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16 15:38:04
Name 마르키아르
Subject [질문] 이번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 어떻게 보세요?


최저임금 인상이 옳은지.. 틀린지..

어느정도가 적절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이나 토론은 자유게시판에서 무수히 많이 볼수 있고..



이번엔 그냥 단순히

이번 최저임금 8350원 인상에 대해

PGR 분들의 찬반 의견이 궁금해서 질문글 올려 봅니다.

최저임금 만원 공약 안지켰다고 욕하는 분과

너무 많이 올렸다고 욕하는 분과..

소수의 적당하게 올렸다는 분이 있으신거 같은데.. -_-;;




1. 최저임금 인상이 낮다. 더 올랐어야 했다.


2. 지금 정도가 적절하다


3. 너무 많이 올렸다. 더 낮췄어야 했다


4. 기타?



PGR 분들은 어떻게 보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16 15:43
수정 아이콘
자게에 관련 리플 엄청 많으니 그쪽 읽어보시면 되지 않을까요?
저기나 여기나 같은 사람들인데 똑같은 내용 또 반복되기만 할텐데..
마르키아르
18/07/16 15:44
수정 아이콘
전체적인 찬반 비율이 궁금해서 올려봤는데..

삭제하는게 좋을려나요? ^^;;;;
18/07/16 15:46
수정 아이콘
투표 기능이 있어서 1,2,3 고를 수 있는게 아닌 이상
결국 같은 나오고, 같은 사람들끼리 싸우고 할 것 같습니다 ^^;;;
익명이 아닌이상 어짜피 쓰는 사람만 글을 쓰니깐요...
18/07/16 15:45
수정 아이콘
3. 너무많이 올렸다.

근데 최저임금이 계속 올라가면 어떠한 스노우볼링이 일어날지 감도 안오네요.
현장에서 최저임금 외에 근로시간, 연차 및 휴일 등 부담이 엄청 커져서
삐걱거리고 불만이 쌓이는게 눈에 보이는 정도라..
La La Land
18/07/16 15:48
수정 아이콘
지역 규모 업종별 차등이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냉면과열무
18/07/16 15:49
수정 아이콘
자게의 수많은 관련 글을 참조하시면 어느정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8/07/16 15:53
수정 아이콘
3

작금의 최저임금 인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가? O
소상공인 몰락 등의 문제는 등최저임금이 주된 원인인가? X
최저임금 정책으로 문제들이 해결 가능한가? X
18/07/16 15:53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1번이라 생각하는데.. 속도조절론에 대해서는 찬성합니다.
18/07/16 15:53
수정 아이콘
올라야 하지만 지금 오르는 속도가 너무 빠르다.
18/07/16 15:57
수정 아이콘
2

1~4 대선 후보 모두 공약으로 건 내용이면 좌우진영 모두 감수할 공약 아니었나요?
저 또한 직장생활하면서 최저임금 인상이 안좋게 다가오는 부분도 있지만 감내할 정도라 보고 있습니다.

최근에 올라온 10여년 전 주5일제 최초 시행때 언론보도 내용 보고...언론은 믿지 않기로 했구요. 크
아린어린이
18/07/16 15:5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답답한게,
최저 임금 인상에 반대냐 찬성이냐로 물어오시는 분이 많은겁니다.
저는 작년에 찬성했고 올해 반대 입장인데요, 아무리 의도도 계획도 좋은 정책이라도 실제 결과가, 혹은 여건이 안좋으면 속도 조절이 필요한데
그래서 이명박근혜 정책이 옳았냐 이렇게 묻는 분들이 많아서....
개인적으로는 세상 어떤 정책도 결점없고 완벽한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장점을 높이고 단점을 줄여야 하는건데 현재 상황에선 워낙에 경제 여건이 안좋아서 이번 결정으로 상당히 부작용이 심하리라 봅니다.
18/07/16 16:22
수정 아이콘
상황과 사정과 모든게 다 달라서 정답이 없습니다.

