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1/24 23:02:58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처음으로 교통사고를 냈습니다ㅠㅠ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1/24 23:11
수정 아이콘
네, 보험사에서 시키는 대로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예의상 피해자분에게 사과의 인사 정돈 하세요. 대인으로 드러누우면 보험료 꽤 많이 올라갑니다. 그리고 대인 없다면 보험료 30~40만원 정도만 올라갑니다. 그리고 자차 들었으면 자차 부담금만 내시면 님 차는 고칩니다. 상대방 수리비는 보험에서 전액 나갑니다.
18/01/24 23: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내리자마자 당연히 사과부터 하고 시작하긴 했는데요. 대인으로 병원에 가는 건 상대방 마음인거죠???
경찰이 몸상태 확인할때는 그쪽 운전자 분도 몸은 괜찮다고 말하긴 했는데... 그 다음날이든 며칠 지나고든 본인이 아파서 병원가는건
제 입장에선 복불복이겠네요ㅠㅠ
솔지기 저도 많이 속상하지만, 상대방 차는 완전 신차던데... 많이 죄송하긴했습니다.
(드러 눕는다는 표현은 옳지 않다고 생각해서 수정합니다.)
18/01/24 23:20
수정 아이콘
음..제가 드러눕는다는 표현은 실수 했네요. 여하튼 상대방이 몸이 안 좋으면 병원 가시겠죠. 뭐 그건 어쩔수 없는 일이니 너무 걱정 마시고, 보험료 조금 더 낼 뿐이니 스트레스 너무 받지 마세요. 상대방도 원스님도 많이 다치시지 않는게 다행이죠. 마음 편하게 가지세요. 이런일 처리 하려고 든게 보험이니까요.
18/01/24 23:42
수정 아이콘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제 실수로 사고란게 일어나다 보니 많이 신경쓰이고 자책도 하고 있는데, 최대한 마음 편히 가질수 있게 좋은 말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부터는 정말 조심히 운전해야겠습니다.
18/01/25 00:28
수정 아이콘
돈내고 보험드는 이유가 물론 의무기도 하지만 그런거 신경 안쓰고 처리하기 위함이니 보험료 할증 신경 쓰지말고 앚어버리시기 바랍니다. 이미 발생한 사고고 스트레스 받고 신경쓰면 뭐가 달라지면 또 몰라도 사고를 없는 일 치는거와 일처리되는 건 똑같습니다.
신경 끄고 있으면 처리 끝났다고 전화 올겁니다. 할증은 어쩔수 없기 때문에 그런갑다 하던가, 따져보고 개인 변상이 더 유리하다 싶다면 보험처리 후에도 상대방 보상은 보험금 청구 포기를, 본인 자차 수리는 일부 금액을 납입하면 할증을 피할 수 있습니다.
18/01/25 01:01
수정 아이콘
상대분 차가 무언가에 따라서, 사고 내용에 따라 많이 달라지실 것 같네요.
할증 부분은 계약 종료가 다가올때 (S다이렉트의 경우는 만료 한달전?) 할증내용 비교할 수 있게 얼마를 입금하면 사고 건수에서 감해준다던가
하는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런건 보험사에서 알아서 다 해주는거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18/01/25 02:00
수정 아이콘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생각만큼 큰 일 아니고 곧 아무 일 없던 것처럼 지내실 겁니다.
오빠나추워
18/01/25 08:28
수정 아이콘
근데 저게 왜 10 대 0 이 아닌지 설명해주실 분 계신가요?

글 만 봐서는 차선변경+뒤에서 박음 해서 작성자 분 과실이 100으로 보이는데... 상대 과실이라면 뭐가 있을까요?
18/01/25 12:46
수정 아이콘
차를 끌고 나온자체가 과실이라고 보험사들은 종종 얘기합니다.
싸구려신사
18/01/25 08:30
수정 아이콘
정황상 후미충돌 같은데 7대3이 가능할까요? 상대차가 큰 특이사항없이 달린거면 10대0 걱정해야하는 듯한데...
기본적으로 해야되는 것들은 다 하셨네요. 이젠 보험사에 맡길 수 밖에없죠
18/01/25 09:25
수정 아이콘
피해자가 되어본 입장에서
1. 보험회사보고 다 하라고 하면 됩니다. 그러라고 비싼 보험료 꼬박 낸거니까요.
2. 보험회사는 내편이 아니다. 가해자, 피해자 어느편도 아닙니다. 이땜에 나중에 섭섭해 질 수 있어요.
3. 피해자가 크게 다친게 아니라면 연락하거나 이럴 필요 없어요. 문자로 치료 잘 받으라는 정도만 한번 보내시면 될것 같습니다.
