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3/30 22:56:10
Name 냉면과열무
Subject [질문] 신라 백제 고구려는 애초에 같은 문화권이었나요?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요즘 출퇴근하면서 띄엄띄엄 국방TV의 토크멘터리 전쟁史를 보고 있는데요.

지금 한참 삼국시대편 3연벙.. 아니 3연작을 보고 있습니다.

그 박사님과 기자님이 영상 중간중간에도 언급했는데, 그 당시에는 그냥 한민족이란 개념 자체가 없었고 어찌보면 지금의 중동처럼 그냥 부족. 씨족사회의 연합체 정도로 국가를 운영했을거고..서로 점령한것도 아니라서 각자의 문화권에서 500년 넘게 고유의 영토와 문화를 유지해왔는데요.

근데 같은 언어권이었다고 어디서 얼핏 들은 것 같거든요? 그렇다면 한반도 위에 수.당, 아래의 일본과는 다른 공동체의식이 있었는지..
더불어 신라가 통일해도 백제나 고구려 쪽에서 부흥운동? 반란 이런게 있었지만 그래도 몇백년동안 꾸준히 통일신라를 운영할 정도면 뭐 한반도 내에서 문화적 이질감같은게 거의 없었던 건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랬다면 고구려 때에.. 물론 국내성파와 한반도쪽의 평양성 쪽이 항상 싸웠다지만 만주쪽 고구려 문화권과 한반도 남족의 문화권도 당시엔 뭐 비슷하지 않았을까 하는 행복회로도 돌려보고.. 생각해보면 백제와 고구려의 기원이 되는 부여도 꾸준히 있었고 나중에 고구려가 망하고 바로 발해가 건국되고 나중에 고려쪽으로 유민들이 많이 내려온것도 보면..

제가 알기론 삼국시대 때의 기록이 많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거의 중국쪽 그리고 일본쪽 기록을 많이 참고하면서 추론한다고 하는데요.
저와 같은 의문들도 추론으로 접근해서 추측하는 건지 혹은 정론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예니치카
18/03/30 23:19
수정 아이콘
부족하나마 아는대로 말씀드리면....매장 풍습이나 기타 문화들을 봤을 때 고구려와 백제는 어느 정도 문화권을 공유하고 있었고 신라는 좀 이질적이었습니다. 셋 다 같은 민족이란 개념은 오랜 기간 없었고요. 신라가 통일한 후에 나당 전쟁 하면서 고구려 유민들과 백제 유민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민족 의식 비스무리한 것을 조장했다고 보시면 될 겁니다.
18/03/30 23:30
수정 아이콘
근대의 민족주의와 민족문화의 형성 및 추동력은 '표준어'가 근간이 됩니다. 근대국가가 관료제와 산업혁명을 바탕으로 점점 국력의 기반을 형성하는 과정에 더하여 비료의 등장과 의학의 발달로 인해 폭증하는 '인민'들에게 '국민'이라는 사상을 주입시킨거죠.
근대 이전까지는 국가, 민족, 문화라는 개념보다 어느 왕조의 신민인가가 더 중요하던 시절입니다. 고구려, 백제 부흥운동이 있었다한들 몰락 직전의 지배층의 마지막 발악같은 것이고 땅을 파던 백성들은 바뀐 왕 밑에서 계속 땅을 파면 되는거죠. 그저 전쟁터에 끌려가지 않은것에 감사를 느끼면서요.
요약하자면
1. 언어, 문화적으로 고대국가의 강역과 현대의 연속성을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
2. 한 중 일 나름대로의 내셔널리즘이 중세와 근세를 걸쳐 형성된 것은 사실이지만 삼국시대까지 가서 따지는건 쪼까 거시기하다.
3. 팩트 - 그냥 삼국시대의 자료는 너무나 부족해서 알 길이 없다...정도가 되겠습니다.
지니팅커벨여행
18/03/30 23:54
수정 아이콘
고구려 백제는 서로 부여의 후예임을 자처했으니 민족적 동질감보다는 우리가 더 위대해 하는 경쟁의식이 있었던 것 같아요.
서로 같은 뿌리인 것은 인지했겠지만 동질감을 갖지는 않았고요.
솔로13년차
18/03/31 00:18
수정 아이콘
현대의 민족개념과 규모의 차이가 있는 거지 당시 민족개념이 없었을 리 없죠. 당장 우리가 삼국시대일 때 중국은 오호십육국시대였는데, 왜 나라가(큰 나라만) 16개인데 5호인지 생각하면 뭐. 일반 백성들에게 국가의 개념이 어떠했는가는 모르겠지만, 그렇기 때문에 그건 현시점에서 중요하지 않죠. 우리가 궁금해하는 역사의 토대는 귀족들이었을테니까요.
각자의 문화권에서 500년 넘게 고유의 영토와 문화를 유지했다기엔, 신라와 백제의 강역이 우리가 생각하는 그 강역이었던 기간은 그리 길지 않죠. 고구려는 분명 그 전부터 연맹체든 뭐든 간에 일찌감치 '국가'였지만, 백제와 신라는 그 수준에 상당히 늦게 이르렀으니까요. 문화적 동질성을 얼마나 느꼈는지는 당연히 알 수 없지만, 그렇다고 백제와 신라가 서로보다 중국을 더 가깝게 여겼을 거라고 생각되진 않습니다. 상대적으로 더 '동질'하다고는 생각했겠죠.
보다 명확해진 건 삼국통일 이후겠습니다만, 그 전에도 상대적인 차이는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18/03/31 01:57
수정 아이콘
5호16국은 좀 다른 게 진나라와 한나라의 통일 왕조를 겪었다가 다시 쪼개진 것에 가까워서 비교 대상은 아니라고 봅니다.
춘추전국시대조차도 주나라의 의한 봉건제의 형태를 띄고 시작했기 때문에 비교가 어려울 거 같지만 굳이 비교한다면 이쪽에 더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솔로13년차
18/03/31 02:06
수정 아이콘
시대를 말하는 게 아니라 이름을 말하는 것입니다.
큰 나라가 16개지만, 민족을 기준으로 5호라 부르니까요.
나라당 하나의 정체성이라고 본다면 5호라는 건 이상하죠.
첫줄은 그 당시에도 민족개념은 있었고, 그 증거가 5호16국이다. 라는 말입니다.
18/03/31 02: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무슨 말씀인지 이해했습니다. 제가 글을 제대로 못 읽었네요.
그런데 당시 5호라는 개념은 이민족이라 불리는 개채들이 스스로로 같은 민족이라 여겨 스스로를 칭한 명칭이 아닌, 중국 한족이 본인과 이민족을 구분하기 위해 편의상 구분한 것에 가깝다고 봅니다.

