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2/06 13:42:59
Name Flying-LeafV
Subject [질문] 작곡가가 되려면??
예전부터 작곡에 관심을 두고 있었는데..

이렇다 할 악기 공부 또는 음악공부를 해보지는 못했습니다.

지금 직장인이 되어서 틈나는 시간 악기 배우며 한번 도전해볼까 하는데,

가능성이 있는지요/?

작곡은 스킬 보다는 음악적 재능 +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감성 + 운 이 더 중요하다고 하던데

지금부터 작곡을 공부해서 대중가수에게 곡을 줄 수 있는 실력을 기를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06 13:44
수정 아이콘
취미로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직장인이지만, 언젠가 제 글의 고료 또는 인세만으로 먹고 살 거라는 꿈을 꾸며 오늘도 글을 씁니다.
글쓴분도 직장 다니시면서 꿈을 하나 가지고 계시면 좋지 않을까요.
Flying-LeafV
17/12/06 13:47
수정 아이콘
네 해보지 않아서 얼마나 어렵고 힘든 공부인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어려서부터 동경해오고, 해보고 싶은 일이라 즐겁게 취미생활로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다만 최종 목표는 결국 내 곡을 내가 좋아하는 가수가 부르게 되는 것이겠지요,
그리고 그게 현실적으로 얼마나 가능한지에 대한 궁금증입니다.
늅늅이
17/12/06 15:30
수정 아이콘
저랑 같은 꿈이시네요
저도 제가 좋아하는 가수한테 어울리는
곡을 만들어서 주는게 목표에요 크크
-안군-
17/12/06 13:53
수정 아이콘
가수에게 팔 수 있느냐 아니냐는 재능의 문제니까 패스하고...
본격적으로 작곡을 하시려면, 악기보다는 작곡 프로그램 사용법을 익히시는 쪽이 빠를겁니다.
어떤 장르를 주로 하고 싶으신 지는 모르겠지만, 발라드 같은 거라면 화성학은 필수고요.
어려서부터 피아노나 기타 등을 오래 치신 게 아니라면, 화성학에 대한 공부 없이는 작곡하기 힘드실거에요.
하얀 로냐프 강
17/12/06 14:01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는 악기 하나(ex.기타 추천 하더군요)를 익히면서, 마스터건반과 작곡 프로그램 하나 구비해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도 지인에게 물어보며 준비 중입니다.

직장도 있으시니깐, 결과물을 떠나서 취미로 즐기자라는 가벼운 마인드로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그런 마음가짐이구요.

그러다보면 뭐 얼마나 걸리든간에 뭐 하나가 나오지 않겠습니까? 제 꿈이자 목표 중 2개가 버스킹과 음원 한 곡만 내보자입니다. 크크.

같이 힘내요!
17/12/06 14:03
수정 아이콘
작곡은 스킬이 맞습니다...ㅠㅠ
작성자분이 말씀하신것도 맞지만 그건 이미 스킬을 다 가진사람끼리 곡을 내서 누가 더 잘나가느냐 = 누가 트렌드에 맞게, 통통튀게 스킬을 쓰느냐로 판가름나는거고
각 곡에 들어가는 리듬 코드라인 등은 이미 다 학문화되어있고 이를 활용하고 조합하는게 작곡입니다
현재 직장인이시고 악기를 다뤄본적이 없으시면 악기 하나를 파서 직장인 밴드 등의 활동을 해보면서 화성 및 작곡 이론 및 프로그램 공부를 병행하시는게 그나마 현실적일겁니다
17/12/06 14:06
수정 아이콘
일부 가수들 마냥 본인은 음이나 흥얼 거려놓고 작곡 다 했다 해놓고,
나머지는 편곡자들이 곡짜주는걸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스킬을 무시할수가 없습니다.

본인이 흥얼거린 음을 따고, 그에 맞는 구성과 화음등을 짜서 한곡을 완성 하는게 생각만큼 쉬운일은 아니에요.

그래도 시간 투자해서 배우면 어느정도 원하는 곡을 만드시는건 가능해요.
다만 그걸 실제 가수가 부를 수 있을 정도의 수준까지 만들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요. 흐흐;
동네형
17/12/06 14:22
수정 아이콘
작곡을 하는거랑 작곡가가 되는거랑 다를껀데요
17/12/06 23:28
수정 아이콘
작곡가는 클래식 분야이든 가요 분야이든
음악계에서 엘리트 오브 엘리트 층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음악적 재능은 둘째 치고, 공부하고 노력해야 하는 게 엄청 많습니다.

우선 피아노든 기타든 기본 악기를 배우세요
가요, 팝, 영화 음악 등등 악보 보자마자 대강은 연주 가능한 수준까지요

두 번째는 악보를 그리고, 편곡하고, 화성을 만드는 기본 음악이론과
화성법 배우셔야 합니다.
사실 악기 연주도 어렵지만 재능만 있다면 독학을 어느 정도 할 수
있지만, 화성법, 작곡법, 음악통론, 편곡법이 진~짜 더 힘들고 어려워서
꼭 학원의 도움이 필요한데요, 일반 학원 (초딩들 대상으로 하는 피아노
및 음악 학원) 에서는 거의 이 과정이 없어서, 실용 입시 음악학원에서
배우셔야 하는데, 레슨비가 엄청 비쌉니다.
월 레슨비가 아니라 아마 1시간 타임으로 계산해서 받으실 꺼에요
(약간 헬쓰장 개인 Pt 가격 생각 하시면 될 듯 합니다.)

