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30 22:58:33
Name 재입대
Subject [질문] 심근경색 관련 질문입니다. (수정됨)
고 김주혁씨 사고 때문에 혹여나 지금 타이밍에 이런 질문이 올라온게 보기 그렇다 하시면 삭제 하겠습니다..


저같은 경우 아버지와 큰아버지가 각각 40대 50대에 심근경색으로 돌아가시고 (친할아버님은 훨씬 더 오래사심..)

이후에 재산문재로 친척들간에 소원해져서 소식만 대충 들었는데 3,4째 작은아버지들도 돌아가셨다고 들어서(다시 물어보니 다 심근경색이라

고 하네요 3째는 논에서 심근경색 4째는 운전중 심근경색)  어머니께서 자잘한 미신같은걸 많이 믿는 관계로 이름이 불길하다고 개명까지 권할

정도로 좀 그렇습니다. 물론 개명은 안했고요

아버지는 안방에서 재떨이 갖다 놓고 하루 3갑 피울 정도로 꼴초에 술도 말할 것도 없는데다가 큰아버지도 비슷한 상황인걸로 알고 있고요

아버지는 고1때 제가 보는 앞에서 가슴 부여잡고 쓰러지셔서 119 불러봤습니다만 몇시간 안되서 호흡기 뗐고요.

저는 예전부터 참 꼴보기 싫어서 담배는 입에도 안대봤고 술은 연례 행사로 마실정도입니다.


궁금한 점은 심근경색이 유전인가 하는건데 나무위키 켜보니 유전관련 언급이 일단 제가 한 두번 훑어 봤을땐 없더라고요..성인병 정도로

취급하는것 같았고 구글 뒤져보니 보험회사 리포트인가 에서는 일반인의 2배 위험정도로 보는것 같은데 심근경색이 유전이다라고 이해해야

할까요??


평소에 그냥 조심해야겠다 라고 생각만 하다가 오늘 사고 내용 보고 참 심란해져서...

술담배는 거의 안하는데 어머니가 혈압이 있고 저도 운동하기전 파오후 때는 혈압 140도 뚫어본적 있습니다. 지금은 정상이라는데...

운동은 유산소는 따로 안하고 예전에 크로스핏 하다가 몇개월간 안하고 웨이트 끝나고 20분 걷기 정도만 합니다..외식 거의 없고

주말에 한번 맥돠날 갑니당 ㅠㅠ 고기는 많이 먹어요 주로 닭가슴살 먹고 급식으로 고기 나오면 겁나 풉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부맨
17/10/30 23:06
수정 아이콘
네이버가 꽤정확합니다.
유전 상당히 중요하구요...
술은 별영향 없다고 알려져있습니다

1) 고령
2) 흡연
3) 고혈압 : 혈압 ≥ 140/90mmHg 이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4) 당뇨병
5) 가족력 : 부모형제 중 남자 55세 이하, 여자 65세 이하의 연령에서 허혈성 심질환을 앓은 경우
6) 그 외 비만, 운동부족 등
재입대
17/10/30 23:09
수정 아이콘
유전앞에 장사 없군요 에효 ㅠㅠ
공상만화
17/10/30 23:11
수정 아이콘
심장에 이상이 있는 병은 유전이 정말 중요합니다. 저도 모계유전으로 부정맥이 있습니다.
공부맨
17/10/30 23:13
수정 아이콘
고 김주혁씨는 찾아보니까
헤비스모커에 콜레스테롤 수지도높았다고 하네요
김티모
17/10/30 23:17
수정 아이콘
http://www.circulation.or.kr/general/content/?depth1=2&depth2=12

