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05 13:18
1. 서버의 성능 자체로만 놓고 보면 다운그레이드이긴 한데 NAS를 쓰는 이유가 싱크 프로그램이나 외부에서 접속이 편해서인 경우가 많아서 NAS가 좀 더 편하긴 합니다. 물론 지금 서버에서 불가능한 것은 아닌데 많이 알아보고 설정하고 하는 것이 귀찮아서 그렇죠. NAS를 쓰면 좀 편하게 가능합니다. 더 저렴한 비용으로요.
2. 내부에서 주고 받는 것 내부에서 NAS에 접근하고 업로드 다운로드는 기가비트로 전송하겠지만 외부에서 접속할 때는 100Mpbs로 전송합니다. 그리고 기가비트는 컴퓨터-허브-NAS 모두 지원을 해야하고 LAN 케이블이 최소 UTP Cat.5e로 된 녀석을 사용해야 기가비트 구성이 됩니다.
17/12/05 13:56
1. 나스성능은 다운입니다. 레이드 구성에 따라 다르지만, 레이드 5경우 쓰기 속도 저하를 느낄수 있습니다.
2. 스위치 업그레이드시, 스피드 증가 실감하실수 있습니다. 요즘 보통 이더넷 케이블은 CAT5인데, 사실은 CAT6 추천입니다. 하지만 CAT5도 1G 지원합니다. 보통 요즘 기기들은 다 1G 지원하고요. 100m 의 오래된 장비경우 100m로 지원합니다. 1G 스위치는 백워드 호환입니다
17/12/05 13:58
허브가 1Gbps 라면, 내부망에서의 전송 속도는 1Gbps 입니다.
그리고, NAS가 하는 일은 파일 전송이 전부기 때문에, CPU의 속도는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파일을 복사하거나 다운로드를 받을 때 하드디스크의 사용량은 늘어나도 CPU 사용량은 거의 없는 것과 같은 이치죠. 단, NAS의 네트워크 속도와, 하드디스크의 속도 및 캐시 용량은 중요할겁니다.
17/12/05 17:16
댓글 감사 드립니다 (_ _)
현재 ds918+ 와 ds218+ 를 고민중인데.... 어렵네요 사실상 지금 쓰는 하드 용량도 1TB 가 채 안되는데 굳이 4bay 를 살 필요가 잇나 싶기도 하고... nas 스펙이 읽기 쓰기속도와 별 상관이 없다면 ds218+ 로 가는게 맞을지 궁금합니다 ㅠ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