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6/13 01:34
2.
이문열 초한지 정말 재밌습니다. 정말 폭풍처럼 몰아서 읽었네요. 서문에 저자가 밝힌 바로는, 기존 초한지류가 너무 역사적 오류와 허구가 너무 많아서 진실7+허구3 이라는 역사소설의 본령에서 벗어난다면서 사기, 자치통감, 한서 같은 정사를 바탕으로 다시 집필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금은 어떤지 모르지만 5년전에 초한지 읽기전에 좀 알아봤는데 이문열외에는 별다른 대안도 없어보이더군요.
18/06/13 01:50
아 그리고 초한지 읽으시고 팟캐스트 '휴식을 위한 지식 전쟁사, 문명사, 세계사' 에서 초한전쟁 편 들어보세요.
팟빵에서 전문세 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설명하시는 분이 뉴스공장 pd 신데 아마 우리나라 역사 덕후중 둘째라면 서러워하실 분입니다.
18/06/13 01:38
1. 일단, 유방의 경우에는 원래 유계라는 이름만 쓰다가 세력이 커지고 군주가 된 이후에 소하의 건의로 유방이라는 이름을 쓰게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장시절 쓰던 이름 보다는 군주가 되고나서 쓰는 이름으로 굳어지는 게 자연스러운 흐름이지 않나 싶네요. 항우는 잘 모르겠는데, 제 뇌피셜로는 우리나라 발음으로 '적' 이라는 어감보다 '우'가 나아서 그렇게 굳어진 게 아닐까.. 2. 삼국지도 마찬가지고, 역사 탐구를 하는 목적으로 하려면 소설 몇번 보는 것 만으로는 힘들지 않나 싶습니다. 어차피 소설은 재미 위주로 보는데 의의가 있다고 보고 그냥 재미있는 작품 고르시면 될 거 같아요. 저는 이문열 초한지는 안 읽어봤고, 정비석 초한지 읽었었는데 재미 있더라구요.
18/06/13 02:45
나무위키 펌---
그런데 유방의 형제를 살펴보면 이 이름이 형제 간의 서열, 순서를 간편하게 나타내는 백중숙계(伯仲叔季)를 붙여서 지어진것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유방의 형들로 유백(劉伯)과 유중(劉仲)이 언급되는것을 보면 '유계' 라는 호칭이 어떻게 붙여졌는지는 확실하다고 볼 수 있다.[7] 이렇게 보면 유방은 본래 개별적인 이름은 없는 것이나 다름 없고, 그저 "유씨네 막내" 정도로 통용될 수 있는 유계라는 이름만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름같지도 않아서 이지 않을까요 크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