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6/07 19:38
질문후 찾아냈습니다.
궤간(軌間, rail gauge)은 두 철로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표준궤는 두 레일의 간격인 궤간이 1435 mm (4 ft 8½ in) 이고 러시아 궤간(러시아어: Русская колея)은 궤간 1519~1525mm 사이의 광궤이다. 실제 나무위키에 보면 몇몇 국가의 궤간 차이로 인해서 환승구간이 있네요... 아버지 당신이 옳았습니다.. ㅠㅠ
18/06/07 19:39
이런건 철덕들의 꺼라위키가 제격이죠. 시베리아 횡단열차로 검색해보니 우리나라와 러시아 철도간 레일폭이 다른건 팩트인걸로 보이네요 크크
러시아는 광궤, 우리나라는 표준궤 라고 하는구요.
18/06/07 19:50
한국=표준궤, 중국=표준궤, 러시아=광궤, 일본=협궤 제각각이죠. 일본의 경우 신칸센은 표준궤구요.
https://ko.wikipedia.org/wiki/%EA%B6%A4%EA%B0%84#/media/File:Rail_gauge_world.png
18/06/07 20:02
러시아 가는 북한 열차는 국경에는 열차 대차를 광궤용<=>표준용 바꿀 수 있는 대차교환시설이 있다고 하네요. 또 우리나라에서 궤간가변대차(광궤, 표준궤 양쪽에서 사용가능)도 개발했다고 하고요.
18/06/07 20:18
남편이 그 바닥에서 일하는데 가변형 대차라고 천천히 운행하면서 궤간을 바꿀 수 있다네요
나사를 조금씩 조인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