대한심장학회에 아주 상세하게 기재되어있습니다. 흉통이 조금이라도 느껴지시면 즉시 병원 가시구요. 건강진단 받으실때 추가비용 지불하시고 심전도 등 심장 관련 검사를 주기적으로 받으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재입대
17/10/30 23:19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무슨검사로 어떻게 예방했는지도 물어보려했는데 감사합니다.. 아직 흉통은 없는 것 같은데 심전도 검사 받아봐야겠네요
김티모
17/10/30 23:22
수정 아이콘
제일 중요한 진단방법에 심근효소 측정이라니 혈액검사때 이것도 추가하시면 되겠네요.
조재조재
17/10/30 23: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들 잘못 아시고 계신데...
심장질환은 유전이 아니라 가족력 입니다.
유전이라고 하는 것은 특정 유전자/염색체 이상 등에 의한 질병일 때를 뜻하는 것이고
심장질환은 가족력이 있다고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물론 밝혀지지 않은 유전자 이상이 있을 가능성에
생활습관, 식이습관, 직업 등등 여러가지 요인이 작용하는 것이지요.
가까운 친족 (1, 2촌) 중에 젊은 나이에 심질환을 앓았던 사람이 있는 경우 위험인자를 다른 사람보다 잘 관리하는게 중요하겠습니다.
심질환 (심근경색, 부정맥 등) 은 무증상일 때 예방하기는 쉽지 않고
전형적인 흉통이 있을 때 (운동시 가슴 중앙이 뻐근하다든지, 답답하다든지) 순환기내과가 있는 병원 방문하여
관련 검사를 진행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가족력이 있다고 얘기하시면 좀더 적극적으로 검사 진행해줄 거에요.
기본적인 검사는
심전도 : 심근경색까지 진행하지 않는 이상 변하지 않습니다. 부정맥이 있을 때 변하지만 순간을 찍는 것이기 때문에 발견 안될 가능성도 높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심전도에 이상이 있을 정도이면 상당히 진행된 심장병이 있을 수 있습니다.
흉부 X-ray : 심장이 커졌는지 모양이 이상하지는 않는지...
심장초음파 : 심장기능은 정상인지, 움직임이 이상하지 않은지, 부어있지는 않은지, 판막은 괜찮은지 등등
운동심부하검사 : 운동을 하면서 (걷기부터 뛰기까지) 심전도 모양이 변하지는 않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정도이고
부정맥 의심되면 -> 24시간 홀터검사 : 24시간 심전도 측정하는 기구 차고 부정맥이 있지는 않은지 확인
심혈관질환 의심되면 -> 심장혈관 CT : 조영제를 써서 관상동맥만 찍는 검사입니다.
추가로 해볼 수 있겠네요.
물론 위의 검사들은 다 확진검사는 아니고 (결과가 비정상이라도 100% 확신 할 수 없음)
심도자 검사가 확진 검사입니다. (실제로 동맥을 뚫어서 길고 작은 관을 넣어서 관상동맥에 위치시키고 조영제를 넣어서 좁아진데는 없는지 보는 검사이지요.)
심근경색 및 부정맥의 원인도 여러가지이고 치료도 다 다르니 인터넷 검색으로 왈가왈부하지 말고 근처 내과 병원 찾아가는게 좋겠습니다.

참고로 심근효소라는 것은 심장근육이 망가졌을 때 상대적으로 올라가는 수치인데
대표적으로 심근경색이 있지만 다른 근육이 망가져도 올라가고 심근경색 전단계일 경우 (협심증 단계)
정상이므로 확진검사는 아니고 심근경색 진단할 때 보조적 검사입니다.
안전형 협심증 -> 불안전 협심증 -> 심근경색 정도의 코스가 일반적이고
안정형 협심증 정도의 단계일 경우 평소에는 괜찮은데 운동할 때 등 심근에 부담가는 상황에서 통증이 생기고
불안정 협심증 정도의 단계일 경우 쉬고 있을 때나 잘 때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형적인 통증은 가슴중앙의 누르는 듯한 통증이지만
옆구리가 아프다던지 명치 쪽이 아프다던지 윗배가 아프다던지 목이 아프다던지 치아가 아프다던지
여러가지 증상으로 오고 어떤 환자는 증상이 전혀 없다가 갑자기 심근경색이 오기도 하니
일부 경우에는 상당히 진행하지 않으면 진단이 힘들 수 도 있습니다.
17/10/31 00:44
수정 아이콘
성이있게 쓰신 댓글에 이렇게 여쭈면 실례일수도 있겄지만 가족력이라는게 결국 유전아닌가요?
안티안티
17/10/31 01: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특정 유전자가 밝혀졌거나 유전되는 패턴이 정확하게 나오는 질환인 경우에만 유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게 맞습니다. 물론 다인자 유전이라는 것도 있고, 분명 메커니즘 상 관여는 하지만요.
용어 사용을 부정확하게 하면 과학적 접근 방법에도 상당히 어긋나지만 예의에도 어긋나는 행동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너희 집안은 암이 유전된다', '심근경색이 대대로 유전되는 집안이다' 와 같은 발언은 '어떤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집안이다' 와는 달리 상당한 확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기분나쁘게 들릴 수 있죠.
17/10/31 02:16
수정 아이콘
넵 어떤 의미로 쓰는건지 알겠네요 감사합니다~!
조재조재
17/11/01 07:44
수정 아이콘
이해쉽게 예를 들자면
여성분이 임신을 하면 다운증후군 테스트를 합니다. 검사에서 유전형이 정상이면 아기는 다운증후근이 아닌거지요.
다른 예를 들면 혈우병 같은 경우는 X 염색체 유전입니다. 이상 X 유전자가 자식에게 전달되면 혈우병이 생기는 거지요. 반면에 X 유전자가 자식에게 전달이 되지 않으면 정상 아기가 태어나는 것입니다.
어떤 특정 염색체 이상이 있다는 것이고 이럴 때 "환자는 특정 염색체 이상이 있으므로 아기에게도 이 염색체가 유전이 될 수 있습니다." 라고 얘기하는 것입니다.