이정도 접촉사고라서 다행이고요 안전운전 하세요. 사고 안나본 사람 없을겁니다. 그리고 지나보면 알겠지만 별거 아닙니다. 물론 피해자 입장에서야 트라우마가 될 수도있고, 몸에 이상이 크게 생길 수 있지만 글을 읽어보니 별일 없을겁니다.
친절한 메딕씨
18/01/25 10:34
수정 아이콘
넵... 전혀 신경 안써도 됩니다.
가만 계시면 과실 범위 나올거구요.
동의 하지 않으시면 경찰 사고조사반에 의뢰하면 됩니다.
그게 아니라면 대인 대차 담당 하는 보험회사 직원들이 알아서 전화 올거에요.
18/01/25 11:36
수정 아이콘
일단 많은 분들 조언 감사드립니다. 몇몇 분들이 10:0이 왜 안나오냐고 하셨는데, 제 주장이 아닌 출동하신 분 주장이었어서 저도 명확한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제가 깜박이도 틀고 들어가고, 차의 옆부분이랑 부딪쳐서 그런거 같기도 하네요.
오늘 보험사 직원이랑 이런 저런 통화를 하고 있는데, 사고도 처음이고 보험처리도 처음이고 해서 기분도 좀 씁쓸하긴 하네요...
그래도 힘 북돋아 주신분들 감사드립니다.
하리네
18/01/25 18:13
수정 아이콘
글쓴분께는 죄송한 일이지만 비슷한 유형의 사고를 당해본 입장에서는 10대 0 나왔습니다.(정상 주행 중인 저희 차 좌측 후방을 다른 차량이 차로 변경하며 우측 헤드로 충격)
정상 주행 중에 다른 차가 측후방에서 충돌해오는 걸 피할수가 없으니까요.
저희쪽 보험사에서 9대1 불렀다가 된통 깨지고 10대0 인정하더라는... 상대분 입장에서 과실비율 한번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비율이 어떻게 나오든 너무 실망하지 마시고 수습 잘하시구 아프지 마시길 바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5276 [질문] 롤챔스 스포 없이 다시보기 할 수는 없을까요? [4] FRONTIER SETTER2382 18/01/25 2382
115274 [질문] 부산에서 남자 셋이서 뭐하고 놀면 좋을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한량기질3868 18/01/25 3868
115273 [질문] 라섹을 할까요? 다른 것을 할까요? [18] Hospita3031 18/01/25 3031
115272 [질문] 오사카 스시야 예약 도와주실분을 찾습니다. [17] Nightwish3145 18/01/25 3145
115271 [질문] 공무원 합격자 분들께 공부 습관 관련 질문 드립니다. [20] Jecht5943 18/01/25 5943
115270 [질문] 사회 생활 숙이기 및 박치기(?)에 대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6] endeavorhun2912 18/01/24 2912
115269 [질문] 진돗개가 추위를 잘 버티는 견종인가요? [10] sungsik7958 18/01/24 7958
115268 [질문] 처음으로 교통사고를 냈습니다ㅠㅠ [14] 삭제됨3168 18/01/24 3168
115267 [질문] 노트8 그나마 저렴하게 기변하려면 중고가 답인가요? [4] 평양냉면2570 18/01/24 2570
115266 [질문] 젤다의 전설 야생의 숨결 어떤가요? [7] 삭제됨2500 18/01/24 2500
115265 [질문] 해부학용어 median middle 차이점 질문 [5] 방밀전사2259 18/01/24 2259
115264 [질문] pgr에서였나 요리책 두꺼운거 추천해주신 게시물을 못찾겠네요 [9] 뽀유1848 18/01/24 1848
115263 [질문] 소장할만한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유랑3381 18/01/24 3381
115262 [질문] 박세리 vs 김연아 [56] Lancer5071 18/01/24 5071
115261 [질문] 사운드바? 스피커? tv에 물릴 것 하나만 추천해주세요. [2] 생선가게 고양이2566 18/01/24 2566
115260 [질문] 축구선수 마라도나 질문입니다. [11] 교자만두2832 18/01/24 2832
115259 [질문] 현재 구기 스포츠에서 로봇이 인간을 이길 수 있을까요? [20] 홍승식3193 18/01/24 3193
115258 [질문] 할게임이 너무너무 많은데.. 어떻게 다 플레이하십니까?? [11] 브록레슬러3238 18/01/24 3238
115257 [질문] 일정관리 & 메모하기 좋은 어플 추천 부탁드려요 [3] 엄청난닉네임2042 18/01/24 2042
115256 [질문] 중저가 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사이시옷3973 18/01/24 3973
115255 [질문] 배틀넷 인증기 해지 질문입니다 [1] 들개2648 18/01/24 2648
115254 [질문] 일산에 어느 동네가 장기적으로 집값 오를거라 보세요? [10] 생각의탄생2894 18/01/24 2894
115253 [질문] 여자친구와 가는 홍콩&마카오 일정 추천부탁드립니다 [8] 좀비2911 18/01/24 29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