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0/11 16:29:04
Name 자몽
Subject [질문] 연금저축 or 종신보험 관련 질문..

제가 재테크에 무지하다 보니 입사 초기에 연금저축을 들어놓은 게 2~3개 있습니다.
중간 해지 생각은 인생에 큰 변화가 있지 않는 한 별로 생각하고 있지 않았고 순수하게 노후 보장 목적이었습니다.

지금 한 5~8년 정도 지났는데, 그 중 5년 된 거 관련해서..
다른 생명사에서 자기네 종신보험으로 옮기면 어떤 이득이 있고 어쩌고저쩌고 하면서 연락이 와서
설명만 들어서는 손해보는 건 별로 없는 거 같길래 일단 하는 걸로 했는데요.
해지 환급금을 확인해 보니 거의 원금 100%는 되긴 하더라구요. 이자 같은 거 생각하면 손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근데 막상 해지할려고 생각해 보니.. 종신보험 드는 게 맞는 건가 싶어서요.
KDB 오래오래알뜰종신보험이라고 하고.. 5년은 선납으로 해준다고 하네요.
이전 거 옮겨놓는 거라 일부 금액을 일시불로 내는 개념인 거 같습니다.

소심해서 공격적인 재테크는 못하구요, 그냥 모아서 노후 대비나 하자 그런 주의인데요,
저런 상황이면 그냥 저대로 진행해도 괜찮을런지 모르겠네요.
혹시 이런 쪽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순둥이
17/10/11 16: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종신보험 비추합니다.
그걸로 펀드나 적금 등 다른 투자 하시길...정 불안하시면 그냥 실손보험쪽 드시던지요.

연금저축은 너무 장기라서...게다가 이미 몇개 있는데 또 하실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17/10/11 18:03
수정 아이콘
역시 비추군요;; 장기인 건 상관은 없고 기존 거 옮겨타는 개념이라 또 하는 건 아니긴 한데... 뭔가 찜찜하긴 했어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17/10/11 16: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생명 or 화재에서 하는 연금보험 연금저축 절대 들지 마세요. 공시이율 주지도 않지만 공시이율에 사업비로 뜯어가는건 전혀 표시하지 않아 뻥튀기인데다가 해지 위약금은 겁나게 높아서 절대 드시면 안됩니다. 은행 장기저축을 하시는게 무조건 더 좋습니다.

정말 드셔야 하시겠다면 매년 400만원까지만 불입하도록 개인연금상품 설계하셔서 그거만 드세요. 연말정산할 때 불입분에 대해 12% 공제 해주는거만 보시는게 낫습니다.
17/10/11 18:03
수정 아이콘
벌써 3개 정도 있는데;; 왠만하면 해지 안 하려고 하고 있어서 위약금은 신경 안 씁니다만..
아무튼 답변 감사드립니다.
신중하게
17/10/11 17:30
수정 아이콘
결혼하신분이면 나쁘진않을듯합니다
17/10/11 18:04
수정 아이콘
결혼은 안 했고 앞으로도 할 생각은 없습니다. 결혼했을 때 좋은 이유가 뭔지 여쭤봐도 될까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나이스
17/10/11 18:25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부양해야할 가족이 생기니까 그런것 같습니다. 혼자 살다가 가면 상관 없지만, 가족을 이루고 살다가 가면.. 남은 가족들에게..
17/10/11 17:31
수정 아이콘
해지 환급금이 100% 면 연금인데, 종신보험으로 갈아탄다는게 무슨 얘긴가요?
보험사의 금용상품은 저축성인 연금류 와 보장성인 건강보험류로 나뉘구요. 연금류는 10년 이상 부으면 복리가 어쩌구 그런거구요.
건강보험은 다쳤을때나 장애판정 받거나 크게는 사망했을때 나오는 보험이죠. 쉽게는 죽을병 걸렸을때 치료라도 함 해보자.. 목돈
필요하다면 .... 그때가 딱 보험이 필요한거죠.

연금 -> 종신보험... 굉장히 이상한 얘기구요. 개인적으로 종신보험 하나 정도는 나쁘지 않다고 보지만, 저렇게 이상하게 가입하는건
정말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설계사 만나는게 쉽지 않군요. 에효...
17/10/11 18:05
수정 아이콘
연금 쪽도 연금보험입니다. 12년 납인가 그런데 지금 5년 된 거구요.
종신보험도 연금 전환 가능한 것으로 설명은 들었고 납입금은 동일한 데다가 일시불이 뭔가 혜택이 되어서 암튼 이득이라고 듣긴 했는데.. 찜찜하긴 하더라구요. 역시 좀 아닌 걸까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17/10/11 17:32
수정 아이콘
종신보험은 비추합니다.
연금보험은 혹시 회사에서 일정금액을 지원해주는 그런 연금보험 들었으면 계속 유지하시길 추천합니다.
17/10/11 18:07
수정 아이콘
회사에서 가입되어 있는 건 있구요, (50% 지원) 개인적으로도 든 게 몇 개 더 있습니다;;
본문에 썼다시피 대부분 오래된 거라 해지해도 크게 손해볼 건 없긴 한데.. 길게 보고 한 것인 데다가 납입금이 부담되는 정도는 아닌데 그래도 해지하는 게 나을까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17/10/11 19:24
수정 아이콘
아 역시 회사지원이 있는거군요 그거는 계속 들어야 됩니다.
연금저축이 안좋은것이 극단적으로 예를들면

