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1/26 18:22:11
Name 한우한근
Subject [질문] 집 거래 공동명의 장단점은 뭐가 있을까요?
우연히 TV에서 이재명시장이 부부 공동명의로 바꾸는 부분을 봤는데
부인분이 좋아하시던데.

그런 기분적인 거 말고 실제로
세금이라던가
혜택이라던가

공동명의와 개인명의 차이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퇴근 시간이네요.
즐거운 주말 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1/26 18:35
수정 아이콘
장점은 재산세나 나중에 자식들한테 상속할 때 유리하다고는 하는데 일반 서민인 저로서는 별로 공감이 안되고,
단점인 대출 같은 걸 처리할 때 부부가 꼭 같이 가야 한다거나 등 귀찮은 점이 더 커서 그냥 제 명의로 했습니다...
18/01/26 18:37
수정 아이콘
현재는 거의 기분적인게 크고요..단점은 매매 전세때 항상 공동명의자들이 같이 다녀야되고 이혼시 서로 짜증나죠
데일리야근
18/01/26 18:43
수정 아이콘
윗분들의 의견을 종합해보자면 배우자가 집을 함부로 매매하는 사고를 칠 가능성이 적어진다가 아닐까 싶네요.
cadenza79
18/01/26 18:45
수정 아이콘
부부간에는 10년 기준으로 6억까지 증여세가 안나옵니다. 그래서 배우자간 명의변경은 비교적 자유로운데요.
이재명 시장이 왜 했는지 그 방송을 안 봐서 모르겠습니다만, 사실 돈 많은 양반들은 노년에 들어서면 미리미리 플랜 세웁니다.

각종 보유세가 줄어듭니다. 구간별로 세율이 다르니까요. 외벌이로 1억 벌었을 때 내는 소득세액과 부부가 각각 5천만 원씩 벌었을 때 내는 소득세의 합계액을 비교했을 때, 세율 누진체계상 외벌이의 소득세액이 훨씬 크죠.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어느 한 쪽이 사망했을 때 상속재산이 작아져서 상속세도 줄어듭니다.

다만 취득하면서 바로 공동명의로 등기할 때는 괜찮은데, 원래 한쪽 명의로 된 것을 공동명의로 바꾼다면, 명의를 바꾸는 과정에서 취득세 등의 비용이 한 번 더 발생하기 때문에 ±를 따져봐야 됩니다.
18/01/26 19:43
수정 아이콘
이게 정답이고
하나만 추가하자면 공동명의 하시려면 대부분 처음 살때부터 미리 계획하셔서 사는게 좋습니다.
중간에 바꾸려면 계산 잘해야합니다...
겨울삼각형
18/01/26 19:05
수정 아이콘
단독명의 -> 공동명의
명의 변경시 증여세는 왠만하면 없습니다만,

취득세는 있습니다.
대략 4퍼

3억짜리 집이라면 60+@ 정도 들어가죠.

저도 공동명의 알아보다가 세금또 내야한다고해서,
다음 기회로 바꾸었지요.
우훨훨난짱
18/01/26 20:35
수정 아이콘
부인과 안싸우는 장점이 있겠네요?
한우한근
18/01/26 21:14
수정 아이콘
세금에 장점이 있을 수 있겠군요 ^^
답변 감사합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5344 [질문] 건축기사 교재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삭제됨3304 18/01/26 3304
115343 [질문] 업무 외에 개인적인 여러 가지 일까지 모두 잘하는 분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12] nexon3951 18/01/26 3951
115342 [질문] 50대 부부의 부산 1박2일 일정으로 추천할만한 코스가 있을가요? [4] R.Oswalt2471 18/01/26 2471
115341 [질문] 스마트폰전용앱 태블릿에 설치 질문입니다 [2] 헬즈4968 18/01/26 4968
115340 [질문] 도움요청합니다! 부산 신항만 근처 괜찮은 음식점 있을까요? [2] 조지아캔커피1961 18/01/26 1961
115339 [질문] 여성 머릿기름제품 질문입니다, [4] Lord Be Goja1877 18/01/26 1877
115338 [질문] 집 거래 공동명의 장단점은 뭐가 있을까요? [8] 한우한근3909 18/01/26 3909
115337 [질문] 토탈워 워해머2. 처음하는 사람이 해도 되나요 [6] 아리아리해3073 18/01/26 3073
115336 [질문] 어르신이 쓰실만한 삼성 타블렛 기종을 추천 받고자 합니다. [9] EmotionSickness2733 18/01/26 2733
115335 [질문] 집에서 해먹기 쉽고 양양가 좋은 음식이 모가 있을까요? [18] 개미3221 18/01/26 3221
115334 [질문] 통상임금제?포괄임금제?에서 연월차. [2] 하루하루2068 18/01/26 2068
115333 [질문] 연차에 대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6] 무기고3374 18/01/26 3374
115331 [질문] 핸드폰을 바꾸면 OTP는 어떻게 되나요? [1] aSlLeR2826 18/01/26 2826
115330 [질문] 백수도 신한은행 통장 만들수 있을까요???.. [10] 50b4651 18/01/26 4651
115329 [질문] [공무원] 웰빙 가능한 기관이 어디 있을까요? [35] 김태동 No.115730 18/01/26 15730
115328 [질문] 요즘처럼 추운 날 택배를 주문해도 될까요? [7] 카페알파5087 18/01/26 5087
115327 [질문] 비인두암에 대해서.. [2] StarLoL사랑2732 18/01/26 2732
115326 [질문] usb c타입 케이블은 다 비싼가요? [6] opxdwwnoaqewu6024 18/01/26 6024
115325 [질문] Telecommunication 전공, 어디에 취직해야하나요... [14] 카스2993 18/01/26 2993
115324 [질문] PC 견적 확인 부탁드립니다.(__) [2] 하얀 로냐프 강3007 18/01/26 3007
115323 [질문] 패딩 절도사건을 당했습니다. [27] 토폴로지5432 18/01/26 5432
115322 [질문] 수도가 얼어서 물이 안나옵니다.(긴급) [17] Demi5098 18/01/26 5098
115321 [질문] 이성과의 대화 짤방 좀 부탁드립니다 [2] SlaSh.3884 18/01/26 38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