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19 22:51:25
Name 쿠쿠다스
Subject [질문] 최근에 취업했는데요 신용카드 발급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화이트하임입니다

이번에 취업을 하면서 이제 슬슬 돈도 어떻게 관리해야되는지 궁금한게 많아 졌는데요.

제가 현재 체크카드만 쓰고 있는데요...?

사람들이 다 신용카드 쓰는 이유가 상대적으로 체크카드에 비해서 혜택이 훨씬 많아서 쓰시는건가요?

주변에 사람들이 저도 신용카드 발급받으라고 그냥 지나가면서 말해주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겟네요..

아 그리고 뽐뿌에서 카드 발급 받아도 큰 문제 없나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tayAway
17/10/19 22:52
수정 아이콘
공제는 이제 큰 의미가 없지만 신용 등급을 올려놓으면 나중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됩니다.
나성범
17/10/19 23:03
수정 아이콘
취업 축하드립니다. 저도 같은 고민을 오래 한 입장에서 조언드리면,
1개정도는 가지고 있으면 좋습니다.

윗분 말대로 세액공제 같은건 하등 의미가 없습니다. 그냥 체크카드로 적게 쓰시는게 최고의 재테크입니다.
(결혼하시고 아이가 생겨서 고정지출등이 많아지면 얘기가 다릅니다.)
혜택이라고 할만한것도 사실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다만 여행 좋아하시는 분들은 항공마일리지 쌓는 용도로 쓰시기도 하더라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 있으면 좋은건, 언제 어떻게 급하게 돈을 쓸지 모르는 일이 생깁니다.
아무래도 체크카드는 급하게 큰돈 쓰려다보면 제약이 많이 있는데 일단 신용카드는 그런 제약이 적어서 좋습니다 (어차피 이제 취직이시라 초반에는 한도가 많이 걸리겠지만...)
저도 지난번에 체크카드로 구입한 비행기표 결제가 갑자기 취소된적이 있었는데 신용카드로 겨우 해결했습니다.
나성범
17/10/19 23:05
수정 아이콘
평소엔 그냥 체크카드로 쓰시고, 할부로 사고싶은 비싼 물건이 있다든지 월급내에서 해결가능하지만 급하게 결제해야하는 것만 신용카드로 하세요
아 통신비나 공과금 등 일부 고정지출은 신용카드 자동이체 해두면 할인이나 적립이 많이 되기도 합니다.
17/10/19 23:08
수정 아이콘
전 알바만 하는데도 할부땜에 신용카드 하나 만들었어요. 있으면 확실히 편합니다. 내가 이번달은 돈이 조~금 쪼들리는데 결제해야할걸 체크 반 신용 반 이런식으로 해서 소비관리도 유동적으로 가능하더라고요.
트와이스 채영
17/10/19 23:15
수정 아이콘
꾸준히 연체없이 사용하면 신용등급이 오르는게 제일 크다고 생각해요. 대출 심사자입장에선
재즈드러머
17/10/19 23:27
수정 아이콘
일단 본인의 지름신 컨트롤 할 자신만 있다면 여러모로 득이죠. 결제비용이 비싸지는것 아니고 오히려 포인트 혜택은 쌓이면서 결제가 늦춰지는 거니까요. 해외여행 나가도 편하고요.
17/10/19 23:39
수정 아이콘
신용카드도 만들고, 마통도 뚫어놓으세요.
인생 어찌될지 모릅니다.
섹시곰팅이
17/10/19 23:53
수정 아이콘
돈의 유동성을 위해 하나정도는 뚫어 놓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급전이 필요할때가 살다보면 종종 생기는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개인적으론 신용등급은 오르는게 잘 느껴지지 않아서 보너스 같은 느낌이 강합니다.
신용등급 관리때문에 신용카드를 쓰는건 주객이 전도 된 느낌...
17/10/20 00:47
수정 아이콘
돈을 관리한다는게 돈을 모은다는거면 연회비없는 명목상 신용카드 만들기는 하되 쓰지않고 그냥 두는걸 추천합니다
그리고 평소엔 그냥 체크카드쓰세요 신용카드 효율적으로 쓰려고해봤자 진짜 얼마차이안나고 그거때문에 돈더씁니다
안쓰는게 모으는거에요
궁금해요궁금해
17/10/20 01:08
수정 아이콘
뽐뿌통해서 만드셔도 문제 없어요~
