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24 22:36
소규모 제한전이라면 모를까, 국가총력전은 무조건 경제력 높고 인구 많은 쪽이 이깁니다. 두 나라 기술력 격차가 어마어마한 것도 아니고...
17/12/24 22:46
(수정됨) 10년전까지는 러시아가 우위였지만, 지금은 좀 회의적이네요. 분명 아직도 질적으론 러시아가 더 낫다곤하지만, 경제력과 인구에 기반을 둔 중국을 이기기가 참 어려울듯합니다. 한쪽은 유지하기도 벅찬데. 한쪽은 거의 쏟아붓고 있는 지경이라... 거기다가 최근 방산산업도 중국쪽이 러시아의 시장과 좀 겹치다보니 지분을 많이 빼앗겨가는 추세라 러시아가 예전 러시아만큼 되질 못하고 있지요.
거기다가 자원협박, 분쟁지역 참여등으로 외교적인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하지만, 제조산업이 무너지고 지하자원으로 먹고사는 나라가 이번 셰일가스때문에 피해도 많이입고. 지난 자원협박과 분쟁지역 참여등으로 인해서 주 고객인 EU에서도 러시아와 거리를 두려고 하고있죠. 전체적으로 냉전이 끝나고, 미중간의 패권경쟁이 확대됨에 따라서 되려 이전보다 힘이 주춤하고있는 러시아의 실정이네요. 뭐 그래도 러시아나 중국이나 압도적인 핵전력과 미사일 전력을 가지고있어서 사실상 전쟁할일이 없겠지요.
17/12/24 23:01
핵 및 비대칭 전력을 안 쓰고 붙으면 아마도 러시아가 중국한테 총력전으로 비빌 수 있을까를 걱정해야 할 것이고,
반대로 사용하면 쓰면 비축량은 러시아가 많겠지만 어차피 공멸일테니 의미가 없겠네요. 중국이 우세하지 싶습니다.
17/12/24 23:12
러시아가 핵 100발 쏘고 시작하는게 아니라면
중국우세라고 봅니다. 러시아가 무기자체는 많이 가지고 있더라도 몇달내에 군수물품 생산성(?) 은 중국이 압도적일테니까요.
17/12/25 00:04
핵을 안쓴다는 가정하에.....
격차가 많이줄어들엇다 쳐도 당장 싸우면 러시아가 이길거 같습니다. 단순 인구빨로 따지면 인도가 중국 다음이어야죠. 현실은 그렇지 못하고요. 제트기 엔진도 러시아제에 거의 의존하고 있고 항공모함도 이제서야 진수중이죠. 만들어 놓은거도 운용이 가능할지 의문이고..... 러시아는 근근히 실전을 치루고 있지만 중국쪽은 실전 치룬지가 언젠가요 도대체...... 기술력 많이 따라 왔다고 하지만 중국산 첨단 장비들은 아직 스펙만 그럴싸 하지 검증이 전혀 안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의문들을 품고 있는거고...... 물론 시간이 지날수록 무게추가 중국쪽으로 쏠리겠죠.
17/12/25 00:12
러시아죠.
인도도 압도하지 못하고 있는 중국이 미국과도 상호확증파괴를 낼 수 있는 러시아를 어떻게 이깁니까. 만약에라도 분쟁이 생기면 먼저 꼬리를 내리는 쪽은 중국일 수밖에 없어요.
17/12/25 01:38
러시아 손 들어주고 싶습니다. 우선 현대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핵무기랑 공중전에서 중국이 러시아한테 상대가 될까 싶습니다. 썩어도 준치 라는 말이 있듯이요
17/12/25 01:54
(수정됨) 핵을 안쓴다는 가정하에서는
55:45로 러시아가 이기지 않나 싶긴 합니다. 이러나 저러나 냉전등 비핵무기를 사용한 전쟁을 주도적으로 혹은 직접적으로 간접적으로 경험해본 나라이니깐요. 핵을 쓰면 개피보는건 우리나라인듯 싶긴 해요 ^^; 베이징, 상해, 광저우, 항저우, 텐진, 충칭, 시안, 정저우, 샤면에 적어도 5개 핵탄두를 날리면 그 핵먼지는 우리가 맞을... -_-;
17/12/25 09:21
중국요. 서로 주요지역을 타격하기에는 거리가 너무 먼데, 해공군이 우세하다고 해도 거리가 워낙에 멀어서 러시아가 압도할 수준은 안될거 같고, 중국 주력을 바로 옆에 두고 있는 연해주 지역을 지켜야할 러시아가 너무 불리하지 않나 싶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