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5/15 18:13:47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이승우는 여전히 한국 동나이대 축구선수중 역대급 재능인가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5/15 18:16
수정 아이콘
현재로써 이미 빅리거이기 때문에 21살의 박지성보다 커리어는 앞서가고 있다고 보여지지만..

박지성이 2002년 월드컵떄 21살이었네요

이번 월드컵에서 보면 되겠습니다
진심봇
18/05/15 18:19
수정 아이콘
지금 이승우의 선발을 두고, 어려서 아직 성인국대에 뽑기엔 이르다 라는 평이 있던데, 당시 박지성도 어린나이에 국대에 들어갔군요

야구만 알다가 02월드컵때 축구라는 스포츠 자체를 처음 알아서 당시 박지성선수가 그렇게 어렸던것도 잘 몰랐습니다 대단하네요
GLtheSKY
18/05/15 18:37
수정 아이콘
박지성은.... 실력도 실력이지만 커리어로는 정말 세계 탑급이라 흐흐
나스이즈라잌
18/05/15 18:16
수정 아이콘
당장 역대급들이랑 비교 안하고 k리그에 있는 유망주들의 발전속도랑 비교하면 정체된 느낌이 확오죠..

예를들면 전세진이나 조영욱이요
진심봇
18/05/15 18:21
수정 아이콘
그정도인가요? 현 98년생이랑 비교해도 이승우는 비교불가 독보적 원탑은 아니였군요
나스이즈라잌
18/05/15 18:24
수정 아이콘
선수는 경기를 뛰어야하는데 아시다싶이 몇년째 제대로 못하고 있으니깐요..
망디망디
18/05/15 18:23
수정 아이콘
당장 손흥민이 19살일때 함부르크 데뷔햇죠
에베레스트
18/05/15 18:25
수정 아이콘
손흥민은 19살에 함부르크 들어가서 22살에 레버쿠젠으로 이적했는데 함부르크시절에 74경기 나와서 20골 기록했습니다.
이승우보다 훨씬 좋은 기록이죠.
리니지
18/05/15 18:37
수정 아이콘
차붐은 못봤고 이동국은 국내 및 아시아에서 활약했던 시기라 비교 불가능하고,

박지성, 박주영, 기성용, 손흥민 보다는 쳐지죠 꽤.
중곡동교자만두
18/05/15 19:30
수정 아이콘
거기에 이청용 추가합니다. 기성용보다도 먼저 리그 씹어먹었죠...
반니스텔루이
18/05/15 18:40
수정 아이콘
손흥민 선수랑 비교할 짬은 절대 안되죠. 바르샤에서 잘 성장했으면 모르겠으나..
18/05/15 18:51
수정 아이콘
피지컬 대비 주력이 너무 쳐집니다. 한마디로 종합신체능력에서 감점이 너무 심해요.
그런데 볼터치까지 불안정해서..
창의력이랑 돌파센스는 좋습니다만, 킥력까지 부족해서 전반적으로 k리그에서의 경쟁력도 있다고 보기 힘든 상태입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18/05/15 19: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동국이 당시 역대급 재능이라고 평가 받았던가요? 그냥 각 세대별로 있던 유망주들과 큰 차이는 없었던 것 같은데요. 오히려 동나이대에서는 고종수가 더 주목받았던 것 같고요. 사실 언급하신 차범근, 박지성, 박주영, 손흥민과 같은 선상으로 놓고 비교하기에는 차이가 크죠.