업체 글에 댓글이나 쪽지 보내면 연회비 지원, 페이백, 상품권 등 혜택 자세히 알려줄거에요.
Chakakhan
17/10/20 01:41
수정 아이콘
저도 필요 없다고 생각했는데 집에 아픈사람이 좀 생겨서 만들었었습니다. 2년정도 지난 소감은 연체 및 리볼빙만 하지 않으면 훨씬 좋습니다~ 유동적으로 소비하기도 편하고 혜택 챙겨먹는것도 있고..그리고나중에 대출심사때 거래실적에서 유리한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구요~
17/10/20 03:14
수정 아이콘
지출을 절제할수 있다면 신용카드를 체크카드처럼 사용하고 혜택도 챙길 수 있어요. 저는 연회비 20만원짜리 한장 만들어서 그것만 쓰니까 혜택도 꽤 쏠쏠하더군요.
강미나
17/10/20 06:43
수정 아이콘
항공마일리지 모으는 거 너무 꿀이던데요. 2-3년 모으면 유럽 한 번 갔다올정도는 되던데....
it's the kick
17/10/20 10:42
수정 아이콘
기본적인 경제관념만 있다면 체크카드보다 나쁠 수가 없습니다.
그게 없는 사람들이 긁어대서 문제가 되는거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0612 [질문] 부모님 스마트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beloved5360 17/10/19 5360
110611 [질문] '사요나라'의 영어 스펠링이 어떻게 되는지요? [8] 삭제됨4027 17/10/19 4027
110610 [질문] 컴필레이션 음반 음질이 본음반 음질보다 낮나요? [3] 강아지아빠1764 17/10/19 1764
110609 [질문] 최근에 취업했는데요 신용카드 발급받아야 하나요? [14] 쿠쿠다스3475 17/10/19 3475
110608 [질문] 오늘 큐베vs칸 대결은 누구의 승리인가요? [36] 짱짱걸제시카4812 17/10/19 4812
110607 [질문] 민방위훈련 아무데나 가서 받아도 되나요? [7] wook986637 17/10/19 6637
110606 [질문] 동생 결혼식에 부조금은 얼마나 내야 할까요? [24] 로즈마리9607 17/10/19 9607
110605 [질문] 지금 가성비 좋은 스웨이드 트러커나 마원 있나요? [7] 상록수2347 17/10/19 2347
110604 [질문] 영어 숙어집은 어떤 게 좋은지요...? nexon1710 17/10/19 1710
110603 [질문] 요즘은 핸드폰 어디서들 사시나요? [8] Madjulia2976 17/10/19 2976
110601 [질문] 방통대 나오면 취업이 어느정도 되나요? [21] 삭제됨12614 17/10/19 12614
110600 [질문] 미국 대학원 입시에서 지방대 고학점이 더 유리한가요? [10] 삭제됨2934 17/10/19 2934
110599 [질문] 소득세 미납으로 집이 압류되었어요 (해결) [7] 삭제됨2688 17/10/19 2688
110598 [질문] 유게에 올라왔던 '등교하는 만화' 원작 제목이 뭔가요? [2] John Snow1863 17/10/19 1863
110597 [질문] 인천대와 인하대 문과기준 차이가 많나요? [9] 삭제됨4599 17/10/19 4599
110594 [질문] 로또 매주 만원어치 사는것은 도박중독인가요? [44] NCS7506 17/10/19 7506
110593 [질문] 채용비리가 걸리면 해고가 되나요? [3] 안희정2123 17/10/19 2123
110592 [질문] 20만원 내외 캡슐형 커피머신 추천해주세요. [7] fgcrom2990 17/10/19 2990
110591 [질문] [조조전온라인] 장수 재질문입니다 [4] La La Land3479 17/10/19 3479
110590 [질문] 파스타에 어울리는 저렴한 야채 추천해주세요 [22] 코인괜히시작9355 17/10/19 9355
110589 [질문] 서면에서 모임을 합니다. [1] 부처1593 17/10/19 1593
110588 [질문] 토요일 성동구에 깔끔한 모텔 있나요? [9] ll Apink ll2349 17/10/19 2349
110587 [질문] 노가다 게임에서 재미를 느끼는 이유가 뭘까요? [17] Jecht5907 17/10/19 59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