내돈 10만 넣으면 사업비로 1만 뗌
결국 10만이 아니라 9만원으로 투자하는 셈
비추

근데 회사지원이라면
내돈 5만 + 회사 5만 넣어서 사업비 1만뗌
결국 5만원으로 9만원 투자하
위원장
17/10/11 17:38
수정 아이콘
연금저축은 세액공제용이니까 연 700(?)만까지는 드셔도 좋을겁니다.
종신은 들고 싶으시면 나중에 부양가족 생기면 드세요.
17/10/11 18:08
수정 아이콘
세액공제용은 이미 한참 넘었습니다.. 흐흐
종신은 모두들 비추하시는군요. ㅠㅠ 답변 감사드립니다.
17/10/11 19:06
수정 아이콘
들고 있는거 몇년됐는데.해지하라고 하는 사람이 제일 나쁜 사람이니까 무시하시면 됩니다. (든지 얼마 안된거면 모르겠지만)
보험은 무조건 옛날께 좋습니다.
17/10/12 13:23
수정 아이콘
보험 대리점을 운영 중인 현직 FC입니다.
본문 내용들으니 어떤 플랜인지 알겠는데...
저는 만류하고 싶습니다.

사실 플랜 자체는 그리 나쁘지 않은데,
정확한 정보와 플랜을 설명하지 않았고, 아마 거짓말도 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와 상담 이후에 결정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해당 플랜은 정확한 설명이 수반되지 않으면, 불완전 판매에 해당되며
고객에게 피해가 고스란히 전해질 수 있는 내용이라서 완전한 설명과 신뢰가 중요한 내용입니다.

번외로
종신보험의 본래 목적에 대해서는 찬반 양론이 존재하지만,
요즘 젊은 층에게 종신 보험을 권하는 경우는 본래 종신보험의 목적보다는
최저보증 금리가 높다는 부분과 연금 전환 부분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정확한 정보와 플랜을 이해한 고객의 경우에는 충분히 해볼 수 있는 플랜입니다.
다만, 이 부분을 [정확하게] 설명받거나 이해하지 못하셨다면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이미 기존에 있던 보험을 해약해서 새로 가입하는 부분은 특히나 잘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0261 [질문] 영화 배급사 오프닝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3] patio1780 17/10/12 1780
110260 [질문] tv 구매 질문(추천요청) [1] The.Scv1593 17/10/12 1593
110259 [질문] 금주 롤드컵 스포없이 보는 법(스포티비) 문의드립니다. [5] StarLoL사랑1721 17/10/12 1721
110258 [질문] 인터넷에서의 네티즌 문화. [12] StarLoL사랑2595 17/10/12 2595
110257 [질문] 서울에 3달 정도 짧게 머물려는데 어디서 지내는 게 나을까요? [6] 삭제됨2718 17/10/12 2718
110256 [질문] 금주 롤드컵 스포없이 보는 법(OGN) 문의드립니다. [6] LG twins1875 17/10/12 1875
110255 [질문] 차알못이 질문드립니다. (QM3) [7] 소녀시대2757 17/10/12 2757
110254 [질문] 초 고화질 블박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도시의미학3340 17/10/12 3340
110253 [질문] 게임 한판하고 나면 팔,어깨가 너무 아픕니다 [11] ...And justice2945 17/10/12 2945
110252 [질문] 구청에서 내부 공문이 법령을 우선하나요? [5] 고분자2622 17/10/12 2622
110251 [질문] 게임 관련 인터넷방송시, 상대의 동의 없이 이를 방송으로 내보내는건 문제 없는걸까요? [17] 펩시콜라5873 17/10/12 5873
110250 [질문] [월세집] 집주인 행패??에 대처 할수 있는 방법은?? [5] 삭제됨2867 17/10/12 2867
110249 [질문] 아일랜드와 카탈루냐의 차이점이 어떤건가요? [9] 뽀유2549 17/10/12 2549
110248 [질문] 소규모 빵집 유지가 되나요? [11] 나른한오후3487 17/10/12 3487
110247 [질문] 블랙박스 설치 관련 질문입니다! [7] 수지2507 17/10/12 2507
110246 [질문] 롤드컵 질문입니다. [2] StarLoL사랑1683 17/10/12 1683
110244 [질문] 직장 내 사원의 부고가 생길 경우에 대해 [1] 나이스데이2267 17/10/12 2267
110243 [질문] 모음 없이 어떻게 발음이 되나요? [19] 성동구3303 17/10/12 3303
110241 [질문] 연예인 같은데 누군가요? [9] 레너블3419 17/10/12 3419
110240 [질문] 부산 먹거리 / 쇼핑 / 병원 질문 드립니다! [5] 삭제됨1627 17/10/12 1627
110239 [질문] 글을 찾습니다. (20대 남성/여성 거주지역 통계) 이수현이해인1666 17/10/12 1666
110238 [질문] 피파시리즈가 지금처럼 카드뽑기 게임이 된게 언제부터인가요? [6] Skyfall3560 17/10/12 3560
110237 [질문] 고양이 중성화] 윤신근 동물병원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신가요? [9] ThisisZero6207 17/10/12 62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