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11 22:31
영림 차인표씨가 모델일걸요. 많이들 합니다. 그리고 별로 문제는 없습니다.
그런데 샷시 한번갈면 10년안에 또 바꿀일 없으실거잖아요. 제일 좋은것 하세요. 참 아주아주 중요한건데, 마무리 깔끔하고 확실하게 해야합니다. 창문틀 누수되면 정말 스트레스 받아요.
18/07/11 22:40
메이커 : LG, KCC, 한화
2군 : PNS, 영림, 금호... 비바업체 : 시안, 청암... 가격차이는 LG가 압도적입니다. 같은 메이커라도 LG가 10~20% 이상 비쌉니다.
18/07/11 23:22
이건>LG>KCC>한화>PNS
제가 만져라도 본것들인데 대충 이렇습니다. 참고로 견적 넣어보면 가격차이 살벌하게 납니다. 가성비 최대한 고려하세요.
18/07/11 23:25
그리고 제일 중요한건 시공입니다 솔직히 LG랑 한화랑 시공하는 입장에선 차이 많이 느껴지는데 막상 설치하고 보면 가격만큼 차이가 나는건 아닌거같아요. 시공하는 사람이 깔끔하고 문제될 일 없게 하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18/07/12 00:47
시공에서는 스크랩을 많이 섞는 비바제품들은 겨울철에 쉽게 깨지며, 여름철에는 샤시가 낭창낭창? 거려서 수평잡기가 어렵습니다.
신재를 많이 섞어서 뽑는 업체를 추천드리고 싶구요. 자재순으로 나열하자면 LG>=영림>KCC>한화=PNS=이건 이순이 맞습니다.
18/07/12 07:20
일단 제가 인테리어쪽이 아니라 세세한 부분은 말씀드리기 어렵고요. 현장에서 시공할때 소소한 부분이 차이가 많이 납니다. 용접이 덜됐다던지 PVC 바 자체가 약해서 억지로 고정시켜줘야한다던지 손잡이랑 스트라이크같은 부자재들이 LG는 딱딱 맞는데 한화는 안맞고 약간 틀어진다던지 하는게 있어요.
18/07/12 00:43
현직 종사자입니다.
단가순으로 나열해드리면 LG,영림,한화,KCC순이며 단가순으로 적어드린겁니다. 품질은 솔직히 말씀드리면 거기서거기입니다. 2군 이끌림,톱,재현,예림 스크랩 많이섞거나 자체압출이 아닌 브랜드는 제외하시구요 한화나 LG도 KCC 자제 압출이라기보단 하청업체에서 뽑는게 많지만 대기업이라 브랜드로 밀어붙여서 소비자들이 좋은거라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영림을 인테리어업자가 원하는건 간단합니다. 납기가 빨라요 시트지를 입혀서 오던 백색이던 대리점수가 가장 많기 때문에 원하는 날짜에 빨리 시공하고 다음현장을 칠수 있기때문에 영림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 단가가 대기업 수준보다 비싸거나 약간 싼정도이기 때문에 급하지 않으시면 KCC,한화 견적을 받아보시고 하실것을 권유드립니다. 시공상 가장 하자가 많이나는 창호이기 떄문에 시공이 다된후 잔금을 꼭치루시고 꼼꼼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18/07/12 11:08
시판 영업에서 2년 정도 있었는데, 리모델링쪽 포인트만 찝어드리자면 본사직시공이 가능한가(결국 외주업체랑 진행하긴하는데 향후 하자발생시 본사타이틀이 중요하니깐) 본사자체적으로 완성창제작이 가능한가(지역 대리점에서 만드는경우가 많아요) 두가지만 따져봐도 시공품질 제작품질 어느정도 보장은 됩니다
다른 업종으로 넘어온지 일년정도 되서 가물가물한데 엘지는 아무래도 as체계가 잘잡혀있고 이서진씨한테 광고비도 줘야하고 엘지정품 고정철물 같은 것도 있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유리에도 지인마크가 찍히고(물론 외주제작이긴하겠죠) 암튼 그런 디테일한 부분들이 모여서 가격에 반영됩니다 저라면 동일한 스펙에 가격 맞출수있으면 엘지로 합니다 근데 10프로이상은 비쌀것이고 가격이 같다면 스펙을 낮춰서 엘지이름보고 가는거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