이와 반면에 심근경색,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각종 암 등은 가족력이 있다고 하는게 맞겠지요.
태어날 아기가 커서 건강할지 아플지는 모르겠지만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밝혀지지 않은 유전인자, 환경적인 인자 등등)
특정 병이 있는 가족이 있을 경우에 본인도 가능성이 높을 때
"부모님 모두 젊은 나이에 심근경색이 있었으므로 가족력이 있을 수 있고 조금만 의심되도 선별 검사를 받는게 좋겠습니다."
라고 얘기하는 것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1142 [질문] [나눔] 지니 스트리밍권 [21] 유나2019 17/10/31 2019
111141 [질문] 턱걸이 연습중인데 담이 자주 오나요? [17] 탄야12833 17/10/31 12833
111140 [질문] 부모님모시고 갈 강남역 맛집을까요? [3] 다크템플러2462 17/10/31 2462
111138 [질문] 옛날 100분토론 영상자료를 받을 곳이 있을까요? RookieKid1421 17/10/31 1421
111137 [질문] 이사 왔는데 pc 부팅이 안 됩니다.. [6] 트와이스정연2226 17/10/31 2226
111135 [질문] 60대 부모님 실비 보험을 들려고 하는데... [2] 오징어와 말미잘2068 17/10/30 2068
111134 [질문] 심근경색 관련 질문입니다. [12] 재입대3453 17/10/30 3453
111133 [질문] 로잉머신을 사려고 하는데요, 질문이 있습니다. [4] JJakjin6012 17/10/30 6012
111131 [질문] 깊이 70에 너비 80인 책상 없을까요 [6] 스타듀밸리3573 17/10/30 3573
111130 [질문] 집주인이 갑자기 전세보증금 반환을 오후에 해주겠다는데요... [4] 트위스터3770 17/10/30 3770
111129 [질문] 모바일게임 과금 가격이 왜 이런식이죠? [7] 잔 향3039 17/10/30 3039
111128 [질문] 1080TI, 파워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마롱7088 17/10/30 7088
111127 [질문] 그외장비 dlna와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미니 앰프(dac?)을 찾습니다. 귀여운호랑이1716 17/10/30 1716
111126 [질문] 엑셀에서 특정 셀값들 일괄 바꾸기 [5] halogen18282 17/10/30 18282
111125 [질문] 문과가 취업 힘든거 진실인가요? [22] 삭제됨5778 17/10/30 5778
111124 [질문] CK2 질문있습니다. 게임종료 관련. 먹뚱1553 17/10/30 1553
111122 [질문] 요새 가요 음원 비수기 맞죠? [8] Healing3302 17/10/30 3302
111121 [질문] C언어와 데이터구조론 독학하려는데 책이나 강의 추천부탁드립니다. [10] 유수프2079 17/10/30 2079
111120 [질문] lol) 최근에 자유랭 배치 보신분 계신가요? [12] 이은영5088 17/10/30 5088
111119 [질문] 혼자 제모할 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 [2] 코인괜히시작2575 17/10/30 2575
111118 [질문] 헬스 초보 질문드립니다. [11] 삭제됨3054 17/10/30 3054
111117 [질문] [환갑] 분당, 용인, 이천 좋은식당 추천좀 부탁드려요 꾸벅 [11] 크 헝2562 17/10/30 2562
111116 [질문] 중고 컴퓨터를파려고 합니다. [16] 기승전정2928 17/10/30 29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