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2/04 17:15:13
Name chamchI
Subject [질문] 신용등급은 어느정도인가요
단순히 신용등급에 대한 질문입니다.
신용등급을 결정하는 요인이 뭐 신용카드 이용이라던가, 카더라로만 알고 정확히는 모르고
신용등급으로 할 수 있는것은 대출 및 카드한도더라, 정도이지 정확히는 모르고 해서

어떤게 신용등급을 결정하고, 신용등급이 높으면 어떤게 가능하고,
그리고 제일 중요한게 어느정도면 높은거고 낮은건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혜리
17/12/04 17:27
수정 아이콘
신용등급 3등급이면 보통 1,2등급이면 좋습니다.
신용등급이 높으면 은행에서 신용대출이 아주 잘~ 나옵니다. 그렇다고 터무니 없는 금액은 아니고 소득수준에 비례해서 잘~ 나와요.
그리고 신용등급이 높으면 금리가 같은 직업 같은 소득이라도 순수하게 신용등급 덕분에 금리가 낮습니다.

그럼 신용등급은 무엇이 결정하는가.
단 한 번도 은행을 이용하지 않았다면 신용등급이 좋을 수가 없습니다.
정확히는 신용을 판단할 수 있는 잣대가 부족하겠네요.
결국 은행을 이용할 것, 소득 수준이 높으면서 안정적일 것 (Ex. 대기업 혹은 공무원, 전문직 등), 그리고 신용카드 등을 적당하게 사용하고 있으면서 연체가 없을 것 정도가 신용등급을 안정적이고 높게 유지해주는 요인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신용등급을 악화 시키는 것은
중금리 이상의 이자를 사용하는 금융기관으로 부터의 대출 즉 10%가 넘어가는 현금서비스, 카드론, 장기카드대출, 2금융권 대출 등이 있겠습니다. 한 번 신용등급이 박살나면 진짜 필요할 때 저리로 대출 받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다시 중, 고금리 대출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 그러면 다시 신용등급이 박살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되므로.
아무리 돈 없다고 현금 유동성이 후달린다고 해서 한 번 쯤은 괜찮겠지 하고 현금서비스 같은거 받으면 진짜 주옥 되는 겁니다. 이럴 때는 친구론, 부모론, 가족론을 이용하세요. 이게 다 경험에서 나오는 소리입니다.
지르는게좋아
17/12/04 17:40
수정 아이콘
묻어가는 질문을 해도 될까요? ;;^^
은행에 적금을 개설하고 잘 붓는것도 신용등급을 올리는데 도움이 될까요? 더 높은 금액으로 개설하면 신용등급에 더 도움이 되는 걸까요?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
17/12/04 17:51
수정 아이콘
신용등급 올리는 방법은 대출 잘갚고
신용카드 잘쓰고 하면 올라갑니다.
대신 할부말고 무조건 일시불로요.
즉 금융거래가 많아야 은행입장에서 아~ 이사람은 돈을 잘갚는사람이구나 더 많이 낮은 이자로 빌려줘도 되겠군 이라 생각하고 신용등급 올려줍니다.
신용등급인 1년에 3번 무료조회 가능합니다. 네이버에 검색하면 방법나옴.
지르는게좋아
17/12/04 17:54
수정 아이콘
적금하고는 상관이 없다는 말씀이신거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
17/12/04 17:27
수정 아이콘
신용등급은 카드 사용 연체없이 잘 하고, 대출금 잘 갚고 하면 쑥쑥 올라갑니다.
신용카드나 대출 같은 것을 안 하면 오히려 신용은 정체됩니다.
등급이 높다면 대출에 있어 한도나 이율이 유리합니다. 카드 발급이나 한도에 있어서도 유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대충 이정도만 아셔도 생활하는데 지장이 없습니다.
17/12/04 18: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많이 빌려서 잘 갚으면 빨리 오릅니다.
안빌리고 자급자족하면 신용등급 자체가 없습니다.

신용등급이 높으면 대출한도가 늘어나고 이자가 줄어듭니다만..그렇게 드라마틱하게 늘어나진 않구요

사실 신용등급은 높았을때 유리해지는점보단 낮았을때 받는 불이익이 매우 크기 때문에 낮아지지 않도록 관리하는게 중요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2814 [질문] [연애]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44] WOGUS884903 17/12/04 4903
112813 [질문] 한글 문서 두 개를 비교해보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6] 네오크로우2868 17/12/04 2868
112812 [질문] 전세계약 및 세입자 이사관련 질문입니다. (배경설명 및 질문) [10] Emiyasiro1371 17/12/04 1371
112811 [질문] 갤8 대신 아이폰8 설득 좀 시켜주세요. [34] K54106 17/12/04 4106
112810 [질문] 신용등급은 어느정도인가요 [6] chamchI3086 17/12/04 3086
112809 [질문] 대구 초밥집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2] 후추후추2518 17/12/04 2518
112808 [질문] 핸드폰 구입 덤탱이 안쓸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8] ReSEt1982 17/12/04 1982
112807 [질문] pc부팅시 모니터 절전문제 [3] 가을의전설3071 17/12/04 3071
112806 [질문] 믹스나인이 재미있나요 더유닛이 재미있나요? [14] Demi2853 17/12/04 2853
112805 [질문] 패딩을 사려고 하는데 분당에서 가까운 아울렛이 어디일까요? [3] 정지연2106 17/12/04 2106
112804 [질문] 요즘 단톡방에 가상화폐 이야기 많이 올라오시나요? [21] 엄격근엄진지3042 17/12/04 3042
112803 [질문] 올해 심야/백야 버스 패키지가 있는 스키장이 있나요? [7] Rosinante1676 17/12/04 1676
112801 [질문] 겨울 운동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4] Song13868 17/12/04 3868
112800 [질문] roccat kone pure 모델 두개가 센서 말고는 다른 스펙은 동일한건가요? [2] 키토3569 17/12/04 3569
112799 [질문] 롱주 신 스폰서는 아직 정체가 불명인가요? [2] 레이오네1963 17/12/04 1963
112798 [질문] 유효기간 만료된 문화상품권 사용 가능 여부 문의 [4] 나이스3205 17/12/04 3205
112797 [질문] 아재가 수영을 배워볼까 합니다. 조언 좀 해주세요~ [8] 아엠포유2329 17/12/04 2329
112796 [질문] CPU 질문입니다. [4] Bluelight2017 17/12/04 2017
112795 [질문] 부산으로 2박3일일정으로 루트 부탁드립니다 [8] 건투를 빈다2302 17/12/04 2302
112794 [질문] 닌텐도 리듬천국 시리즈를 하려면 어떤 게임기를? [9] 힘든일상2388 17/12/04 2388
112793 [질문] 외장하드 SSD도 많이 사용하시나요? [11] 스콩어3867 17/12/04 3867
112792 [질문] 리모콘이 없어진 TV 제어법...(feat. 닌텐도스위치) [5] 제니3753 17/12/04 3753
112791 [질문] 시계 면세점 구입 VS 해외구매대행 [17] 이수현이해인6014 17/12/04 60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