중국 입장에서야 우리쪽을 편의상 동이로 불렀지만 당시 동이에 속한 모든 국가들이 서로를 같은 민족체로 인식했을 가능성은 의외로 낮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에서 5호라고 불렀다고 당사자들도 정말 그들끼리 민족체라 여겼다면 중국에서 같은 동이족으로 여긴 한반도내 부족국가와 왜, 읍루와 같은 전혀 이질적인 국가들도 같은 민족체적 동질성이 있었다는 말이니까요.

후대에, 그리고 외부에서의 시각과 내부에서 느끼는 생각은 전혀 다를 수 있다고 봅니다.
솔로13년차
18/03/31 02:57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저도 현대의 개념과 규모가 다르다고 말 한 겁니다.
다만 보다 가깝게 여겼을 가능성은 농후하다고 봅니다. 우리의 경우도 어쨌든 중국인이나 일본인이 유럽인보다도 멀다고 느끼진 않으니까요. 본문에선 '신라', '백제'를 고유문화라 했습니다만, 사실 그 내부에서도 동질성은 지금보다 적었다고 추측하고요. 내부의 동질성이 적었던 만큼 '더 가깝냐 덜 가깝냐'는 지금보다 더 크게 작용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방향성
18/03/31 19:19
수정 아이콘
백제하고 고구려는 서로 형제로 인식하고 있었고, 광개토대왕에게 신라가 왜구를 쫓아달라고 요청을 보낼때 보면, 고구려와의 동질성을 강조합니다. 신라는 지배계층이 유목(스키타이족)+남방계 인도, 아랍민족+부여계가 혼합되어 있다고 말이 나오니, 백제 고구려와는 약간 거리가 있죠. 그래도 서로 말이 통했다는 걸 보면, 동질감이 없다고 볼 순 없죠. 산하나 건너도 사투리가 생기는데, 말이 통할 정도면 혈연이 섞여있는 거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8028 [질문] 블랙박스 배선연결에 대해 [2] Part.32692 18/03/31 2692
118027 [질문] 레디 플레이어 원 4dx 3D로 볼만할까요? [7] 뿌루빵3478 18/03/31 3478
118026 [질문] psp 게임을 찾고 있습니다 [3] AminG2140 18/03/31 2140
118025 [질문] 컴퓨터블루투스로 헤드셋 연결시 딜레이문제... [1] 정공법2394 18/03/31 2394
118024 [질문] 클라이밍 하시는분께(암반화) 질문있습니다! [4] 바둑아위험해4494 18/03/31 4494
118023 [질문] 질문 두개 올려 봅니다. [1] 올래2026 18/03/31 2026
118022 [질문] 컴퓨터 관련 주변기기도 스페어로 구비해두시는지요...? [5] nexon2984 18/03/31 2984
118021 [질문] 이번에 나오는 아이패드 신버전이 그렇게 가성비가 좋나요? [12] 고타마 싯다르타3675 18/03/31 3675
118020 [질문] 짧은주소(단축url) 풀어주는 싸이트 알고계신분있으신가요? [2] 아이오아이1771 18/03/31 1771
118019 [질문] CAD 질문입니다. [6] 회전목마2189 18/03/31 2189
118018 [질문] 영화 곤지암 많이 무섭나요? [11] 로즈마리5268 18/03/31 5268
118017 [질문] 7월 여행 추천 가능할까요? [1] 저격수1668 18/03/31 1668
118016 [질문] 한국의 의무복무 - 즉 병역의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3] Volume3205 18/03/31 3205
118015 [질문] 이탈리아, 1주일 여행 코스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13] LG의심장박용택3957 18/03/31 3957
118014 [질문] 킹카스백화점 시계 구입 관련 질문입니다 [2] 과연나는어떨까10286 18/03/31 10286
118013 [질문] 프라다나 샤넬은 보통 어디서들 구매하시나요 [6] 콜라박지호3407 18/03/31 3407
118012 [질문] 영화ost 질문입니다. Beyond1637 18/03/31 1637
118011 [질문] 갤럭시 S4가 박살났습니다... [17] 윌모어3224 18/03/31 3224
118010 [질문] 아이패드 vs 갤탭s3 [7] 탐브레디5123 18/03/31 5123
118009 [질문] 신라 백제 고구려는 애초에 같은 문화권이었나요? [9] 냉면과열무3839 18/03/30 3839
118008 [질문] PC 견적 문의드립니다. [7] nokjung7772991 18/03/30 2991
118007 [질문] 3~4만원대 저가형 vr 기기도 쓸만 할까요? [2] Siestar3074 18/03/30 3074
118005 [질문] 전화번호부에 LG전자 고객 상담실로 이름이 바뀌어서 저장이 됩니다(아이폰) [2] 택배2613 18/03/30 26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