [6] 은하관제3214 18/07/19 3214
122532 [질문] 내구성 괜찮은 + 백라이트 있는 전자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4] jjohny=쿠마3160 18/07/19 3160
122531 [질문] 휴대폰 잠금화면에서 카카오톡이 안 뜨는 현상 [2] swear1963 18/07/19 1963
122530 [질문] 개 짖는 소리에 놀라 피하다 추락했으면 누구 책임? [2] 홍승식2571 18/07/19 2571
122529 [질문] 보충제 추천해주세요 [13] 태엽감는새2742 18/07/19 2742
122528 [질문] 요즘 날씨에 출근시 창문 어찌 하시나요? [8] 총알인생3655 18/07/19 3655
122527 [질문] 이번 발롱도르 누가받을까요? (회사 동기와 내기) [35] 여의3865 18/07/19 3865
122526 [질문] 이 밈? 유행어?의 어원이 궁금해요 [18] RookieKid5106 18/07/19 5106
122525 [질문] 배 근육에도 쥐가 나나요? [16] 벌써1년5638 18/07/19 5638
122524 [질문] NBA를 보려고 하는데 어떻게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38] 원샷2425 18/07/19 2425
122523 [질문] 2019년 근로장려금 질문입니다. [5] 하이킹베어2922 18/07/19 29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