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16 15:43
자게에 관련 리플 엄청 많으니 그쪽 읽어보시면 되지 않을까요?
저기나 여기나 같은 사람들인데 똑같은 내용 또 반복되기만 할텐데..
18/07/16 15:46
투표 기능이 있어서 1,2,3 고를 수 있는게 아닌 이상
결국 같은 나오고, 같은 사람들끼리 싸우고 할 것 같습니다 ^^;;; 익명이 아닌이상 어짜피 쓰는 사람만 글을 쓰니깐요...
18/07/16 15:45
3. 너무많이 올렸다.
근데 최저임금이 계속 올라가면 어떠한 스노우볼링이 일어날지 감도 안오네요. 현장에서 최저임금 외에 근로시간, 연차 및 휴일 등 부담이 엄청 커져서 삐걱거리고 불만이 쌓이는게 눈에 보이는 정도라..
18/07/16 15:53
3
작금의 최저임금 인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가? O 소상공인 몰락 등의 문제는 등최저임금이 주된 원인인가? X 최저임금 정책으로 문제들이 해결 가능한가? X
18/07/16 15:57
2
1~4 대선 후보 모두 공약으로 건 내용이면 좌우진영 모두 감수할 공약 아니었나요? 저 또한 직장생활하면서 최저임금 인상이 안좋게 다가오는 부분도 있지만 감내할 정도라 보고 있습니다. 최근에 올라온 10여년 전 주5일제 최초 시행때 언론보도 내용 보고...언론은 믿지 않기로 했구요. 크
18/07/16 15:59
개인적으로 답답한게,
최저 임금 인상에 반대냐 찬성이냐로 물어오시는 분이 많은겁니다. 저는 작년에 찬성했고 올해 반대 입장인데요, 아무리 의도도 계획도 좋은 정책이라도 실제 결과가, 혹은 여건이 안좋으면 속도 조절이 필요한데 그래서 이명박근혜 정책이 옳았냐 이렇게 묻는 분들이 많아서.... 개인적으로는 세상 어떤 정책도 결점없고 완벽한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장점을 높이고 단점을 줄여야 하는건데 현재 상황에선 워낙에 경제 여건이 안좋아서 이번 결정으로 상당히 부작용이 심하리라 봅니다.
18/07/16 16:22
상황과 사정과 모든게 다 달라서 정답이 없습니다.
누군가는 좋고 누군가는 싫어요. 그냥 그러든 말든 구경하는 사람도 있구요. 어차피 어떻게 구르든 욕먹는게 결론입니다.
18/07/16 17:58
4. 내년 김밥가격이 궁금하다. 몇년전만해도 김밥한줄은 천원인데.. 2.5짜리 김천도 보이더니.. 요즘은 프리미엄김밥집도 있어서 확 오른것 같더라고요.
18/07/16 18:25
2. 더 올려야했다고 봅니다만, 세계적인 상황상 덜 올리는 것은 인정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이 문제는 최저임금의 액수 문제는 아니라 봅니다. 일자리 문제지. 자영업자 망한다망한다하지만, 실제로 조금 폐업하고 나면 주변 자영업자들의 장사가 잘 될 가능성이 높죠. 결국 자영업자들의 생존경쟁에 이득은 최저임금생활자들이 가져가는 거라고 볼 수 있는데, 적당한 선까지는 임금생활자들이 더 이득을 봐야한다고 생각하고, '적정한 선'은 아직 오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18/07/17 01:07
4. 정부가 깊은 고민 끝에 올린거라면 도대체 그게 어떤 근거 끝에 시원하게 말좀 해서 시장에서 답도없는 설왕설래 아사리판이 안나게 했으면 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