누군가는 좋고 누군가는 싫어요. 그냥 그러든 말든 구경하는 사람도 있구요. 어차피 어떻게 구르든 욕먹는게 결론입니다.
18/07/16 16:37
수정 아이콘
좀 빠른감이 있지 않나 싶습니당
한 1분기만 한시적 최저임금 만원! 해보는건 어떨까 싶기도 하고
롯데자이언츠
18/07/17 09:24
수정 아이콘
헬조선에서는 그때 자르고 지나면 뽑습니다.
HA클러스터
18/07/16 17:14
수정 아이콘
2
양쪽에서 욕먹는걸 보니 적절한 결정인듯 합니다.
문정동김씨
18/07/16 17:49
수정 아이콘
지역별 생산량을 고려했으면 합니다. 울산과 동탄같이 소득수준 높은 지역과 강원같이 생산량이 낮은 지역은 차등이 필요해 보입니다.
18/07/16 17:58
수정 아이콘
4. 내년 김밥가격이 궁금하다. 몇년전만해도 김밥한줄은 천원인데.. 2.5짜리 김천도 보이더니.. 요즘은 프리미엄김밥집도 있어서 확 오른것 같더라고요.
솔로13년차
18/07/16 18:25
수정 아이콘
2. 더 올려야했다고 봅니다만, 세계적인 상황상 덜 올리는 것은 인정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이 문제는 최저임금의 액수 문제는 아니라 봅니다. 일자리 문제지.
자영업자 망한다망한다하지만, 실제로 조금 폐업하고 나면 주변 자영업자들의 장사가 잘 될 가능성이 높죠.
결국 자영업자들의 생존경쟁에 이득은 최저임금생활자들이 가져가는 거라고 볼 수 있는데, 적당한 선까지는 임금생활자들이 더 이득을 봐야한다고 생각하고, '적정한 선'은 아직 오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반전여친
18/07/16 18:26
수정 아이콘
3
란스어텍
18/07/16 23:05
수정 아이콘
3번
한글날
18/07/17 01:07
수정 아이콘
4. 정부가 깊은 고민 끝에 올린거라면 도대체 그게 어떤 근거 끝에 시원하게 말좀 해서 시장에서 답도없는 설왕설래 아사리판이 안나게 했으면 좋겠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420 [질문] 방에서 쓸 여름용 아이템 좀 추천해주세요! [1] 잉차잉차1886 18/07/17 1886
122419 [질문] 30대 초중반의 미혼 남성은 보통 얼마나 지출하시나요? [41] 송지효4988 18/07/17 4988
122418 [질문] 약물을 식전 또는 식후에 복용하는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1] 리들2593 18/07/16 2593
122417 [질문] 컴활 2급 실기 합격 얼마나 걸릴까요?? [3] 삭제됨1868 18/07/16 1868
122416 [질문] 램 관련 질문입니다. [6] 어찌하리까1790 18/07/16 1790
122415 [질문] 전기 관련 질문입니다. [3] 쿠엔틴1943 18/07/16 1943
122414 [질문] 코엑스에서 하는 캐릭터 라이선싱페어를 다녀 올려고 합니다. 이쥴레이1297 18/07/16 1297
122412 [질문] 중고차 등록 절차 좀 알려주세요~ [2] 감성2179 18/07/16 2179
122411 [질문] 첫 명절에 시댁방문 안하는거 괜찮을까요? [59] 로즈마리4882 18/07/16 4882
122410 [질문] 모니터(그래픽카드) 질문 드립니다. [4] 야생초1944 18/07/16 1944
122409 [질문] 업무용 오피스활용이 메인이면, 서피스보다는 그램이 낫겠죠? [24] LG의심장박용택4246 18/07/16 4246
122408 [질문] 프듀48 아재픽좀 골라주세요. [19] 밀크공장공장장2181 18/07/16 2181
122407 [질문] 코엑스 및 봉은사질문 [11] 서쪽으로가자2550 18/07/16 2550
122406 [질문] 창문형 에어컨 설치 질문입니다. [6] 우엉3591 18/07/16 3591
122405 [질문] 돈을 많이 벌지는 못하지만 꾸준히 좋은 책을 출판하는 곳은 어떤데가 있을까요? [6] SaiNT2321 18/07/16 2321
122404 [질문] LCK 그리핀의 모기업? 또는 후원자가 누군가요? [5] 카푸스틴4091 18/07/16 4091
122403 [질문] 컴퓨터 사양 맞추려는데 잘몰라서 물어보고싶습니다 ㅜㅜ [5] Dark1881 18/07/16 1881
122402 [질문] 지리산 근처 계곡펜션 [1] 힘내고화이팅하자2518 18/07/16 2518
122401 [질문] 이번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 어떻게 보세요? [21] 마르키아르2413 18/07/16 2413
122400 [질문] 연말 연초에 자동차 구매 프로모션 할인 폭이 큰가요? [4] wiggle3448 18/07/16 3448
122399 [질문] 외국 프로그램 중에 한국 여행하는 프로그램 [14] Part.33130 18/07/16 3130
122398 [질문] 워터밤 가보신분 계신가요? [2] LG우승1924 18/07/16 1924
122397 [질문] 서울 인근 찜질방(불가마) 추천 부탁드립니다. [1] Dr.덴마2532 18/07/16 25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