이승우는 그간 한국 축구에서 없던 유형이라고 생각합니다. 빠른 발을 이용한 드리블이 주무기인데 양 사이드가 아닌 중앙지향적인 플레이를 하며 골이나 패스 등 순간순간의 센스도 훌륭하죠. 성인 무대에 발들인지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향후 성장하는 추세를 봐야하긴 하겠지만 유소년 시절까지만 놓고 보아도 이승우처럼 플레이하고 플레이할 수 있는 유형은 그동안 단 한 명도 없었다는 생각입니다. 다른 스포츠도 마찬가지긴 합니다만 축구는 특히 상대가 누구냐에 따라 경기력이 천차만별로 벌어지는데 이승우는 유소년 때부터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 자기 기량을 선보여왔기 때문에 국내에서만 축구했던 다른 선수들에 비해 조금 더 믿음이 가고 기대치가 높은 건 사실입니다. 어떻게 보면 국내파, 해외파 논란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도 있긴 한데 개인적으로는 국내나 아시아에서 아무리 잘해도 기본적으로 해외파가 더 우수하다는 생각이라서요.
지니팅커벨여행
18/05/15 20:22
수정 아이콘
고종수는 차범근조차 자신이 가지지 못한 재능을 갖고 있다고 극찬할 정도로 츨중했죠.
이동국은 고종수보다 1살 어리니 질문의 동년생 개념은 아니고, 역대급이란 평을 많이 듣진 못했지만 물건이 나타났다는 말은 좀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근데 그런 이동국마저 만 20이 되기도 전인 98년 프랑스 월드컵때 뽑혀 강력한 슈팅으로 주목받았으니 국대 기준으로는 지금 이승우의 선발이 어릴적 명성에 비하면 많이 늦은 게 사실이죠.
명성대로라면 아시안컵 즈음에는 뛰었어야...
긴 하루의 끝에서
18/05/15 21: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단순히 나이로만 보면 그렇게 볼 수도 있긴 한데 유소년 축구 시스템 내에서 차근차근 단계별로 성장하고 나아가는 것이 일반적으로 자리잡은 현재를 과거와 무조건 동치시켜 비교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비록 이승우가 대개의 유망주들에 비해 프로 데뷔가 늦긴 합니다만 이는 이승우가 온전히 바르셀로나 유소년 시스템을 통해서만 성장해왔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그 사이 공백기가 꽤 있었기 때문으로도 볼 수 있죠. 사실 비단 이승우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어린 나이에 A대표팀 데뷔하는 경우가 최소한 국내 기준으로는 잘 없기도 하고요. 또한 이승우가 프로 데뷔 이전 U대표팀에서 함께 뛰던 선수들 중 이미 프로팀 소속으로 활약하던 친구들이 여럿 있었고 그 중에서도 이승우가 U대표팀 에이스 역할을 톡톡히 해냈던 것을 보면 단순히 나이만으로 이승우의 재능을 의심하기에는 부족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고종수와 이동국은 한 살 차이면 축구계 내에서는 실질적으로 같은 세대라고 봅니다. 축구계에서 이야기하는 동나이대라는 것도 나이가 딱 떨어지는 동갑보다는 동년배나 또래를 의미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요.
18/05/15 21:41
수정 아이콘
이승우 빠른 선수는 아니에요. 방향 전환이 좋은 선수이죠
긴 하루의 끝에서
18/05/15 22:25
수정 아이콘
빠르다는 게 순발력과 순간 속력이 좋다는 의미였습니다. 순간적으로 치고 나가는 속도와 최대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말이죠. 이게 방향 전환이 좋다는 말에 포함이 될 수도 그 반대일 수도 있겠네요.
Proactive
18/05/16 00: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동국도 역대급이였죠.... 데뷔해부터 2-3년간 연중 내내 국가대표, 올림픽대표, 청소년대표를 다 동시에 뛰었어요. 지금이랑은 다르게 국가를 위해 충성하는 개념이였고요

