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2/14 19:48:19
Name 빛날배
Subject [질문] 학습의욕을 어떻게 고취시킬수 있을까요? (공부하는데 있어서 열정이나 끈기를 늘리는 방법)
22살 대학생입니다. 머리속에서 이거해야지 저거해야지 듣는 정보나 생각은 많은데 그게 정말 길게가지 않습니다. 남들 하는만큼은 하고 성적이나 평가는 평균은 넘는다고 보는데 그 이상 뭔가를 해봐야지 라는 생각이 들고 실천을 어느정도 하면 머릿속에서 이거 해서 뭐하냐, 실패하면 인생날리는건데 이런 부정적인 생각이 들고 대체로 포기하게 됩니다. 전 정말 소위 말해서 뭔가 미쳐있는 사람보면 부럽습니다. 살면서 이런걸 겪어본적이 없어서요. 무신경한 학습욕구와 끈기를 어떻게 끌어올릴까요? 그래서 그런지 반수도 포기했고 어려운 문제 몇시간동안 고민해보자 하다가 한 30분 풀고 결국 인터넷에서 해답찾아서 봤고 제2외국어도 5챕터까지 보다가 덮고 전자공학도 공부해봐야지 하다가 어느순간 안하고 있네요.

끈기를, 의욕을 살리는 방법이 뭘까요? 남이 주는건 잘하는데 제 자신이 저한테 주는건 성공담이 더 적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14 20:14
수정 아이콘
공부하는 습관을 기르세요. 하던걸 멈추고 눈을 감고 지금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하는 일이 무엇인지 10초간 생각한뒤 눈을 뜨고 실행하세요. 공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성취를 이뤄보세요. 공부로 얻을 수 있는 보상을 만끽하세요.
고분자
17/12/14 20:15
수정 아이콘
절박해져야 되더군요
파핀폐인
17/12/14 20:15
수정 아이콘
공부든 뭐든 미쳐서 하려면 결정적인 계기가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물론 계기와 함께 본인이 정말 이것만큼은 끝장내본다 하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꾸준히 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고1때 자극을 받아 본격적으로 공부에 불이 붙은 케이슨데, 공부를 하지 않더라도 매일 엉덩이를 책상앞에 붙이는 연습을 했습니다. 공부 하는것 자체보다 책상에 진득히 앉아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거든요. 공부는 그 다음에나 하는거구요.

물론 계기를 만들고 싶다고 쉽게 되는거도 아니고 마음먹는것도 힘듭니다. 그럴땐 현실을 한번 보시는것도 괜찮지 않을까요? 선배들 취업, 본인의 미래 이런식으루요. 결국 자기 스스로 해야 하는 문제라 답을 드리기 어렵네요..흐흐
강미나
17/12/14 20:26
수정 아이콘
재미가 있거나, 현실적인 목표가 있거나 둘 중 하나여야 합니다.
욕심쟁이
17/12/14 20:41
수정 아이콘
그게 쉽게 가능했으면 학부모들이 아이들 교육시키려고 그렇게 고생하진 않겠죠.
엄격근엄진지
17/12/14 20:45
수정 아이콘
스스로가 평범하시다면요.
돈을 들여서 학원을 다니는거랑
쉽게 깨지지 않는 스터디를 하는게 제일입니다.

사람은 혼자서는 거의 움직이지 않아요.
안하면 돈을 잃거나 쪽을 당한다거나 해야 해요.

아직 어리시니 더 알아보세요. 혼자 힘으로 스스로를 바꿀수 있는지
저는 군대 나오고 나서 방황하고 깨달았어요.
난 x형 인간이라 누군가 시켜야 하는구나 라는걸...
오빠나추워
17/12/14 20:49
수정 아이콘
왜? 라는 질문을 던져보세요. 왜 공부해야 하는지...
저는 공부 안했습니다. 왜? 라는 질문을 던져도 딱히 해야할 필요성을 못느껴서요.
그래도 남부럽지 않게 잘 먹고 잘 살고 있습니다.
공부 할 필요가 없는데 공부해야한다고 억지로 자신을 몰아붙이고 있는건 아닌지도 생각해보세요.
새강이
17/12/14 21:22
수정 아이콘
의지와 절박함이 없으면 시스템을 만들어서 그 시스템에 몸을 맡기는 게 제일입니다 능동적인 시스템은 습관들여 실천하기고 수동적인 시스템은 위에서 말씀하신 스터디 같은 것에 들어가는 겁니다 정 안되면 매일 9시 도서관 출첵 스터디 이런 거라도 들어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공부자극은 디씨 카연갤에 세피아 만화 보시길 추천합니다

단 우울해지실 수 있으니 적당히 거리두고 보세요
17/12/14 21:26
수정 아이콘
지나간 시간은 돌아오지 않는다는 걸 알아야죠. 많이들 그래서 후회하니까요
김생민이 지금 돈안모으면 나중에 나이먹어서 하기싫은일 해야된다고 그랬던거같은데 뭐 공부도 비슷한 뉘앙스인거 같아요.
시드플러스
17/12/14 21:34
수정 아이콘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 열정이 일어나는 방법 중에 두 가지를 소개해볼까 합니다.