1번과 2번 과정만 해도 최소 2~3년 투자하셔야 뭔가 능력치가 생길 겁니다.

1,2번 과정을 어느 정도 마스터했다 싶으시면
세 번째로 좋아하는 가수의 노래를 카피해 보세요
이게 뭐냐 하면 노래를 들으면서 그 음을 악보로 그리는 작업이에요
귀로만 들으면서 이 음이 도,레,미 파 중에 뭔 음인지
리듬이 8분음표인지 4분음표인지
코드는 뭔지 귀로만 수천 번 들으시면서
악기는 무슨 악기가 무슨 소리를 내는지 다 파악하셔야 해요
악보야 각종 악보 사이트에서 다 파니 돈 주고 구할 수 있지만
그 악보 파는 거 다 작곡 능력자들이 만든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요런 능력 못 기르면 작곡 포기하시는 게 좋습니다.
( 요 카피 능력은 갖추려면
1. 기본적으로 악보를 그릴 만한 음악적 지식이 있어야 하고
2. 악기를 판별하는 예민한 귀와 절대음감이 있어야 합니다)

사실 1곡 카피하려면 적어도 3분 짜리 가요 노래 한 곡에
최~~~~소 100시간 이상 투자하셔야 될 꺼에요
같은 곡 토 나오도록 듣고 들어야 귀가 열리거든요 ㅠ ㅠ
피아노 반주 카피하고,
스트링은 어떻게 깔리는지 드럼 기본 비트는 뭔지
애드립 깔리는 브라스 음 파악해야지 죽어납니다. 죽어나요,
음악가는 귀로 음악을 보고
눈으로는 음악를 듣는 능력이 있어야 해요

카피 작업이 익숙해 져서 귀가 열렸다 싶으시면
네번째로 좋아하는 노래를 편곡해 보세요
가장 쉽게 "학교 종이 땡땡땡" 같이 단순한 노래도
펑크 스타일, EDM 스타일, 팝 스타일,
블루스 스타일, 트롯 스타일, 발라드 스타일 등등등등등
정말 다양한 스타일로 그 스타일에 맞춰서 편곡하셔야 합니다.
( 요렇게 편곡 하려면, 각 스타일별 코드 진행및 코드 편곡
빠방하게 이론이 있어야 합니다. 글구 본인이 대~~충은 연주도
가능하셔야 하구요 )

1,2,3,4, 가 어느 정도 마스터 되시면
그 때 부터 자기 노래란 걸 만드고 도전하실 준비가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2966 [질문] 닌텐도 스위치 물량 있는건가요? [6] 이스트4595 17/12/07 4595
112965 [질문] 포켓몬, 닌텐도 관련 질문입니다!!! [8] 타키쿤2443 17/12/07 2443
112964 [질문] 고민입니다 [2] 삭제됨2072 17/12/07 2072
112963 [질문] 나는 자연인이다 다큐 방송과 비슷한 방송이 있을까요? [8] 보로미어3834 17/12/07 3834
112962 [질문] 명화 모작을 하나 살껀데요 액자없이 걸어놔도 될까요? [2] 불대가리2111 17/12/07 2111
112961 [질문] 핸드폰에 your phone is now your tv remote [2] 소와소나무2656 17/12/07 2656
112960 [질문] 생애처음 소개팅입니다; 대구에서 하는데 장소 추천부탁드립니다 [15] rDc665549 17/12/07 5549
112959 [질문] 144 모니터 추천부탁드립니다 [9] 전크리넥스만써요4696 17/12/07 4696
112958 [질문] 스타1 리마스터 가능한가요? [11] 리치나다옐로우3362 17/12/07 3362
112957 [질문] 부산 사시는 분 계신가요? 아파트 선택 [10] 흰둥3128 17/12/07 3128
112956 [질문] 장례식장 복장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13] 지앞영소녀시대3472 17/12/07 3472
112954 [질문] 아이패드 처음 샀는데 적응이 잘 안 되네요. [11] 두점2731 17/12/07 2731
112953 [질문] 부모님 핸드폰 교체, 좀 저렴하게 하는 법 있을까요 [10] 이상한화요일2976 17/12/07 2976
112952 [질문] 유튜버나 BJ 중에 궁금한게 있습니다. [14] 하얀사신2990 17/12/07 2990
112950 [질문] 회계, 세무 관련 영어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2] SG18592407 17/12/07 2407
112949 [질문] 페이팔 해외 송금, 수금 문의합니다. [1] 막강테란1958 17/12/07 1958
112948 [질문] 집 책상에만 앉으면 목이 저릿한데 뭘 점검해봐야될까요? [12] Fysta2788 17/12/07 2788
112947 [질문] 음주운전 동승자 처벌에 대해 [17] 비야레알2817 17/12/07 2817
112946 [질문] 가상화폐에 대한 강의 유튜브영상 있나요? [7] 파란무테2251 17/12/07 2251
112945 [질문] 셰리,포트캐스크 위스키 추천부탁드립니다. [9] 램지4084 17/12/07 4084
112944 [질문] 와우 정액 넣은 계정을 잠깐 멈췄다가 다시 켰다가 할 수 있나요? [7] 성세현3223 17/12/07 3223
112943 [질문] 왜 국내 은행이나 투자사는 비트코인 안하나요? [18] 빛날배 2829 17/12/07 2829
112942 [질문] 비트코인이 내년1월까지 오를것 같은데도 왜 못살까요? [55] NCS4556 17/12/07 455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