메시와 호날두가 동시대이면서 역대급이듯 이동국이랑 고종수도 둘다 역대급이였죠 각급레벨에 뛰어다니느라 부상으로 수술 후 플레이스타일 바꾼것도 똑같고요
Lord Be Goja
18/05/15 19:34
수정 아이콘
야구로 치면 최희섭이 될지 최지만이 될지 아니면 강정호가 될지 아직은 잘 모르죠.그런데 최희섭이나 최지만이 메이저에서 뛰어본 선수라고 해서 2014년쯤에 그 둘이 이대호보다 뛰어난 타격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면 어그로로 몰렸을걸요.
쿼터파운더치즈
18/05/15 21:00
수정 아이콘
역대급재능인지는 모르겠고
지켜봐야죠
사람들이 일찍 포텐터진경우에 주목을 많이 하는데 반대의 경우도 많아요 당장 해리케인도 2013년엔 저렇게 뜰지 몰랐어요 기대도 안했는데 팀 셔우드가 땜빵으로 몇번 써먹더니 갑자기 골을 몰아넣고..
18/05/15 21:15
수정 아이콘
지성이형이 2002 월드컵 전 평가전에서
프랑스랑 골 넣고, 잉글랜드랑 골 넣을때가 21살이지 않나요 흐
그립네요
18/05/15 21:44
수정 아이콘
동 나이대로 비교하면 이천수나 박주영 보다도 밑 아닌가요?
손금불산입
18/05/15 22:03
수정 아이콘
역대급 재능이었죠. 지금 기준은 그냥 기대해볼 재능 정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0031 [질문] 클템 해설 영상을 찾고 싶습니다 (감히 나의 필트오버에 와서 이렇게 깽판을 쳐? ) [1] attraction3219 18/05/16 3219
120030 [질문] 크롬을 쓸때 계속 쇼핑몰 페이지가 뜹니다. [3] 삭제됨2171 18/05/16 2171
120029 [질문] 갤럭시s9+로 바꾸려고 하는데 그냥 동네 skt 대리점에서 바꿔도 호갱 안 당하겠죠? [8] Jecht3922 18/05/16 3922
120028 [질문] 로맨스 없는 한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26] fomo6529 18/05/16 6529
120027 [질문] 카카오 머니 질문 지나가는행인11915 18/05/16 1915
120026 [질문] ASUS 무선 공유기에 붙어있는 알 수 없는 목록은 뭘까요?? [3] F.Nietzsche4551 18/05/16 4551
120025 [질문] [전기/충전기]USB포트 전압/전류 측정용 테스터기 보는법 [6] 왐냠냠4851 18/05/16 4851
120024 [질문] 왜 국내웹은 Active-X, 설치형 프로그램 투성이인가요? [16] Bluelight3022 18/05/15 3022
120023 [질문] 자전거 본체외에 필요한게 어떤게 더 있을까요? [11] Lancer2846 18/05/15 2846
120022 [질문] 2700x 코어 쓰레드 설정 질문합니다. [1] 노대누대2862 18/05/15 2862
120021 [질문] 부동산계약금반환에대해서 잘아시는분 계신가요? [8] 밥잘먹는남자1992 18/05/15 1992
120020 [질문] 이런류 광고 보시면 어떤 생각드시나요? [22] 치맥사랑3154 18/05/15 3154
120019 [질문] [해축] 제일 구하기 힘든 포지션은 어디일까요? [27] 손금불산입3527 18/05/15 3527
120018 [삭제예정] 해외이직시 연봉의 몇배는 받아야된다고 보시는지요 [42] 삭제됨4639 18/05/15 4639
120017 [질문] 할머니께 사드릴 선물(먹을것)이 뭐가 있을까요 [7] 진인환2203 18/05/15 2203
120016 [질문] 대출관련 문의 [1] Monologue1819 18/05/15 1819
120015 [질문] 컴퓨터 d드라이브가 자동생성되었는데 무슨 문제인가요? [6] 방가방가햄토리6692 18/05/15 6692
120014 [질문] [LOL] 요즘은 뱅기 논란 없나요? [19] 딴딴4115 18/05/15 4115
120013 [질문] 컴퓨터 이정도 사양에 프리미어 프로 영상 편집 렉이 걸리나요? [8] 노대누대11061 18/05/15 11061
120012 [질문] 배틀그라운드 생초보 질문입니다. [5] monocrom2060 18/05/15 2060
120011 [질문] 현금영수증 질문입니다 wish buRn2112 18/05/15 2112
120010 [질문] 서피스 프로 3 유상 리퍼 해야할까요? [4] 양웬리4442 18/05/15 4442
120009 [질문] 전지적 참견 시점 진상 조사는 무엇을 하는 걸까요? [5] 리니지2642 18/05/15 26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