하나는 과정 중간중간에 놓인 효용감입니다. 스스로 뭔가 이게 하면 되는구나... 작은 성취감을 맛보고, 내 능력에 대한 신뢰도 얻고, 그에 따라 미래에 기대되는 게 생기고... 그런 식일 때, 열정이 일어난다는 거죠. 감정은 기본적으로 무의식의 영역이고, 무의식을 설득하는 좋은 방법이 되는 건 바로... 실제로 보여주는 겁니다. 그 효용을 말이죠. 그러면 그렇게 생긴 효용감에서 열정이 일어나는 거죠. 따라서 이러한 열정을 이용하고 싶다면, 가급적 중간 중간 효용을 느낄 수 있는 방법 혹은 환경 혹은 대상을 택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하나는 강렬한 성취와 불확실성입니다. 어려운 문제에 열정적으로 매달리는 사람은... 과거에 그런 문제를 풀어보는 데 성공해본 사람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10번 시도해서 1번이라도 성공해본 경험이 있다는 거죠. 그리고 그 성공 경험이 매우 강렬한 감정을 자극했다면, 이제 열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비록 성공 확률이 높지 않더라도... 이게 매달려서 될지 안 될지 몰라도... 하게 된다는 거죠. 뭔가에 미쳐 있는 사람은 이 경우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좋게는... 학문적으로 미쳐 있는 사람도 이런 식이지만... 안 좋게는... 도박에 미쳐 있는 사람도 이런 식인 거죠.

마지막으로 하나 더 덧붙이자면, 사람마다 감정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내가 무엇에 감정이 일어나는지를 깊이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어떤 영화를 좋아하는가... 나는 어떤 TV프로를 좋아하는가... 좋아하는 그건 왜 좋아하는 건가... 어떤 추상적인 요소가 내 감정에 불을 지르는가... 이런 것에도 힌트를 얻을 수 있거든요. 과거에 의지로서 성공해본 경험이 있지 않다면, 미래에도 의지로 성공할 확률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의지력에만 의존하지 말고, 습관 ・ 환경 ・ 자신에 대한 이해... 이런 것들의 도움을 받아 하는 게 현명한 선택이 되겠지요. 질책도 마찬가지입니다. 자기 자신을 질책하여 노력하게 되고 그래서 성공해본 그런 패턴을 과거에 경험해보지 못했다면, 미래에도 그런 식으로는 똑같이 실패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자괴감만 커질 테죠.
정어리고래
17/12/14 22:01
수정 아이콘
1. 도서관이든 독서실이든 가서 앉아있는 시간을 늘린다
2. 공부가 절박할수록 공부한다
17/12/14 23:04
수정 아이콘
환경조성이 돼야 하죠. 스스로 못하겠다 싶으시면 학원 가는게 무조건 좋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열심히 하는사람하고 가까이 지내세요. 노는 친구들은 습관이 잡힐때 까지는 잠시 멀리하시고..
아이고배야
17/12/14 23:06
수정 아이콘
1. 여행을 간다
2.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찾아본다. 즉 여기저기 견학을 가본다.
박현준
17/12/15 23:04
수정 아이콘
실패해서 인생 날린다는 생각이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거 같네요. 이런 생각을 하게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목표가 잘못 되었기 때문이라 생각 하고요. 실패해도 인생을 날릴만한 목표는 성공해도 인생 날려요. 실패는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뭘 하던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3289 [질문] 코인판에 들어가려고 빗썸가입했습니다 [9] 블랙핑크지수3081 17/12/15 3081
113288 [질문] 하스스톤 덱 어디서 찾으시나요? [6] 낙일방1865 17/12/15 1865
113287 [질문] [스타]짤막힌다가 뭔 뜻인가요? [2] 독한혀들의전쟁2322 17/12/15 2322
113286 [질문] 컴퓨터 문제로 질문드립니다. [2] 유람1952 17/12/15 1952
113285 [질문] 스카이림 모드 질문.. [5] 메피스토2822 17/12/14 2822
113284 [질문] 유럽vs중남미 어느쪽이 헐리우드 영화 잠식이 심한가요? bigname1592 17/12/14 1592
113283 [질문] github 소스 관련 문의를 개발자에게 하고 싶은데요... [2] 1llionaire1525 17/12/14 1525
113282 [질문] 핸드폰이 고장나서 새로 살려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6] 대구머짱이1496 17/12/14 1496
113281 [질문] 만화책 찾고 싶습니다. [5] macaulay2551 17/12/14 2551
113280 [질문] 침샘 통증에 대한 질문입니다. [1] frtr1909 17/12/14 1909
113279 [질문] 수습기간 퇴사 질문드립니다. [7] Genius5867 17/12/14 5867
113278 [질문] [소녀전선] 샷건 주지사나 캡차 쓸만한가요? [5] 곡사포3340 17/12/14 3340
113277 [질문] 영화제목 찾습니다!!도와주세요 [2] 졸려1413 17/12/14 1413
113276 [질문] 서울에 강북으로 스테이크 레스토랑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여자친구1833 17/12/14 1833
113275 [질문] 에이핑크 콘서트 티케팅 성공하신 분 계신가요? [7] 비익조1905 17/12/14 1905
113274 [질문] 디지털 피아노 질문입니다. [5] Waldstein2170 17/12/14 2170
113273 [질문] 학습의욕을 어떻게 고취시킬수 있을까요? (공부하는데 있어서 열정이나 끈기를 늘리는 방법) [14] 빛날배 2879 17/12/14 2879
113272 [질문] 롯데택배는 개판인가요? 택배가 안옵니다.. [7] 진인환3672 17/12/14 3672
113271 [질문] Be Y폰(비와이폰)으로 카카오뱅크 쓰시는 분 있나요? [2] will1530 17/12/14 1530
113270 [질문] 유료 백신 추천부탁드립니다. [8] 설아4260 17/12/14 4260
113269 [질문] 워터마크를 사진의 비율에 따라서 조절해서 넣을수 있을까요? 야야 투레1486 17/12/14 1486
113268 [질문] 금연하시는 분들 금연 계기는 무엇인가요? [26] 펩시콜라3937 17/12/14 3937
113267 [질문] [모니터] 한성컴퓨터 ULTRON 3278 QHD - 구매할까하는데 괜찮은제품인가요? [6] 전크리넥스만써요4220 17/12/14 42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